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 한국 제품 - segye 1wi hangug jepum

세계 1위 한국 제품 - segye 1wi hangug jepum

세계 1위 한국 제품 - segye 1wi hangug jepum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위 품목

[무역협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세계 수출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한 우리나라 제품이 2019년 기준 69개로 조사됐다. 세계 순위도 전년 대비 두 계단 상승한 11위를 기록했다. 이는 세계 1위 품목 조사를 시작한 2002년 이래 가장 높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7일 발표한 '세계 수출 시장 1위 품목으로 본 우리 수출 경쟁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세계 1위 품목 수는 전년보다 7개 증가한 69개로 집계됐다. 새로 1위에 새로 오른 품목은 16개, 1위에서 밀려난 품목은 9개였다.

품목별로는 화합제품류(27개)와 철강·비철금속류(18개)가 전체의 65.2%를 차지했다.

1위 품목에 새롭게 진입한 16개 품목은 전자기기류로, 반도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장치인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 47억1천만달러), 화학제품류인 산화금속산염(19억6천만달러), 철강·비철금속류인 열간압연제품(16억3천만달러) 등 수출 금액이 큰 품목이 다수 포함됐다. 특히 SSD는 2020년 처음으로 수출 100억 달러를 돌파하며 한국의 차세대 수출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2019년 기준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위 품목이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1천759개)으로 5년 연속 1위에 올랐다. 다음으로는 독일(654개), 미국(520개), 이탈리아(217개), 일본(156개) 순이었다.

세계 1위 품목을 두고 한중일간 경쟁도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1위 자리를 내준 9개 품목 중 4개 품목에서 중국이 1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 1위 품목 69개 중 12개는 일본이 2위 자리에서 바짝 추격하고 있다.

세계 1위 한국 제품 - segye 1wi hangug jepum

주요국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위 품목 수 추이

[무역협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1/03/07 11:00 송고

코로나 팬데믹으로 세계 교역액이 감소한 2020년 우리나라 제품 77개가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2년 연속 세계 10위에 올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조상현)은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으로 본 우리 수출의 경쟁력 현황’ 보고에서 2020년 기준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위 품목이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1천798개)이었고 이어 독일(668개), 미국(479개), 이탈리아(201개), 일본(154개) 순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세계 1위 한국 제품 - segye 1wi hangug jepum
(사진=이미지투데이)

2020년 우리나라 세계 1위 품목 수는 전년보다 6개 증가한 77개로 새로 1위에 오른 품목은 17개, 1위에서 밀려난 품목이 11개였다. 산업별로는 화학제품(29개)과 철강·비철금속(20개)이 전체 1위 제품의 63.7%를 차지했다.

1위에 새롭게 진입한 17개 품목 가운데 액정표시장치(LCD) 패널에 활용되는 편광재료제의 판(24억7천만 달러), 레이저기기(22억4천만 달러) 등 2개 품목은 새로운 수출 주력 품목으로 발돋움했다. 또 한국이 1위, 중국이 2위에 오른 10개 품목 가운데 탱커, 냉간압연제품 등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목은 중국과 두 자릿수의 점유율 격차를 자랑하며 경쟁력을 유지했다.

1위에서 물러난 11개 품목 가운데 3개 제품에서 중국이 1위로 올라섰다. 메모리반도체도 그 가운데 하나지만 이는 중국 내 외국투자기업 생산과 수출 확대에 따른 것으로 제품 경쟁력과는 무관한 것으로 평가했다.

2020년 한국 세계 1위 품목 총 수출액은 전년보다 497억 달러 줄어든 634억 달러로 감소했다. 1위 품목 수가 늘었음에도 1위 품목 수출액이 크게 감소한 것은 메모리반도체 수출 1위를 중국에 넘겨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 내년 수출, 반도체 등으로 성장세 이어간다…무협 전망2021.11.22
  • 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 106…6분기 연속 ‘100’ 상회2021.09.30
  • 수출 3분기도 ‘맑음’…자동차·석유제품 등 호조 지속 전망2021.06.24
  • 작년 수출 1등 공신은 항공운송…비중 35.7% 역대 최고2021.03.16

세계 1위 한국 제품 - segye 1wi hangug jepum

한편, 일본과의 경쟁은 다소 심화한 경향을 보였다. 2020년 한국 1위, 일본 2위인 품목 16개 가운데 점유율 격차가 5%포인트 미만인 품목은 7개로 나타났다. 전년도 한국 1위, 일본 2위인 12개 품목 중 4개에 비해 늘어난 것이다.

