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손상위험성 관련요인 - sinchesonsang-wiheomseong gwanlyeon-yoin

신체손상위험성 관련요인 - sinchesonsang-wiheomseong gwanlyeon-yoin

내과 case study 당뇨병/ 간호과정 3개 모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신체손상위험성 관련요인 - sinchesonsang-wiheomseong gwanlyeon-yoin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체손상위험성 관련요인 - sinchesonsang-wiheomseong gwanlyeon-yoin
신체손상위험성 관련요인 - sinchesonsang-wiheomseong gwanlyeon-yoin

신체손상위험성 관련요인 - sinchesonsang-wiheomseong gwanlyeon-yoin
신체손상위험성 관련요인 - sinchesonsang-wiheomseong gwanlyeon-yoin

목차

1.당뇨병 문헌고찰
병리
치료
간호
투약
검사

2.대상자 case study

본문내용

madol은 급성 통증시 효과가 있는 진통제이다.
수면에 방해를 주는 까페인 등의 요소를 교육함으로써 대상자는 스스로를 수면에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부터 통제할 수 있다.
대상자의 관심이 통증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통증지각이 감소할수 있다.
평가
대상자의 통증정도가 4점으로 측정 되었다.
밤동안 통증 호소 없이 잘 잠.
#3.안전사고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사정
S:"엄마가 침대 오르내리기 어려우시니까 여기서 주무시도록 할께요"
O: 거동어려운 보호자 침대에서 자겠다 함. 낙상 사정점수 30점이며, 밤에 수면제 복용하시는 분임. 침대난간이 있는 환자침대에서 자도록 권유했으나 소리지르며 거부함.
진단
안전 사고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목표
대상자는 안전사고 없이 안전하게 수면을 취할수 있을 것이다.
계획
환자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계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한다.
보호자가 항상 keep하도록 한다.
낙상예방법을 교육함으로써 안전도를 높인다.
수행
환자가 보호자 침대를 고집할시 보호자가 곁에 있도록 당부하였다.
낙상예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과학적근거
낙상예방법을 교육함으로써 대상자는 스스로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평가
낙상 없으며 보호자가 보호하고 있음.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5.17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51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신체손상위험성 관련요인 - sinchesonsang-wiheomseong gwanlyeon-yoin

Domain 10. 생의 원리(Life Principles): 활동, 관습, 제도에 대한 사고와 행위의 기초가 되는 원 리로서 진실 혹은 내적가치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Class 1.  가치(Values) 우선적인 유형의 행동 혹은 최종 결과에 대한 일체감과 순위이다.


Class 2.  신념(Beliefs) 진실 혹은 내적 가치가 있다고 보는 행동, 관습, 제도에 대한 견해, 기대 혹은 판단이다.

(167) 영적안녕 증진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spiritual well-being) : 신체적, 심리적, 영적인 인간 의 상호연계성을 유지하면서 내적 자아가 발전하는 과정이다.


Class 3.  가치/신념/행동일치(Value/Belief/Action Congruence) 가치, 신념, 행동 간의 일치 혹은 균형의 성취하는 것이다.

(168) 의사결정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decision-making) : 장・단기 건강관련 목표를 충 족하고 향상할 수 있는 행동선택과정의 유형이다.

(169) 의사결정갈등(Decisional conflict) : 삶의 가치 상실, 위기, 도적에 직면하여 어떤 행동을 선택할지 모르는 불확실한 상태 혹은 임종말기 환자의 생명유지를 시작, 지속, 중단시키는 것과 관련된 불 확실한 상태이다.

(170) 자유로운 의사결정 장애 (Impaired emancipated decision making) : 유연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없거나 사회적인 규범의 고려 또는 개인적인 지식을 포함할 수 없는 판단불만을 초래하는 보건 의사결정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171) 자유로운 의사결정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emancipated decision making) : 강화할 수 있는 사회적 규범의 고려 또는 개인적인 지식을 포함한 보건의사결정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172) 도덕적 고뇌(Moral distress) : 도덕적 행위를 수반하지 않는 도덕적 의사결정을 했을 때 개인적인 심리적 불안정, 신체적 불편감, 불안 혹은 분노를 경험하는 상태이다.

