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자가 치료법 - teoggwanjeol jaga chilyobeob

턱관절 자가 치료법 - teoggwanjeol jaga chilyobeob

 직장인 전모(37·여)씨는 지난해부터 음식을 씹거나 하품할 때 턱 주변이 자주 아팠다. 증상이 나타났다 사그라지기를 반복하다 갑자기 입을 벌릴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밀려왔다. 올해 초 부랴부랴 치과병원을 찾아 검사한 결과, 퇴행성 턱관절염 진단을 받았다. 턱관절 장애를 장기간 방치한 결과였다. 그는 “그동안 턱에서 소리가 나고 통증이 있을 때마다 진통제를 먹고 말았다”며 “아직 젊은데 턱관절에 퇴행성 관절염이 왔단 소리에 많이 당황했지만, 더는 악화하지 않도록 잘 치료·관리할 계획”이라고 했다.

30·40대라도 퇴행성 관절염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바로 턱관절 얘기다. 턱관절은 아래턱뼈와 머리뼈 사이 턱관절의 디스크나 인대, 주위 근육을 말한다. 턱관절의 조화로운 상호 작용에 문제가 생기면 질환이 발생하는데 이를 턱관절 장애라고 통칭한다. 강동경희대치과병원 구강내과 박혜지 교수는 “20·30대는 저작근의 근력이 높아 턱관절에 하중을 많이 받고 취업이나 직장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겹쳐 턱관절 장애가 많이 발생한다”며 “장기간 턱관절 장애를 방치하면 턱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6개월 이상 증상 방치 땐 치료 복잡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턱을 전후좌우로 움직일 때 턱에서 소리가 나는 증상은 전체 인구의 3명 중 1명이 겪을 정도로 흔하다. 그러나 이것이 반복되는 데도 간과하면 일상생활에 많은 제약이 생긴다. 심하면 턱관절 연골이 닳아 표면이 파괴되는 퇴행성 관절염으로 악화하고 뼈의 변화로 영구적인 안면 비대칭이 발생할 수 있다. 턱관절의 이상은 오래 방치할수록 치료가 잘 안 되는 만성 상태로 악화하기 쉽다. 박 교수는 “6개월이 지나도록 증상을 방치하면 치료가 복잡해지고 호전 양상이 느려 치료 기간이 길어진다”고 지적했다. 초기에 발견해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게 중요한 이유다.
다행히 턱관절 장애는 자가 진단으로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귀 앞부분에 위치한 턱관절 부위에 통증이 있을 때, 턱에서 ‘딱’ 혹은 ‘덜거덕’ 소리가 날 때, 음식을 먹거나 입을 벌릴 때 턱 근육에 불편함을 느낀 경우 턱관절 장애를 의심할 수 있다. 서울아산병원 치과 이부규 교수는 “가끔 피곤할 때만 증상이 있고 평소에 괜찮으면 진료를 받을 필요가 없지만 증상이 자주 반복되거나 수주간 지속하는 경우, 아예 입을 벌리거나 다물어지지 않을 경우 전문의를 찾아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발생 원인은 여러 가지다. 이를 악물거나 가는 습관, 껌·마른 오징어·콩자반·고기 등 질기고 딱딱한 음식을 자주 먹는 식습관, 한쪽으로만 씹는 습관, 턱 괴기·구부정한 자세·한쪽으로만 자는 등 안 좋은 자세, 잘 맞지 않는 치열, 스트레스·불안·긴장·우울 등 심리적인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원인과 증상이 다양한 만큼 정밀 진단을 통해 정확한 원인과 상태를 파악한 뒤 이에 맞춰 꾸준히 치료해야 효과적이다. 턱관절 장애가 발생한 초기에는 턱관절의 부담 요인을 제거하고 무리하지 않도록 휴식하면서 약물·물리 치료를 병행하면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질환이 어느 정도 진행돼 턱관절 디스크에 문제가 생기면 교합 안전장치(스플린트) 치료를 병행하는 게 좋다. 이 교수는 “이를 갈거나 꽉 무는 습관이 있는 환자는 보톡스를 주사해 턱 근육의 강한 힘을 줄여줌으로써 잘못된 습관을 교정하고 턱관절의 통증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턱관절 디스크의 위치가 비정상적인 상태로 오래되면 통증과 함께 입을 벌리지 못하게 된다. 이땐 턱관절 부위에 작은 주사침을 삽입해 관절 내부를 세척하는 턱관절 세정술을 한 뒤 윤활제를 주입하는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턱관절의 위치와 형태가 심하게 손상된 경우 턱관절 내시경 수술을 하거나 전신마취하에 턱관절에 대한 개방형 수술을 시도한다. 이마저도 소용없는 상태라면 인공관절 삽입을 고려하기도 한다.