김아린 무역협회 연구원은 “코로나19로 2020년 세계 교역이 움츠러드는 중에도 우리 수출 1위 품목이 늘어난 점은 고무적”이라면서도 “수출 주력 품목에서 일본 등 주변국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제품 경쟁력 제고와 차별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계 1위 한국 제품 - segye 1wi hangug jepum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세계 시장에서 가장 사랑받는 '메이드 인 코리아' 제품이 스마트폰과 반도체 등 5개에 그쳤다. 일본은 7개 품목에서 세계 1위를 배출했다. 세계 1위 품목 보유국 순위가 미국과 중국, 일본, 한국으로 이어지는 구도가 2년째 계속됐다. 한국은 주요 시장인 하이테크 분야에서 중국에 점유율을 빼앗기고 있어 당분간 3위 탈환은 어려울 전망이다.

2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56개 품목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조사해 매년 발표하는 '2021년 주요상품·서비스점유율 조사'에서 한국은 스마트폰과 D램,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낸드플래시 반도체, 초박형TV 등 5개 품목에서 1위에 올랐다. 5개 품목 모두 삼성전자 제품이다.

일본은 자동차, 오토바이, 디지털카메라, 레이저 복합기, 이미지(CMOS)센서, 휴대폰용 리튬이온 배터리, 편광판 등 7개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유지했다.

2020년 조사에서 한국은 7개 품목에서 1위를 차지하며 일본과 공동 3위에 올랐다. 하지만 지난해 대형 액정패널(LG디스플레이)과 조선(현대중공업) 에서 중국 BOE와 CSSC에 1위를 내주면서 4위로 내려앉았다.

지난해 일본을 제치고 처음 2위에 오른 중국은 미국과 격차를 더욱 좁혔다. 미국과 중국의 세계 시장 1위 품목은 각각 18개와 15개로 격차가 3개까지 줄었다. 70개 항목을 조사한 지난해에는 미국의 1위 품목이 24개, 중국은 12개로 두 배 차이가 났다.

세계 1위 한국 제품 - segye 1wi hangug jepum

한국이 1위에 오른 품목. 한국은 스마트폰과 D램,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낸드플래시 반도체, 초박형TV 등 5개 품목에서 1위에 올랐다. 5개 품목 모두 삼성전자 제품이다. (자료 : 니혼게이자이신문)

중국은 전기차와 차량용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용 절연체 등 하이테크 제품을 중심으로 13개 품목에서 점유율을 확대했다. 56개 조사대상 가운데 중국 기업이 상위 5위권에 오른 품목이 32개에 달했다. 중국에 시장을 빼앗기고 있는 한국이 당분간 일본을 따라잡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한국 기업은 스마트워치(삼성전자 2위), 태블릿 단말기(삼성전자 2위), 대형 액정패널(LG디스플레이 2위), 휴대용 리튬이온 전지(삼성SDI 2위), 이미지센서(삼성전자 2위), 차량용 리튬이온 배터리(LG에너지솔루션 2위), 편광판(삼성SDI 3위)에서 3위 이내에 들었다.

하지만 1위인 중국 및 미국 기업과 격차는 점점 벌어지는 추세다. 한때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계 시장을 석권했던 세탁기, 가정용 에어컨, 냉장고 등 가전제품은 모두 중국에 시장을 빼앗겨 3위에도 들지 못했다.

현대중공업(16.1%)이 중국 CSSC(17.6%)를 점유율 1.5%포인트 차이로 쫓고 있는 조선을 제외하면 새로운 1위 품목이 등장하기 힘든 구도다.

한국이 1위인 5개 품목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20.0%)와 애플(17.3%)의 격차는 2.7%포인트까지 좁혀졌다. 다만 삼성전자(42.7%)와 SK하이닉스(28.6%)의 점유율 합계가 71.3에 달하는 D램, 삼성전자(60.1%)와 LG디스플레이(22.1%)의 점유율이 82.2%에 달하는 OLED는 1위를 굳건히 지켰다.

이나가키 마사히사 KPMG FAS 파트너는 "미중 패권경쟁이 격렬해짐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은 공급망을 중국과 중국 이외의 시장으로 재편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