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임대료 인상 거부 - sang-ga imdaelyo insang geobu

상가 임대차보호법 ‘구멍’ 이대로 괜찮나

2021.11.09 21:19 입력 2021.11.09 21:38 수정

이성희 기자

서울시, 관련법 개정 건의

상가 임대료 인상 거부 - sang-ga imdaelyo insang geobu

월세 5% 넘게 올려도 주인 바뀌니“점포 빼라”
분쟁조정 신청했는데 상대가 거부한다고‘각하’

증액한도 물가상승 연동에 분쟁조정 의무참여 등 제안

임차인 A씨는 보증금 3000만원, 월 임대료 200만원에 지하 실내낚시터를 운영하기로 2016년 10월 임대차계약을 맺었다. 2년 후 재계약 때는 월 임대료를 220만원으로 올려 줬다.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상 임대료 인상률은 기존의 5%를 초과할 수 없지만, A씨는 임대인 B씨의 요구를 거절할 수 없었다. 개업 당시 초기 투자금을 많이 들였던 만큼 이 건물에서 오래 영업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고 생각했다.

문제는 1년 후 B씨가 해당 건물을 매도하면서 빚어졌다. 재건축하기 위해 건물을 사들인 새 임대인은 A씨에게 2020년 10월까지 점포를 빼달라고 했다. A씨로서는 방법이 없었다. 그는 답답한 마음에 B씨를 상대로 재계약 시 5% 초과 인상한 임대료를 반환하라고 서울시 상가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분조위)에 조정신청을 제기했다. 그러나 B씨는 초과분에 A씨도 합의한 것이라며 조정을 거부했다. 결국 이 분쟁은 각하로 종결 처리됐다.

A씨 사례는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현행 법률이 임차상인 권리를 보호하는 데 제 역할을 못하는 상황을 여실히 보여준다. 현행법상 임대료 증액 상한요율을 알지만, 건물주의 비위를 건드리지 않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임대료를 올려주는 임차인이 많다. 거액을 투자했어도 임차인 의지와 상관없이 가게 문을 닫아야 하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서울시는 임차상인 권리를 개선하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최근 법무부와 국토교통부에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과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등의 개정을 건의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건의는 서울시가 운영 중인 상가임대차상담센터와 분조위에 접수된 내용을 토대로 마련했다.

개정 건의안은 현행 법률의 사각지대 해소에 초점을 맞췄다. 예컨대 현재 임대료 증액 한도는 지역에 상관없이 기존 임대료의 5%로 고정돼 있는데, 이를 전년도 물가상승률 2배 내에서 시·도 조례로 정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서울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임대료가 월등히 높아 상승률 5%도 상당한 임대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전망한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 수준이다.

상가 임대료 인상 거부 - sang-ga imdaelyo insang geobu

건의안에는 분쟁조정 절차 참여 의무화도 담겼다. 현행법상 상가 임대차 분쟁 조정은 강제성이 없어 계약 당사자 모두 동의해야 진행된다. 상대방이 조정 참여를 거부할 경우에는 각하로 종결 처리된다. 2019년부터 올해 10월까지 분조위에 접수된 분쟁 조정 507건 중 39.8%(202건)가 상대방의 참여 거부로 각하됐다. 이럴 경우 신청인은 소송을 통해서나 분쟁을 해결할 수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분쟁 유형은 올해 접수된 135건 중 임대료 조정이 31.1%(42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계약해지 28.8%(39건), 수리비 26.6%(36건), 계약갱신 5.9%(8건), 권리금 5.1%(7건) 등의 순이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분쟁 조정 접수 후 피신청인의 분쟁 조정 참여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건의에는 계약갱신 요구 거절 사유 제한과 권리금 회수 기회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개선안도 들어 있다. 현행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은 최대 10년간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을 인정하지만, 임대료 3개월치를 연체한 적이 있다면 연체 시기와 관계없이 건물주가 계약갱신 요구를 거절할 수 있다. 가령 임차인이 계약 기간 8년 동안 임대료 3개월치를 한 번이라도 미지급한 적이 있다면 계약갱신을 거절당할 수 있는 것이다. 서울시는 “계약갱신요구권을 배제할 수 있는 사유 중 ‘3기의 차임액에 이르도록 차임을 연체한 경우’를 ‘최근 2년간 3기의 차임액에 이르도록 차임을 연체한 경우’로 기한을 한정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임대료 연체 기한을 최근 2년 내로 제한하자는 것이다.