상태 따라 약물·물리·장치 치료 병행

무엇보다 턱관절 장애 발생은 주로 환자의 고질적인 습관이나 성격과 관련 있다. 성공적으로 치료하려면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턱관절 인대를 늘어나게 하는 질기고 딱딱한 음식은 자주 먹지 않는다. 하품할 땐 턱을 손바닥으로 받쳐서라도 입이 크게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턱관절과 근육이 편안한 자세는 얼굴에 힘을 뺐을 때 입술이 다물어진 입안에서 윗니와 아랫니가 미세하게 떨어져 있는 상태다. 격렬한 운동을 하거나 시험·면접 같은 긴장된 일이 있을 땐 치아를 꽉 물지 않도록 의식적으로 얼굴과 턱에 힘을 빼는 훈련을 한다.
앉아서 일할 땐 허리를 꼿꼿이 세우고 목을 반듯하게 유지하며 1시간에 한 번씩 스트레칭해 준다. 턱을 괴거나 손톱을 깨물며 음식을 한쪽으로 씹는 습관도 고치는 게 좋다. 만성 스트레스는 턱관절 주변의 근육을 과도하게 긴장시킨다. 그러면 근육에 피로 물질이 쌓여 염증이 생기고 턱관절 디스크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평소에 좋아하는 운동이나 취미 생활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아 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 확인하도록 한다.

김선영 기자

턱관절 자가진단 및 주의사항EO DENTAL CLINIC

턱관절 자가진단 및 주의사항 !!

턱관절장애는 점진적으로 발병하는 질환으로 처음에는 가벼운 두동 및 이명 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턱관절장애를 모르고 지나쳐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턱관절장애는 평소 생활 습관을 점검해보는 등 자가진단이 필요합니다.

1 입을 크게 벌리기가 힘이 듭니까 ??

2 식사 후 턱이 얼얼해지는게 느껴지십니까 ??

3 딱딱한 것을 씹거나 입을 크게 벌리고나면 통증이 있습니까 ??

4 좌,우 턱이 덜컥덜컥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까 ??

5 입을 벌릴 때 소리가 발생합니까 ??

6 잦은 두통이나 이명 현상이 있습니까 ??

7 자주 목, 어깨 등이 아픕니까 ??

* 위 증상중에 1가지 이상 해당이 된다면 턱관절 장애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턱관절 주의사항 !!

1 단단하고 질긴 음식의 섭취를 하지 않습니다.

  • (마른오징어 , 껌 , 엿 , 질긴음식 등 )

2 입을 크게 벌리지 않도록 주의 합니다.

  • (특히 하품시 주의 , 작은 수저 사용하기 등)

3 무리한 턱관절 운동을 삼갑니다.

  • (껌씹기 , 말을 많이하기 등)

4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편안한 마음으로 생활합니다.

5 자세 및 습관의 교정을 위해 노력합니다.

  • (턱을 괴거나, 엎드려자거나,이갈이 , 이악물기 등)

6 통증이 있는 부위는 온찜질을 자주해줍니다.