(173) 종교 활동 장애, 손상된 신앙심 (Impaired religiosity) : 한 개인이나 집단이 특정종파 혹은 신앙공 동체의 신념을 믿는 실천능력에 장애가 있거나 혹은 관련 의식에 참여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174) 종교 활동 증진 가능성, 신앙심 향상 가능성 (Readiness for enhanced religiosity) : 종교적 신념 혹은 신앙의식 참여에 대한 믿음을 증가시키는 능력이다.

(175) 종교 활동 장애 위험성, 신앙심 손상 위험성 (Risk for impaired religiosity) : 개인이 특정종파 혹 은 신앙공동체의 신념에 대한 믿음을 표현하는 능력이나 관련된 종교의식에 참여하는 능력에 장 애가 발생될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176) 영적 고뇌(Spiritual distress) : 자신, 타인, 예술, 음악, 문학, 자연 혹은 신과의 관계를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경험하고 통합하는 능력의 장애이다.

(177) 영적 고뇌 위험성(Risk for spiritual distress) : 자신, 타인, 예술, 음악, 문학, 자연, 혹은 신과의 관 계를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경험하고 통합하는 능력의 장애이다.


Domain 11. 안정/보호(Safety/Promotion): 위험, 신체적 손상 혹은 면역체계 장애로부터의 해 방, 상실로부터의 보전, 안위와 안전의 보호이다.


Class 1. 감염(Infection) 병원체 침범에 따른 숙주의 반응이다.

(178) 감염위험성(Risk for infection) : 신체적 안녕을 위협하는 내적, 외적 위험요인이 있는 상태이다.


Class 2.  신체손상(Physical Injury) 신체적인 상해 혹은 손상이다.

(179) 기도개방 유지불능(Ineffective airway clearance) : 해부학적, 신체적 기도 폐쇄로 환기가 정상적으 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이다.

(180) 기도흡인 위험성(Risk for aspiration) : 위장 분비물, 구강인두 분비물, 고형물질, 액체성분이 기관 혹은 기관지 내로 들어갈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181) 출혈 위험성 (Risk for bleeding) :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혈액량 감소가 될 수 있는 취약한 상태이다.

(182) 안구 건조 위험성(Risk for dry eye) : 안구보습에 필요한 눈물의 양과 질이 감소해서 각막과 결막 에 불편감과 손상을 줄 위험성이다.

(183) 낙상 위험성(Risk for falls) : 신체손상을 유발시키는 낙상 가능성이 높은 상태이다.

(184) 신체손상 위험성(Risk for injury) : 환경의 위험성 인자 부족 혹은 운동이나 감각의 결손으로 신체 적 위해가 발생할 위험이 높거나, 가족들에 의해 노인 학대 혹은 방치의 위험성이 높은 상태이다.

(185) 각막 손상 위험성(Risk for corneal injury) :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표재성 또는 깊은 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각막조직의 감염성 또는 염증성 병변에 취약한 상태이다.

(186) 수술 중 체위관련 손상 위험성(Risk for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 수술 전・중・후의 전 상황에서 체위와 관련하여 손상 받을 위험이 있는 상태(187) 열 손상 위험성, 체온손상 가능성 (Risk for thermal injury) : 극한의 온도로 피부와 점막에 손상이 올 위험성 (188) 비뇨기계 손상 위험성(Risk for urinary tract injury) :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는 카데터 사용으 로부터 요로계 의 손상을 받을 수 있는 취약한 상태이다.

(189) 치아 상태 불량(Impaired dentition) : 치아의 발육형태 혹은 구조에 결함이 있는 상태이다.

(190) 구강점막 손상(Impaired oral mucous membrane) : 입술과 구강의 연조직이 손상된 상태이다.

(191) 구강점막 손상 위험성(Risk for impaired oral mucous membrane) :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는 입술, 연조직, 구강, 구인두의 손상에 취약한 상태이다.

(192) 말초신경 혈관 기능장애 위험성(Risk for peripheral neurovascular dysfunction) : 사지의 순환, 감 각, 운동에 장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193) 욕창 위험성 (Risk for pressure ulcer) : 절단(shear)과 결합된 압박 또는 압박의 결과로서 뼈 돌출 부를 넘어서 피부 또는 기저 조직에 국소화된 손상에 취약한 상태이다.

