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이 화끈거리는 이유 - deung-i hwakkeungeolineun iyu

50세 이상 여성 10명 중 1~2명이 경험할 정도로 흔해

입안에 상처가 없고 특별한 이유가 없는데도 입안이 화끈거리거나 따끔거리는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이란 종일 입안이 화끈거리거나 얼얼하고 따끔거리는 등의 불편감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증상은 주로 혀, 입천장 앞쪽, 입술 점막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입안 어디에나 나타날 수 있다. 또 입안이 건조해지거나 맛이 잘 느껴지지 않는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젊은 사람이나 남성에서는 드물지만 50세 이상 여성은 10명 중 1~2명이 경험할 정도로 흔하며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환자 수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등이 화끈거리는 이유 - deung-i hwakkeungeolineun iyu
ⓒ관악서울대치과병원=구강작열감 증상을 나타내는 지도상설(지도모양의 혀)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원인에 따라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구분한다. 구강 점막의 작열감은 편평태선, 진균 감염, 알레르기 같은 구강 점막 질환이나 당뇨, 갑상선 질환, 빈혈 및 영양 결핍 등의 전신 질환으로 나타날 수 있다. 구강 검진·혈액 검사를 통해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경우는 이차성 구강작열감증후군으로 간주한다.

검사를 받아도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일차성 구강작열감증후군으로 분류한다. 이때는 구강 점막의 감각을 느끼는 신경 자체의 문제로 본다. 신경계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호르몬의 변화, 수면장애, 신경계 질환, 타액 분비 저하 등이 있다. 격심한 스트레스와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요인도 입안의 통증을 더 심하게 한다. 

치료법은 원인에 따라 다르다. 혈당이 높거나 빈혈이 있는 경우에는 혈당을 조절하거나 빈혈을 치료하면 입안 통증이 많이 줄어든다. 구강 점막 질환도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항진균제나 스테로이드 가글을 사용하면 증상이 해소된다. 특별한 원인 요소가 발견되지 않는 일차성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신경계 변화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신경계를 조절하는 다양한 약물을 통해 증상을 감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구강 점막에 과도한 자극이 가해지는 행위(증상이 있는 부위를 자꾸 문지르거나 치아에 대보는 등)를 삼가며 맵고 뜨거운 자극적인 음식은 피할 필요가 있다. 입안이 건조해지는 경우 물을 자주 섭취하거나 껌이나 사탕을 저작(입에 넣고 씹음)해 입안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도 증상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김문종 관악서울대치과병원 구강내과 교수는 “종종 구강작열감증후군이 구강암으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냐며 우려하는데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일차성 구강작열감증후군의 경우 증상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이나 기전이 환자마다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증상이 있다면 치과병원을 방문해 검사받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의

불면증은 적절한 환경과 잠잘 수 있는 조건이 구비되었으나 2주 이상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면증 환자는 잠들기 힘들거나, 야간에 자주 깨거나, 새벽녘에 일어나 잠을 설칩니다. 불면증에는 3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① 일시적 불면증
불면증이 며칠간 지속되는 것입니다. 보통 수면 주기의 변화, 스트레스, 단기 질병에 의해 발생합니다.

② 단기 불면증
불면증이 2주에서 3주까지 지속되는 것입니다. 스트레스나 신체적, 정신적 질병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③ 장기 혹은 만성 불면증
불면증이 몇 주 이상 지속되는 것입니다. 매일 밤, 대부분의 야간 시간대 혹은 한 달에 여러 번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합니다.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포함하여 많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등이 화끈거리는 이유 - deung-i hwakkeungeolineun iyu

원인

① 생활습관 요인
많은 약물과 습관들이 수면 문제를 악화시키거나 불면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흡연과 음주, 카페인 성분이 포함된 음료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잘 시간이 다 되어서 술을 마시면 잠을 잘 이루지 못합니다. 불면증을 초래하는 대표적인 약물로는 항암제, 갑상선 치료제, 항경련제, 항우울제, 경구용 피임제 등이 있습니다. 심지어는 수면제를 장기간(30일 이상) 복용해도 수면 장애를 호소합니다. 잠자는 시간이 날마다 바뀌는 것과 하던 일이 변하는 것도 좋은 수면을 파괴하는 생활습관 요인입니다.

