요추5-천추1번간 추간판탈출증 - yochu5-cheonchu1beongan chuganpantalchuljeung

60세 김모씨는 3주 전 밭일을 하다 허리를 뜨끔한 후 허리 전체와 양 엉덩이에서 좌측 허벅지 바깥으로 당기는 방사통으로 보행이 힘들어 내원했다. 내원 3일 전부터는 발을 디디면 요통이 더 심해져 절룩거리며 걷게 됐다. 증상이 발생한 후 김모씨는 연고지 병원에서 통증클리닉을 하며 약 복용과 도수치료를 병행하였지만 호전이 없었다. 일상생활이 어려운 상태라 당일 MRI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요추5번과 천추1번간 척추관협착증이 진행된 상태에서 추간판탈출증이 심해지며 갑자기 증상이 극심해진 상태라 경막외강풍선확장술을 실시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질환의 대표적인 퇴행성질환인데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병으로, 노인성 질환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때문에 40~50대에서 진단을 받으면 ‘벌써 내가 노화인가?’ 하는 반응을 보이는 환자분들을 흔히 접하며 진단 자체를 신뢰하지 않는 경우도 간혹 보게 된다.

척추는 앞쪽에 디스크(추간판)가 위치해 있고 뒤쪽은 척추 후관절이 지지하며 마디마디 관절로 나누어져 있다. 나이가 들면서 후관절이 굵어져 척추관이 좁아지며 척추관협착증이 진행된다. 임상에서 보면 대부분의 척추관협착증은 디스크탈출증이 동반되어 있으며, 영상소견과 통증의 강도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영상소견으로는 아주 심하지만 전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MRI 소견에서는 심하지 않지만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흔하다. 때문에 척추질환은 다른 질환과 달리 환자의 증상에 따라 치료 부위를 결정한다. 즉, MRI 또는 컴퓨터단층촬영(CT)에서 척추관협착증의 진행이 심한 경우도 환자의 증상과 맞지 않으면 관찰한다.

치료 방법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증상 발생 후 환자의 치료 경험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여러 병원을 전전하며 허리주사 또는 꼬리뼈 주사를 맞았으나 호전이 없는 환자라면 즉시 정확한 원인 파악 후 원인을 직접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으로 치료 관점을 선회해야 한다.

척추관협착증의 치료 방법 중 원인을 직접적으로 치료하는 방법 중 비수술적인 치료법은 경막외강풍선확장술이다. 풍선시술로 더 많이 알려진 치료법으로 국소마취하에 절개없이 풍선 카테터를 척추관 내 삽입하여 돌출한 디스크의 감압과 위치를 이동시켜 척추관을 넓힌 후 치료 약제를 주입하는 방법이다. 10~20분 정도로 시술 시간이 짧고 고령의 환자들도 마취에 대한 부담 없이 적용해볼 수 있어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되며 실내 생활이 많아진 사회적 환경으로 척추질환을 호소하는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다. 활동량 감소로 인한 근 위축은 퇴행성 질환이 있는 경우 작은 자극에도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근 위축을 예방하기 위해 꾸준한 운동이 절실하다. 통증과 기타 불편감이 발생할 땐 이를 가볍게 넘기기보다는 조기에 원인을 제대로 알고 치료해야 한다. 수술보다 위험 부담이 비교적 낮은 치료들을 적용하여 호전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의료진,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한 병원을 충분히 고려해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석환(창원제일종합병원 신경외과 1과 원장)

요추5-천추1번간 추간판탈출증 - yochu5-cheonchu1beongan chuganpantalchuljeung
 

사건의 개요

신청인(1958년생, 여)은 상당 기간 허리 통증, 좌측 다리가 당기고 저린 증상, 앉았다 일어나기가 힘든 증상 등으로 보존적 치료를 받았으나 상태가 호전되지 않았다.

2013. 3. 18. ○○병원에 입원해 좌측 요추 5번/천추 1번간 추간판탈출증 진단 하에 수술을 받았다. 신청인은 위 수술 전후로 항생제인 야마테탄주를 투여받았고, 통증이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한편, 수술동의서와 수술기록지상 수술명은 IDET(intra discal electrothemical theraphy)로 기재되어 있는데, 수술기록지상 수술경과와 영상자료에 나타난 수술은 내시경하 추간판제거술이었다.