(194) 쇼크 위험성 (Risk for shock) : 생명에 위협적인 세포의 이상기능을 일으킬 수 있는 체조직에 대 한, 건강에 위협을 줄 수 있는 부적절한 혈류에 취약한 상태이다.

(195) 피부손상(Impaired skin integrity) : 표피나 진피가 심각하게 변화된 상태이다.

(196) 피부손상 위험성(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 : 피부가 비정상적으로 변화될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197) 영아 돌연사 증후군 위험성(Risk for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 1살 미만 영아의 갑작스런 죽음의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상태이다.

(198) 질식 위험성(Risk for suffocation) : 사고로 인해 질식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199) 수술 후 회복 지연(Delayed surgical recovery) : 수술 후 건강과 안녕, 그리고 삶을 유지하기 위한 활동을 시작할 수 있는 회복기간이 연장된 상태이다.

(200) 수술 후 회복 지연 위험성 (Risk for delayed surgical recovery) 이다.

(201) 조직손상(Impaired tissue integrity) : 외피, 점막, 각막 혹은 피하조직이 손상된 상태이다.(202) 조직 손상 위험성(Risk for impaired tissue integrity) :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는 점막, 각막, 피 부계통, 근막, 근육, 건, 뼈, 연골, 활액낭, 인대에 대한 손상에 대해 취약한 상태이다.

(203) 외상 위험성(Risk for trauma) : 사고에 의한 조직손상의 위험이 고조된 상태이다.

(204) 혈관 손상 위험성(Risk for vascular trauma) : 유치도뇨관이나 위장 삽관과 관련하여 정맥이나 주 위의 조직이 손상될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Class 3. 폭력(Violence) 손상 혹은 폭력의 원인이 되는 과도한 힘 혹은 압력의 행사

(205) 자해(Self-mutilation) : 긴장 완화를 위해 의도적으로 치명적이지 않은 조직손상을 자행하는 자해 행위이다.

(206) 자해 위험성(Risk for self-mutilation) :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자신에게 고의적으로 생명에 지 장이 없을 정도의 조직손상을 입힐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207) 자살 위험성(Risk for suicide) : 자신에게 고통을 주고 생명을 헤치는 손상의 위험성이 있는 상태이다.

(208) 폭력 위험성: 타인(Risk for other-directed violence) : 타인에게 신체적, 정서적, 성적으로 해를 입 힐 수 있는 행위의 위험이 있는 행동이다.

(209) 폭력 위험성: 자신(Risk for self-directed violence) : 신체적, 정서적 혹은 성적으로 자해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행동이다.


Class 4. 환경적 위험(Environmental Hazards) 주변에 있는 위험요소

(210) 오염(Contamination) :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킬 정도로 충분한 환경적 오염물질에 노출된다.

(211) 오염 위험성(Risk for contamination) :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킬 정도로 충분히 환경적 오염 물질에 노출 (212) 중독 위험성(Risk for poisoning) : 중독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양의 위험물이나 약물복용 사고에 노 출 될 위험이 높은 상태이다.


Class 5. 방어과정(Defensive processes) 자기가 아닌 것으로부터 자기를 보호하는 과정.

(213) 라텍스 알레르기반응(Latex allergy response) : 천연라텍스 고무제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다.

(214) 라텍스 알레르기 반응 위험성(Risk for latex allergy response) : 천연라텍스 고무 제품에 대한 알 레르기 반응의 위험성에 처한다.

(215) 알레르기 반응 위험성 (Risk for allergy response) :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는 과도한 면역반응 또는 물질에 대한 반응에 취약한 상태이다.

(216) 요오드성 조영제 부작용 위험성(Risk for adverse reaction to iodinated contrast media) : 조영제 투여 후 7일 안에 일어날 수 있는 요오드 함유 조영제의 이용으로 일어날 수 있는 유독하거나 또 는 의도하지 않은 반응이 올 위험성이다.


Class 6. 체온조절(Thermoregulation) 유기체를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신체내의 열과 에너지를 조절하는 생리적 과정이다.

(217) 체온유지능력 저하 위험성(Risk for imbalanced body temperature) : 정상범위의 체온을 유지하지 못할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218) 고체온(Hyperthermia) : 체온이 정상범위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이다.

(219) 저체온(Hypothermia) : 정상범위 이하로 체온이 저하된 상태이다.