임대료 연체로 임차인이 행사하지 못한 계약갱신요구권은 권리금 회수 기회 박탈로 이어진다. 현행법에서 3개월치 임대료를 연체한 임차인은 권리금 회수 기회 보호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임차인이 임대료를 연체한 사실이 있는 경우에도 권리금을 지급받는 것을 임대인이 방해하지 못하도록 규정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이 밖에 상가임대차 실거래가 신고 의무제도 도입해야 한다고 서울시는 제안했다. 주택 부문은 지난 6월부터 임대차계약 신고 의무제가 도입됐지만, 상가건물은 해당 사항이 아니다. 시는 “상가 임대료에 관한 정보가 없어 최초 계약 시 적정 임대료를 인지하지 못해 피해가 발생하고 계약갱신 시에는 임대인이 임대료를 과도하게 요구해도 비교대상을 찾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영희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서울시가 상생할 수 있는 건강한 임대차 시장 조성에 힘을 쏟고 있지만, 현행법이 임차상인의 권리를 보호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아 어려움을 호소하는 상담이 계속 들어오고 있다”며 “현행 법률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관련 법령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0

상가임대차 분쟁 서울시 상가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권리금 임대료

주요기사

  • 상가 임대료 인상 거부 - sang-ga imdaelyo insang geobu
    손흥민 내세운 메가커피 “광고비 60억, 가맹점도 분담”

  • 상가 임대료 인상 거부 - sang-ga imdaelyo insang geobu
    전주국제영화제 ‘정준호 파문’···영화인 이사 모두 “사퇴”

  • 상가 임대료 인상 거부 - sang-ga imdaelyo insang geobu
    손예진, 아들 첫 공개 “고슴도치 아빠 ♥현빈에 감사”

  • 상가 임대료 인상 거부 - sang-ga imdaelyo insang geobu
    행안부, 이태원 참사 대통령 두번째 지시 “언론 통해 파악”

  • 상가 임대료 인상 거부 - sang-ga imdaelyo insang geobu
    우크라 “전쟁 발발 이후 러시아군 10만명 이상 제거”

상가 임대료 인상 거부 - sang-ga imdaelyo insang geobu

상가 임대차 계약 기간 안에 임대료를 인상할 수 있을까요?

제가 알기로 임대차보호법 및 명도 관련한 게 문제가 될 것 같은데 이에 대해 임대차 변호사님께 정확히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우선 부모님께서 너무 싸게 받고 있는 상가가 있습니다
장사 잘 됩니다
(월세90) 제가 관리하려는데 알아보니 주변 시세가 180-200입니다
그래서 계약한지 1년 경과한 후(최초 계약으로부터는 5년 경과) 150으로 인상하려고 하는데, (이번 계약기간은 2017.11~2019.11이며, 현재 최초 계약일부터 거의 5년 임박했습니다
) 임차인이 자기들은 내년에 나갈 거라며, 월세 못 올려준다고, 말 걸지 마라면서 욕설에 고성만 지르고 대화가 불가능합니다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 줄 안다는 명언을 몸소 체험했습니다
질문드립니다
1. 계약기간 중에 5년이 경과하는데(2018.11), 2018.11에 임대료 인상할 시에 임대차보호법 한도가 적용되나요? 그렇다면 개정 전 계약이니 9%인지요? 아니면 최초 5년 지나고 인상이니 한도가 없나요? 2. 임차인이 임대료 인상을 거부한다면 내용증명을 보내고 인상된 금액으로 보증금에서 차감할 수 있나요? 3. 혹시 계약만료 전에 임대차보호 10년으로 바뀐다면 내년에 저 임차인을 내보낼 수 없게 되나요? 10년 바뀌더라도 이번 계약이 만료되면 갱신 거부하고 계약 해지 가능한지요? 4. 2019.11 만료 전에 계약해지 통보했는데도 이후에도 90만원만 이체하면서 안 나가면 만료 즉시 명도소송할 수 있나요? 계약 만료되면 권리금 보호나 연체 3기 이런 건 상관없죠? 5. 제 생각에 이 사람은 계약만료 후에도 안 나가서 결국 명도소송해야하지 싶은데, 나간다는 각서를 받아놓으면 소송 기간이 짧아질 수 있을까요? (화해조서는 불가능이고 각서도 안 쓸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 명도를 위해 미리 준비할 수 있는 자료는 뭐가 있을까요? 이 사람들 하수구 수리비도 부모님께서 반반 부담 약속하고 수리하셨는데, 고치고 나니 그 비용도 주지 않았습니다
6. 이건 다른 문제인데, 부당이득 반환 소송감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2014.09에 보증금 9천, 월세 200(부가세별도), 수도세 20만으로 임차한 상가가 있습니다
2017.09에 임대인이 월세 320으로 인상해서 울며겨자먹기로 월세를 320으로 계약을 했습니다
수도세10만으로 했습니다 - 저희 가게는 원래부터 수도를 거의 쓰지 않는데 1층이라고 수도세를 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인상 당시(2017.08)에 임대료 인상률 한도가 9%였더라구요
그때는 임대차보호법이라는 것을 잘 몰랐습니다
환산보증금 3억 지역이었는데, (지금은 5억이 됐구요) 당시 보증금 9천에 월세200이면 임대차보호법 적용 범위가 맞는 것이지요? 임대료도 부당이득 반환 소송이 있다는 것을 블로그 등에서 봤는데
당시 임대차보호법의 한도를 초과해서 인상했더라도 임대차계약서에 날인한 경우에는 반환 불가한 것인지요? 소송할 조건이 되는지 소송으로 얻을 이익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