신청인은 위 퇴원 후 허리 통증 및 좌하지 저림증이 재발해 2013. 3. 22. 피신청인 병원에 재입원해 요추 MRI검사를 받았으나 수술 부위에 종창 외에 특이 소견은 보이지 않아 진통제 및 덱사메타손주 등의 약물 치료를 받으며 경과관찰을 받았다.

신청인은 2013. 3. 29. 혈종과 유착으로 인한 수술 부위 부종 소견이 있어 같은 달 30. 좌측 요추 5번/천추 1번간 혈종제거술을 받았으나 수술 후에도 허리 통증과 염증 수치 상승이 지속되었고 같은 해 4. 17. 요추 MRI검사 결과 요추 5번/천추 1번간 추간판염을 동반한 척추염 소견으로 같은 달 24. □□병원으로 전원했다.

신청인은 2013. 4. 24. □□병원에 입원해 수술 후 급성 감염(내시경하 추간판절제술 요추 5/천추1 좌측 상태) 진단 하에 항생제 치료(반코마이신주, 테이코프라닌주 등)를 받았고, 같은 해 5. 8. 뼈 생검(요추5/천추1) 시행하였으나 균은 동정되지 않았으며, C 반응성 단백(CRP)이 지속적으로 정상 유지되어 같은 달 29. 퇴원하였다. 신청인은 □□병원에서 퇴원한 날 바로 ◇◇병원에 입원해 항생제 치료 및 물리치료를 받고 같은 해 7. 15. 퇴원하였다 .

신청인은 추간판 탈출증 진단 하에 피신청인 병원 의료진으로부터 수술을 받았는데, 피신청인병원 의료진의 수술상 잘못으로 감염이 발생해 감염에 대한 치료를 받아야 했다고 주장하며 1억 1850만 원의 배상을 청구했다.

피신청인은 MRI검사 결과 추간판 탈출증 소견이 있어 △내시경적 요·천추간 좌측 수핵감압술을 시행하였고 △수핵감압술 이후 신청인의 허리 통증에 대한 진단을 하고 혈종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혈종제거술 이후 염증 지속에 대한 항생제 치료 및 전원 조치를 적절하게 시행했다. 또 △피신청인 병원 의료진은 침습적인 의료행위를 시행하면서 시술 부위에 대한 멸균 소독, 시술자의 세심한 손 세척, 시술 도구에 대한 소독 등 수술 과정에서 당연히 요구되는 무균조치를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수술 전에 신청인에게 발생 가능한 합병증이나 부작용으로서 재발, 감염, 출혈 등에 관해 설명을 하고 동의서를 받았다고 주장한다.

감정결과의 요지

수술기록지와 동의서상 수술명은 고주파열치료술로 기재되어 있으나, 신청인에게 시행된 수술은 내시경을 이용한 수핵제거술로 판단되며, 추간판탈출증 요추5/천추1 진단하에 선택된 수술방법(내시경을 이용한 수핵제거술)은 적절했다.

또한 수술기록지 및 영상소견을 참고할 때, 수술방법 및 감염예방을 위한 조치들(수술전 예방적 항생제 투여 등)은 부적절했다고 보기 어렵다.

내시경을 이용한 수핵제거술 이후 염증수치의 상승(ESR 116, CRP 0.1) 소견, 영상소견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염증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기에 항생제 투여가 이루어지거나 균 동정을 통한 적합한 항생제를 투여하기 위한 조치들이 필요하였다고 보여지나 진통제만을 계속해서 투여하다가 혈종제거술 후 항생제(야마테탄주) 투여가 이루어진바, 항생제 투여시기 및 균 배양검사 등 감염에 대한 전반적인 조치가 부적절했다고 판단된다.

수술 후 발생한 허리통증과 좌하지 저림증의 원인은 수술에 따른 수술 부위 감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수술 후 감염은 합병증에 해당되어 수술상의 과실로 보기는 곤란하나, 위 수술 후 항생제 투여시기가 지연되었고, 균 동정을 통한 적절하고 효과적인 항생제 투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염증이 악화됨으로 인해 치료기간 및 회복기간이 길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고 판단된다.