(220) 비정상적 체온 변화(Ineffective thermoregulation) : 저체온과 고체온 사이를 오르내리는 상태이다.

(221) 저체온 위험성(Risk for hypothermia) :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는 심부 체온이 매일 정상 범위 이하로 내려갈 수도 있는 체온조절기전의 실패에 취약한 상태이다.

(222) 수술 중 저체온 위험성(Risk for perioperative hypothermia) : 수술 전 1시간에서 수술 후 24시간 까지 건강을 위협할 수도 있는 36 ̊C 이하로 심부체온이 우연히 하강할 위험에 취약한 상태이다.


Domain 12. 안위(Comfort):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안녕감 혹은 편안감이다.
Class 1. 신체적 안위(physical comfort) (223) 안위 장애; 신체적 안위 (Impaired comfort) :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그리고 사회적인 면에서 안 락함, 편안함, 평안함이 부족하다고 지각하는 상태이다.

(224) 안위향상 가능성; 신체적 안위 (Readiness for enhanced comfort) :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사회 적 측면에서 평안하고 안락한 상태가 유지되고 강화될 수 있는 상태이다.

(225) 오심 (Nausea) : 목, 상복부 혹은 복부의 불쾌하고 울렁거리는 주관적 감각으로 구역질이나 구토를 유발할 수 있는 상태이다.

(226) 급성 통증 (Acute pain) :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손상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각적 또는 정서적 불편감이 갑자기 또는 서서히, 경증에서 중증 강도로 지속하거나 끝이 예측되는 통증이 있는 상태이다.

(227) 만성 통증 (Chronic pain) :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손상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각적 또는 정서 적 불편감이 갑자기 또는 서서히, 경증에서 중증 강도로 지속하거나 예기치 못한 재발성 통증이 3 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이다.

(228) 분만 통증 (Labor pain) : 출산과 분만과 관련된 즐거움에서 즐겁지 않음까지 다양한 감각적이고 감정적인 경험이다.

(229) 만성 통증 증후군 (Chronic pain syndrome) : 일상생활 또는 안녕에 중대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적어도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재발성 또는 지속적인 통증이다.


Class 2. 환경적 안위(Environment Comfort) 환경에 대한 안녕감 혹은 편안감이다.

(230) 안위향상 가능성; 환경적 안위 (Readiness for enhanced comfort) :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사회 적 측면에서 평안하고 안락한 상태가 유지되고 강화될 수 있는 상태이다.

(231) 안위 장애; 환경적 안위 (Impaired comfort) :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그리고 사회적인 면에서 안 락함, 편안함, 평안함이 부족하다고 지각하는 상태이다.


Class 3. 사회적 안위(Social Comfort) 사회적 상황에 대한 안녕감 혹은 편안감이다.

(232) 안위 장애; 사회적 안위 (Impaired comfort) :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그리고 사회적인 면에서 안 락함, 편안함, 평안함이 부족하다고 지각하는 상태이다.

(233) 안위향상 가능성; 사회적 안위 (Readiness for enhanced comfort) :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그리고 사회적인 면에서 안락함, 편안함, 평안함이 부족하다고 지각하는 상태이다.

(234) 고독 위험성(risk for loneliness) : 다른 사람과 더 접촉할 필요성 또는 요구와 관련된 불편감을 경 험하는,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취약성이 큰 상태이다.

(235) 사회적 고립(Social isolation) : 개인이 경험하는 외로움으로서 타인에 의한 것으로 인지하는 부정 적, 위협적 상태. 자신이나 환경의 지지체계와 접촉이 결여된 상태(related to 부적절한 개인적 자원)


Domain 13. 성장/발달(Growth/Development): 신체적 차원의 기관계의 연령에 알맞은 성장과 발달지표의 성취.


Class 1. 성장(Growth) 신체적 차원의 증가 혹은 기관계의 성숙.

(236) 불균형적 성장 위험성(Risk for disproportionate growth) : 해당 연령기준에서 상위 3% 혹은 하위 3%의 수준을 오르내리며 불균형적으로 성장할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Class 2. 발달(Development) 발달지표의 성취, 성취부족, 혹은 상실

(237) 발달지체 위험성(Risk for delayed development) : 해당 연령집단의 성장발달기준에서 벗어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