  • (찜질팩으로 15분씩 3회정도 턱관절 부위를 감싸줍니다. 단, 찜질 후 심하게 붓거나하면 즉시중단)

7 식사는 양쪽 치아를 이용하여 양측 저작을 하도록 합니다.

" 집에서 할수 있는 턱관절 치료법 어디 없을까? "

안녕하세요~ 친절한진실장입니다 ^^

오늘은 집에서 혼자서도 할수있는 턱관절 통증 및 근육에 도움이 되는 자가요법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집에서 할수 있는 턱관절 장애 물리치료법 

① 혀 끝을 입천장 전방부(윗치아 앞니 뒷면)에 접촉시킵니다. 

② 혀 끝이 접촉 된 상태에서 천천히 입을 벌립니다. 이때 혀 끝이 입천장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③ 거울을 보면서 가능한 입이 똑바로 벌어지도록 합니다. 이때 비대칭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④ 입을 다물때도 가능한 입이 똑바로 다물어 지도록 합니다. 이때 비대칭으로 다물어 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⑤ 다음으로 혀 끝을 입천장 후방부에 접촉시킨 후 천천히 입을 벌리고 다무는 운동을 합니다.  

→ 이 운동을 하루 3번 3분씩 아주 천천히 시행합니다. 이 물리치료 방법은 턱관절 장애가 없는 경우에 시행해도 좋습니다. 

 턱관절 통증 및 근육에 도움이 되는 자가요법

1. 입을 크게 벌리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하품을 크게 하거나, 사과 등의 과일을 통째로 베어 무는 등, 갑자기 입을 지나치게 크게 벌리는 것은 턱관절에 무리를 줄수 있습니다.

2. 질긴 음식, 딱딱한 음식, 끈적인 음식을 되도록 삼가합니다. 

→ 쥐포, 오징어, 각얼음, 누릉지껌, 카라멜 등등

3. 턱에서 소리를 일부로 내보는 행동을 금합니다. 

→ 이런 행동은 오히려 턱관절 질환의 악화를 조장하므로 피해야 합니다. 

4.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턱관절 질환의 저항력을 낮추어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5. 말을 많이하거나, 껌을 씹는 행위를 하지 않도록 합니다. 

6. 턱을 괴거나, 손톱을 물어 뜯거나, 이를 악물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자연스럽게 "N" 발음을 하여 윗니와 아랫니 사이가 2~3mm정도 떨어지도록 유지합니다. 

7. 턱관절 주위 및 얼굴, 목 등 불편한 부위에 마사지 및 스트레칭을 해주도록 합니다. 

→  마사지는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는데 도움을 줍니다. 

5. 이갈이 습관이 있다면 치료를 받도록 합니다. 

스플린트를 통해 이갈이 치료가 가능합니다. 

→ 보톡스를 통해 이갈이 치료가 가능합니다. 

6. 따뜻한 물수건을 이용하여 온습포 찜질을 약 10분, 하루 2~3회 시행해 주세요.

→ 단, 찜질 후 심하게 붓거나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 즉시 중단 후, 치과에 내원해 주세요.

7. 6*6*6 턱근육 운동 

① 혀를 위앞니 안쪽에 닿도록 합니다. 

② 혀를 세운다는 느낌으로 최대한 입을 벌리고 약 6초간 유지합니다. 

③ 위운동을 하루 6차례 걸쳐 6번씩 반복합니다. 

7. Hinge exercise - 관절염 환자의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 1분 동안 빠른 속도로 입을 벌리고 다물도록 합니다. 이때 치아가 부딪히지 않도록 합니다. 이것을 약 1분간 시행하며 하루에 10회 시행하도록 합니다. 

8. 담당 의사가 처방한 약을 임의로 중단하지 마세요.

→ 약 복용 후 부작용이 있는 경우 바로 치과에 전화하여 주치의와 상의 바랍니다. 

턱관절 장애일 경우 6개월 이상 방치시 만성화 되어 치료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조기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관련 글

궁금증이 있으신 분들을 댓글을 남겨주세요 ^^
이상 친절한진실장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