결론

이 사건 의료 사고는 그 기초 사실인 2013. 3. 18. 수술의 수술 내용, 혈종제거술의 수술 시기에 관하여 본원 감정부와 피신청인, 또는 신청인과 피신청인 사이에 주장이 서로 엇갈리고 있고, 쟁점이 되는 감염 대처의 적절 여부를 가리는 주요한 표지인 혈액 검사 결과 수치를 놓고서도 의사경과기록지와 검사결과지의 기재가 서로 엇갈리고 있는바, 이러한 상황에서는 먼저 피신청인이 제출한 의무기록 전반에 대한 시비곡직부터 가려 그 진실성을 확보한 뒤 순차 사실을 확정하고, 문제가 된 쟁점들에 대해 판단을 해 나가야 할 것인데, 본 조정절차에서는 달리 이를 가릴 방도가 마땅치 않아 이 사건 의료사고에 있어서 그 기본이 되는 사실관계 및 의료과실의 유무를 확정할 수가 없다.

또한 피신청인이 과실 없음을 주요 주장으로 내세우며 당사자 간에 합의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 가능성도 없었으므로 '조정하지 아니하는 결정'으로 종결하였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㸮��ũ�� �θ��� ���߰���Ż�������ϸ� �ؽ��� ������ ��������� ��ۿ� ���� ������ ���� ��쵵 �ִ�. �߰���Ż������ �߰���(��ũ)�� ����, ����, Ż��, �ڸ� 4�ܰ�� ����ȴ�. �����ܰ迡�� ������ ����, ����ܰ迡�� ������ ����� �����Ѵ�. ���ΰǰ�������� �ڷῡ ������ �߰��� ��ַ� ������ ã�� ȯ�ڴ� 2006�� 9��1611��, 2008�� 12��647������ ���� �߼���. �߰���Ż������ ��������� �׿� ���� ġ����� �˾� ���Ҵ�.

Step 1 �߰��� ����
�߰����� �߾Ӻ��� ���������� �����١��� �װ��� ���ΰ� �ִ� ���� �������� �������������� ������ �ִ�. ������ �ڿ��� �δ�� �Ű� ���� �ִµ�, �������� ������ ������ ���������� �����鼭 �߰���Ż������ ���۵ȴ�. �� �ܰ谡 �߰��� �����ܰ��ε�, ���� �Ű�й��� ���� ������ ����. ������ �ִ��� �ٸ� ���� ���� �㸮 ������ �����.

Step 2 �߰��� ����
����ܰ迡���� �����װ� ������ ������ ������ �Ű��� ������ �� �㸮 ������ �ٸ��� ��ġ�� ������ ��Ÿ����. �ٷ¾�ȭ�� �������� ������ �����Ѵ�. �߰���Ż������ �ڰ������Ϸ��� ���� �ڼ����� �ٸ��� �� �ʾ� ���÷� ����. ��� �ø� �� �ٸ��� ���ϰ� ����� �߰��� Ż�⿡ ���� �Ű�й��� ���� ���̴� �ݵ�� �������Ḧ �޴´�.

�߰����� �����̳� ���� �ܰ�� ��ũ �ʱ�� �з��ȴ�. �̶��� �Ϲ����� ����ġ�ᳪ �๰ġ�Ḧ �����鼭 ������ ��ϸ� ������ ȣ���� �� �ִ�. �ϻ��Ȱ�� ������ �ʷ����� �ʱ� ������ ������ �������� �ʴ´�. ������ ���� �� 1���� ���� ������ ���ϸ� ����ġ�Ḧ ���� �Ŀ��� ������ ��ӵǸ� ��ũ �ʱⰡ �ƴ� ���ɼ��� ����. �̶��� �������� �˻縦 �޴´�.

X�� �˻�δ� �߰���Ż���� ������ �Ұ����ϴ�. ��ũ�� ���� �ƴ� ������ �������� �������̰� �׳� ������ ������ �����̴�. CT(����ȭ�����Կ�)�̳� MRI(�ڱ���������Կ�) �� ���а˻簡 �ʿ��ϴ�. CT�� �߰��� Ż�� ������ Ȯ���� �� ������, MRI�� Ż��� �߰������� ���� �Ű�й��̳� �ջ� ������ �߰����� ���� ������ Ȯ���� �� �ִ�.

