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 탁 인기 - peulai tag ingi

“우리 인간만이 생존 경쟁을 넘어서서 남을 무시하고 제 잘난 맛에 빠져 자연의 향기를 잃고 있다. 남과 나를 비교하여 나만이 옳고 잘났다고 뻐기는 인간들은 크고 작건 못생겼건 잘생겼건 타고난 제 모습의 꽃만 피워 내는 야생초로부터 배워야 할 것이 많다.”황대권 씨가 옥중 경험을 토대로 쓴 《야생초 편지》에는 이 같은 구절이 나온다. 13년 동안 양심수로 복역하며 통찰한 현대 사회와 인간성에 대한 날 선 시선이 드러난다. 그의 말처럼 자연에는 생존을 위한 몸부림은 있을지언정 남을 우습게 보는 교만은 없다.야생화는 말한다. 모든 사람이 그들처럼 ‘제 모습’을 완성하는 데 공을 들인다면 우리 사회는 한층 조화로워질 것이라고. 1년도 채 되지 않는 야생화의 짧은 일생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봄이면 어김없이 언 땅을 뚫고 싹을 틔워 콘크리트를 비집고 나온 민들레, 산봉우리 바위틈에 뿌리를 내린 날개하늘나리의 끈질긴 생명력…. 이름 모를 야생화들은 한눈팔지 않는다. 꽃을 맺고 씨를 퍼트리는 일에만 오롯이 일생을 바친다. 생존을 위해 온 힘을 다하느라 다른 데 신경 쓸 여력이 없다. 하찮게 여겨지지만 밟혀도 죽지 않고 끝끝내 일어선다. 잡초 같은 집념이 이들의 무기다. 소박하면서도 경이로운 삶의 여정을 끝내고선 조용히 다시 흙으로 돌아간다.올여름에는 야생화를 찾아보자. 야생화는 땅바닥에 바짝 붙어있는 데다 대체로 크기가 작은 까닭에 고개를 많이 숙여야 비로소 자세히 볼 수 있다. 벌레 먹은 작은 이파리, 햇볕에 말라비틀어진 꽃잎까지 야생화가 걸어온 투쟁의 흔적들에서 동병상련의 아픔을 나눠 보는 건 어떨까. 여름 숲이 힘차게 뿜어내는 대지의 냄새를 맡으며 작은 생물의 위대한 생명력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따뜻한 위로가 온몸을 감싼다.여름은 사계절 중 야생화를 만나기 가장 좋은 시기다. 희귀한 야생화가 많이 자라는 해발 1000m 이상 고지에서 본격적으로 꽃들이 만개하는 시기다. 지친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녹음으로 가득한 오솔길에서 작지만 형형색색의 이야기를 간직한 야생화에 귀를 기울여 보자. 한 세대를 통틀어 꿈과 희망을 품는 일 자체가 사치가 된 지금, 남과 비교하며 오늘도 지친 마음으로 하루를 닫았다면, 떠나자. 숲으로, 숲으로.민경진 기자 [email protected]