② 환경적 요인
자동차 소리, 비행기 지나가는 소리, 이웃의 텔레비전 소리와 같은 소음도 수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방이 너무 밝거나 방안의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아도 수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③ 신체적 요인
미국 수면질환학회에서 8,000명의 사람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모든 만성 불면증의 원인 중 절반은 호흡 관련 질환(수면 무호흡증)이나 자는 동안의 주기적 근육 경축과 같은 일차적인 수면 관련 질환입니다. 다른 신체적 요인들, 예를 들면 관절염, 속 쓰림, 월경, 두통, 얼굴이 화끈거리는 열감 등이 잠을 못 이루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④ 심리적 요인
일반적으로 불면증은 우울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미한 심리적 요인들도 불면증과 관련되어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스트레스나 환경 변화에 의해 불면증을 쉽게 겪습니다. 이와 비슷하게 가정 문제나 직업 문제와 같은 것을 걱정할 때 잠을 설치고, 마침내 잠자는 것에 대해 걱정하게 되면 그 걱정 자체가 수면을 방해합니다.

증상

쉽게 잠을 들지 못하거나, 잠이 들어도 자주 깨거나, 이른 새벽에 잠을 깨어 다시 잠을 이루지 못하는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불면증이 지속되면 정신적, 신체적 질환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동물 실험에서 잠을 못 자도록 수면을 박탈하면 쇠약한 모습, 음식 섭취의 이상, 체중 감소, 체온 저하, 피부 장애, 심한 경우 사망까지 초래한다는 연구 보고가 있습니다.

진단

정신건강의학과 의사가 면담을 통해 병력, 정신 상태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필요시 수면 다원 검사, 심리 검사, 원인이 될 수 있는 신체 질환 평가 등을 시행하여 불면증의 원인을 찾습니다.

치료

불면증의 원인을 밝히고 원인을 제거합니다. 특히 오래 누워있다고 좋은 게 아니라 짧더라도 깊은 잠을 자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쾌적한 수면을 위해서는 올바른 수면 습관이 필요합니다. 이 밖에도 약물 치료, 인지행동 치료, 이완 요법, 자극 조절법 등이 있습니다. 한편, 수면 일지를 적어보면 수면의 문제점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수면 일지에는 잠자리에 드는 시간, 일어나는 시간,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를 마신 횟수, 하루 동안의 운동량 등을 기록합니다.

주의사항

① 잠자리에 들기 6시간 전부터는 커피나 홍차 등 카페인이 함유된 음식을 피합니다.
② 잠자리에 들기 2시간 전부터는 술을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지 않아야 합니다.
③ 규칙적으로 적당한 운동을 하면 수면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자기 전 격렬한 운동은 오히려 수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④ 낮잠을 자지 않습니다. 만약 낮잠을 자는 습관이 있다면 매일 같은 시간에 자도록 합니다.
⑤ 잠자리에 들기 전에 온수 목욕이나 독서를 하는 등과 같은 규칙적인 습관을 만들면 도움이 됩니다.
⑥ 졸음이 오기 시작할 때만 잠자리에 듭니다. 잠자리에서 일을 하거나 텔레비전을 보지 않습니다. 침대는 오직 잠을 자기 위한 것으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⑦ 언제 잠들었는지에 상관없이 매일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야 합니다.
⑧ 되도록 수면제를 피합니다.

등이 화끈거리는 이유 - deung-i hwakkeungeolineun iyu
�����ۿ������ı��� 50�� �̻� ���� 10�� �� 1~2���� ������ ������ ���ϴ�./����=Ŭ����Ʈ�ڸ���

�Ծȿ� ��ó�� ����, Ư���� ������ ���µ��� ���� ������ ȭ���Ÿ��ų� �����Ÿ��� �������� ȣ���ϴ� �̵��� �ִ�. ������ ���� ���ϴ� ���� ������ ġ�Ḧ ���� ���� ä ����� �Բ� �ҾȰ��� ������ �ȴ�. �̷��� ������ ���п��� '�����ۿ������ı�(Burning mouth syndrome)'�̶�� �θ���. ������ ���� ���� ���� �ְ�, �ɸ��� �������� ���� �߻��ϱ⵵ �Ѵ�.

�ߡ���� �������� ���ϰ�, �ߺ� ���� �پ���
�����ۿ������ı��̶�, �Ϸ� ���� �Ծ��� ȭ���Ÿ��ų� ����ϰ�, �����Ÿ��� ���� �������� ���������� ��Ÿ���� ��ȯ�̴�. �ַ� ��, ��õ�� ����, �Լ� �������� ���� ���� �߻������� �Ծ� ��𿡳� ��Ÿ�� �� �ִ�. ���� �� ���� ���������ų� ���� �� �������� �ʴ� ���� ������ ���ݵDZ⵵ �Ѵ�. ���� ����̳� �������Լ��� �幰����, 50�� �̻� ������ 10�� �� 1~2���� ������ ������ ���ϸ�, ����ȭ�� ����ʿ� ���� ȯ�� ���� ��� �����ϰ� �ִ�.