Step 3 �߰��� Ż��
�Ű�й��� ���ϰ� �߰��� �ڸ��ܰ谡 �Ǹ�, ����������� �� �� �־� ���� ġ�ᰡ �ʿ��ϴ�. �̶��� 0.1cm ������ �ֻ�ٴ÷� ���� ������ ���������� ���������, ������ �Ű��� Ǯ�� ������ �氨��ų �� �ִ� �����нŰ漺�������� ���� ���δ�. �ü� ��� ȿ���� ��Ÿ����, 1���� �ĸ� �ϻ��Ȱ�� ū ������ ���� ������ ȸ���ȴ�.

Step 4 �߰��� �ڸ�
�߰���Ż������ ������ �ܰ�� �� �� �ִ� �߰��� �ڸ��� ������ ������ ���� ���� �ٸ� ������ �����Ѵ�. �뺯���Һ��� �� ������ ���� �� ������, ���ϸ� ������ ����ȴ�. �� �ܰ迡�� ����ġ�ᰡ �� �ʿ��ϴ�. ���� ��ġ�ϸ� �Ű�ջ��� ������ ���� �Ŀ��� ������ ȸ������ �ʰ� �������� ���� �� �ִ�. �Ϲ������� ���� ���� �߰����� �����ϰų� �ΰ���ũ�� ��ü�ϴ� ������ �Ѵ�.

ô�߰� �Ҿ����� ���� ��ũ�� �����ϴ� ���������� ȿ���� ���� ����� ô�߻��� �������縦 ���� ��, �糡�� ������� �������� �Ʒ� ���� ô�߻��� �ϳ��� �ǵ��� �ϴ� ��ô�����ռ����� �Ѵ�. �ֱٿ��� ô�����ռ��� �ϱ⿡ ���� ���°� ���� ��ũ ȯ�ڿ��� ����׽ý��������������� �ʱ�ġ��� Ȱ���Ѵ�. �������縦 �ε巴�� ���� ������ ����ī������Ʈ �췹ź�� �Ἥ ô���� ������ �������� ����, �������� �������� �����ϵ��� ������ �ش�. ���� �� ����� �����ϴ� �� ȿ���� �����ǰ� �ִ�.

요추5-천추1번간 추간판탈출증 - yochu5-cheonchu1beongan chuganpantalchuljeung

    ��߼� ���߰���Ż����, �ܼ� �߰��� �������ε� ����� ġ����ٷο� '���� ��ũ'�� ���ð����� ġ���Ѵ��㸮 �ǰ� ��Ű���� "������ ��ϼ���"���㸮 ���� �����ϴٸ顦 '�÷�ũ���ö���' ���� ȿ����� �� '�÷�ũ' �ڼ��� �ص� ���㸮 �ǰ� ��Ų����ũ, ȯ�� 90%�� ���� ���̵� ���� �� �־�[���� Į��] ġ�� ��ٷο� ���� ��ȯ, ÷�� �Ǽ��� �����Ѵ�

허리디스크 몇번?

일반적으로 허리디스크는 4번5번, 5번1번, 3번4번 순으로 많이 발생하지만, 종종 1번2번, 2번3번에도 허리디스크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즉, 모든 허리뼈에서 디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허리디스크허리디스크번호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도 조금씩 다릅니다.

허리 디스크가 뭔가요?

흔히 말하는 허리디스크디스크(추간판) 조직이 파열돼 탈출된 디스크가 디스크를 싸고 있는 섬유륜을 뚫고 뒤로 밀려 나오면서 그 후방에 위치한 신경근이나 척수경막을 압박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요통이 뭔가요?

요통은 허리 부위에서 다리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통증 말합니다. 직장 생활 하는 남성의 1/4 1년 동안 한 번 이상 요통을 경험합니다. 그중에서 1/12 직장 근무를 못 하고 휴식 취해야 할 정도입니다. 따라서 직장 남성의 60%는 요통을 경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