프라이 탁 인기 - peulai tag ingi

  • 2

    몸 낮춰야 만나는 희귀 야생화…천상의 화원을 걷다

    강원 태백의 금대봉~대덕산 야생화 트레킹 코스는 전국에서 손꼽히는 야생화 명소다. 봄·여름에 걸쳐 범꼬리풀, 일월비비추, 산꿩의다리 등 이름부터 재미난 야생화 600여 종이 지천으로 널린 ‘천상의 화원’이 펼쳐진다.야생화 트레킹을 즐기려면 정선군 고한읍에서 태백으로 넘어가는 38번 국도의 두문동재에서 출발하는 게 정석이다. 이어 금대봉(1418m)을 지나 분주령, 대덕산(1307m)을 거쳐 검룡소 주차장으로 내려오는 약 9.4㎞ 거리에서 누구나 자연이 만들어 놓은 화원을 감상할 수 있다. 푸른 잎이 우거진 숲길을 걷다 평전(높은 곳에 있는 평평한 땅)에 올라서는 ‘걷는 재미’가 있는 코스다. 여름꽃이 수풀 사이로 듬성듬성 피어오르는 초여름 오후에 이 길을 걸었다. 소리 없는 생존 경쟁두문동재의 ‘두문(杜門)’은 ‘문을 닫아 둔다’는 뜻이다.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자 태백으로 내려온 고려 충신들이 인근 산간마을에 은거해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 두문동재의 또 다른 이름은 ‘불바래기’다. 화전민들이 산비탈에 놓은 불이 옮겨붙는 모습을 내려봤던 곳이라 이런 이름으로도 불렸다. 화전민들은 1968년 ‘화전정리법’이 공포되면서 뿔뿔이 흩어지거나 탄광촌으로 흘러 들어가 지금은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민둥산으로 남았던 옛 화전민 터는 1970년대 조림사업을 통해 일본잎갈나무가 빽빽이 들어선 숲으로 재생됐다.두문동재 초입에서 태백시의 시화(市花)인 함박꽃이 반겼다. 함박꽃은 하늘을 바라보고 개화하는 일반적인 꽃들과 달리 옆으로 꽃을 피운다. 흰색 꽃잎에 꽃밥이 붉은 모습이 주변의 녹음과 대비돼 특히 눈에 띈다. 조금 더 걸으니 호랑이 눈썹을 닮은 호랑버들이 군데군데 보였다. 물가에서 잘 자란다는 버드나뭇과 식물이지만 해발 1000m대 능선에서도 꼿꼿한 자태를 뽐냈다. 동해에서 불어온 습한 바람이 산봉우리에 걸려 습윤한 공기를 형성해준 덕분이다.천상의 화원이라곤 하지만 발에 치일 정도로 꽃들이 만개한 건 아니다. 눈여겨보지 않으면 모르고 지나칠 작은 꽃도 많다. 미나리아재비만큼은 옅은 노란색의 광택 덕분에 멀리서 보면 땅 위에 떨어진 금반지처럼 반짝이며 눈에 잘 띈다. 번식을 도와주는 벌레를 더 많이 끌어모으기 위해 이렇게 진화했다는데 사람 눈길을 끌기에도 충분히 매력적인 자연의 색이다.금대봉 가는 길에선 웨딩 부케로 쓰이는 노루오줌, 검은 꽃봉오리가 요강을 닮았다는 요강나물, 사람 또는 차가 다니는 길가에서도 끈질기게 자란다고 해서 ‘차전자(車前子)’로도 불리는 질경이 등이 소리 없는 생존 경쟁을 벌이고 있었다. 작은 키에도 햇볕을 한 뼘이라도 더 받으려고 꽃잎을 치켜세운다. 야생화 생태의 마지막 보루금대봉 인근 수풀에서 둥글게 말린 모양이 복주머니를 닮은 복주머니난을 만난 건 뜻밖의 행운이었다. 복주머니난은 전국에 1000여 포기만 남았을 만큼 희귀한 식물로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도 지정됐다. 이번에 발견한 개체는 탐방로를 벗어난 곳에서 자생하고 있었다. 보랏빛의 영롱한 자태를 먼발치에서 바라보는 데 그쳤다. 스마트폰 카메라의 줌인 기능으로 꽃봉오리를 자세히 살피며 아쉬움을 달랬다.대덕산 정상에 오르자 탁 트인 평전이 눈앞에 펼쳐졌다. 일대에선 고도가 가장 높아 세상을 발아래 놓는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발아래를 살펴보다 주황색 꽃잎이 달린 날개하늘나리를 발견했다. 비바람이 자주 몰아치는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식물인 만큼 꽃잎이 얇은 게 특징이다. 약 5m 떨어진 산비탈에서 또 다른 날개하늘나리 개체를 찾아냈다. 이 꽃은 한반도에 자생하는 11개 종류의 나리 가운데 유일하게 보호종(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됐다. 이렇듯 금대봉~대덕산 일대는 희귀한 야생화가 자생하는 한반도 생태계의 최후 보루 중 하나로 꼽힌다. 식물학자와 사진작가도 즐겨 찾을 만큼 생태학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하루 탐방객 300명만 받아요하산 코스인 검룡소 길은 대체로 완만한 내리막길이다. 검룡소는 한강의 최장(514㎞) 발원지로 금대봉 기슭의 빗물이 석회 암반 아래로 스며들어 이곳에서 다시 솟아난다고 한다. 하루 용출량은 2000~3000t에 달한다. 이 물이 북한강에 합류해 황해로 흘러간다.금대봉을 지나 분주령까지 이르면 대덕산 정상을 거치지 않고 검룡소로 바로 하산할 수 있다. 남은 체력과 일몰 시각 등을 고려해 코스를 선택하면 된다. 하지만 대덕산에 오르면 ‘고랭지’의 바람을 맞으며 태백산국립공원 일대를 조망하는 호사를 누릴 수 있기에 한 번쯤 오를 것을 추천한다.금대봉~대덕산 야생화 트레킹 코스는 환경부가 지정한 생태관광보존 지역으로 하루 탐방 인원은 300명으로 제한된다. 1주일 전 국립공원 홈페이지 예약시스템을 통해 예약해야 탐방할 수 있다. 두문동초소와 검룡소초소에 상주하는 국립공원 소속 숲해설가의 숲 해설도 신청할 수 있다. 야생화에 대한 정보와 지명에 얽힌 유래담 등을 생생하게 전해 들으며 트레킹의 재미를 더할 수 있다.태백=민경진 기자 [email protected]