�����ۿ������ı��� ���� ��ҿ� ���� '������'�� '������'���� ������ �� �ִ�. �켱 �������¼� �����հ��� ��˷����� �� ���� ���� ��ȯ�̳� ��索�� �㰩�� ��ȯ ����� �㿵����� ���� ������ȯ�� ���� �߻��Ѵ�. ���� ���� ���������� �˻縦 ���� �̷��� ���� ��ȯ�� �߰ߵƴٸ� ������ �����ۿ������ı����� �����Ѵ�.

�׷��� �˻縦 ������������ ���� ������ ã�� �� ���� ��쿡�� ������ �����ۿ������ı����� �з��ϸ�, �̶��� ���� ������ ������ ������ �Ű� ��ü�� ������ ����. �Ű�� ��ȭ�� ����Ű�� �������δ� ȣ������ ��ȭ, �������, �Ű�� ��ȯ, Ÿ�� �к� ���� ���� �ִ�. �ݽ��� ��Ʈ������ ������� ���� �ɸ��� ���ε� �Ծ��� ������ �� ���ϰ� ������ �� �� �ִ�.

�����ϰ��� ������ �������� �� ġ�� ġ�Ḧ
ġ����� ���ο� ���� �ٸ���. ���� ��ȯ�� �ִٸ� ���� ġ���Ѵ�. ���� ���� ��ȯ �����̶�� ���������� ���׷��̵� ������ ����ϸ� ������ ��ȭ�ȴ�. Ư���� ������ �߰ߵ��� ���� ������ �����ۿ������ı��� �Ű�踦 �����ϴ� �پ��� �๰�� ó���ϱ⵵ �Ѵ�.

�����ۿ������ı��� �ִٸ� ������ �ִ� ������ �ڲ� �������ų� ġ�ƿ� �뺸�� �� ���� ������ ������ �ڱ��� �������� ������ �ﰡ�� �� ����. �ʰ� �߰ſ� �ڱ����� ������ �ִ��� ���Ѵ�. �Ծ��� ������ ���� ���� ���� �����ϰų� ���̳� ������ �����鼭 �Ծ��� �����ϰ� �����ϴ� �͵� ���� ��ȭ�� ������ �ȴ�.

�����ġ������ �������� �蹮�� ����(�������� ������)�� �������ۿ������ı��� ���������� �����ϴ� ���� �ƴϳĸ� ���⵵ ������, �������� �������� ���١��� ���ٸ�, ������ �������� ���� ������ �����ۿ������ı��� ���� �߻��� �����ϴ� �����̳� ������ ȯ�ڸ��� �ٸ� �� �����Ƿ� �˻縦 ���� ������ ġ���ȹ�� �����ϴ� ���� �ʿ��ϴ١��� ���ߴ�.

���� �蹮�� ���� �������� �����ۿ������ı� ȯ�ڵ鿡�� ��Ÿ���� �ֿ��� �ӻ� ������ �񱳡��м��� ���, �ɸ��� ��Ʈ������ ������ �����ۿ������ı� ȯ�ڵ��� �׷��� ���� ȯ�ڿ� ���� �� ���� �������� �� ���� ������ �����ٴ� �Ͱ� ������ ���������� ��Ÿ���� ȯ�ڴ� �������� ��Ÿ���� ȯ�ڿ� ���� �߻� ������ �ٸ� �� ������ ��ǥ�� �� �ִ�.

    ���� �ǰ� �����Ѵٸ顦 ì�ܾ��ϴ� ����� 5�Ծ� ȭ���Ÿ���, ���� ������? �Һ� �ƴ� '�����ۿ������ı�'�Ծ� ���� ��ġ�ߴٰ�, �Ǹ����� ���ٰ�?�����ϰ� �� �ȿ� ��~ '�� ���� �Դ� ��' �������� �������� ���� �������ۿ������ı����� �������?"�����ۿ������ı�, �׻�ȭ�� ���� ġ�ᰡ ȿ����"�� �� ȭ���Ÿ��� ���� ��ȯ����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