    프라이 탁 인기 - peulai tag ingi

  • 3

    샤스타데이지 만발한 정선…닭의난초 싹 틔운 경주

    심산 구곡에 들어가야만 야생화를 즐길 수 있는 건 아니다. 야생화는 ‘보려고 하는 자’에게만 보인다. 유명 관광지나 도심 인근에도 야생화를 즐길 만한 장소가 의외로 많다. 야생화 군락지 가까이 있는 부대시설과 문화 행사를 곁들이면 그 자체로 훌륭한 패키지 여행이 완성된다. 야생화와 함께 여름휴가를 보낼 만한 국내 장소를 소개한다. 순백의 슬로프 가로질러볼까강원 정선 하이원리조트는 야생화와 문화·레저 시설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휴양지다. 하이원리조트는 2006년 스키장 개장 이후 85만㎡에 달하는 슬로프에 매년 20~40여 종의 야생화를 파종하는 등 야생화 군락 조성에 공을 들여 왔다. 현재 하이원리조트 슬로프에는 샤스타데이지를 비롯해 원추리, 목수국, 꽃양귀비 등 약 112종의 야생화가 자생할 만큼 풍부한 생태계가 자리 잡았다.그중 백미는 초여름 슬로프를 하얗게 뒤덮는 샤스타데이지다. 샤스타데이지의 꽃말은 ‘만사를 인내하다, 평화, 순수’다. 샤스타데이지가 수놓인 슬로프는 관람객에게 마치 다른 세상에 와 있는 것 같은 경이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샤스타데이지를 배경으로 한 포토존을 슬로프 곳곳에 설치해 ‘SNS 인생샷’ 명소로도 입소문을 탔다.만발한 샤스타데이지를 제대로 즐기고 싶다면 ‘하늘길 카트투어’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하늘길 카트 투어는 이용객이 한 시간 동안 전동카트를 운전하며 왕복 7㎞의 야생화 군락지를 감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운틴 광장에서 슬로워가든, 밸리허브를 지나 다시 마운틴 베이스로 돌아오는 코스로 구성됐다.원추리 군락지는 하늘길 카트투어의 인기 있는 하차지다. 하이원리조트의 브랜드 로고 주인공이기도 한 원추리는 근심을 잊게 하는 풀이라는 뜻의 ‘망우초’란 별명을 가졌다.속도감을 느끼며 야생화를 즐기는 방법도 있다. 최대 시속 40㎞의 알파인코스터를 타고 슬로프를 가로지르다 보면, 사방에 피어 있는 야생화 속으로 파묻히는 듯한 짜릿한 경험을 할 수 있다. 하이원의 알파인코스터는 국내 최장 길이인 총 2.2㎞ 코스로 이뤄졌다. 10곳의 업다운과 뒤틀림, 회오리 코스를 구성해 재미를 더했다. 가을엔 첨성대 핑크뮬리 구경을국내 유일의 사적형 국립공원인 경주국립공원은 야생화와 문화유적을 함께 볼 수 있는 곳이다. 토함산 지구는 경주국립공원 내 8개 지구 중 가장 다양한 동식물이 분포하는 지역으로 꼽힌다. 유명한 사적으로는 불국사, 석굴암 등이 있다.토함산 시부거리 탐방로(1.9㎞)는 계곡을 따라 다양한 야생화를 관찰할 수 있는 곳이다. 수분이 풍부한 토양 덕분에 봄이 되면 꼬리말발도리, 연복초, 왜미나리아재비, 족두리풀, 천남성, 변산바람꽃 등 다양한 야생화가 싹을 틔운다. 대표적인 여름꽃은 산골짜기 습지에서 자생하는 닭의난초다. 꽃잎이 닭의 부리를 닮았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애기송이풀도 토함산 일대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첨성대, 안압지, 계림 등 주요 사적이 모여 있는 경주 동부사적지도 야생화가 풍부하다. 첨성대 인근에 1만1104㎡ 규모로 조성된 야생화 단지가 특히 볼 만하다. 꽃양귀비를 비롯해 작약(함박꽃), 구절초, 소국, 벌개미취, 석죽 등 25개 종이 각 구역에 나눠 식재됐다. 가을에도 첨성대 주변으로 핑크뮬리와 메밀꽃이 개화해 볼거리가 이어진다.정선=민경진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