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zard ratio 의미 - Hazard ratio uimi

임상 연구에서 자주 사용하는 의학 통계

*모집단: 연구자가 최종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집단

*표본: 모집단에 대한 통계적 결정을 사지 위하여 모집단으로부터 대표성 있게 뽑은 집단 (표본이 대표성 있게 모집단을 반영하여야 함)

*가설의 검증

대립가설_연구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가설, 즉 연구가설로서 직접적 검정이 불가 

Alternative hypothesis (H1)

귀무가설_설정한 가설이 진실할 확률이 극히 적어 처음부터 버릴 것이 예상되는 가설, 영가설 이라고도 함,

Null hyoithesis(H0)

*P value: 유의 확률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하게 되는 기준이 되는 것이 p-value, 보통 p-value와 비교하기 위해서 유의 수준을 설정하며 대부분 0.05를 사용하기에 분석결과 p-value가 유의수준보다 낮은 값을 보이게 되면 귀무가설을 기각, 대립(연구)가설을 채택하게 되는 것.

*Hazard ratio: 누적위험함수비율

Hazard ratio는 일정 시간 간격에서 종료점의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시간 단위 기간으로 나눈 값, 실험군의 위험률을 대조군의 위험률로 나눈 값이다. 위험비는 P값과 신뢰구간을 통해 보완된다.  

; 위험비가 1이면, 실험군과 대조군이 동일한 위험률을 가진다는 의미

위험비가 1보다 크면, 실험군의 위험도가 증가 한다는 의미,

위험비가 1보다 작다면, 실험군의 위험도가 감소함다는 의미

*Cohort study

특정 인구집단(cohort)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여러 위험인자들을 미리 조사해

놓고 장기간의 추적을 통해 실제로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전향적(시간의 순서대로)

으로 추적 조사하는 연구, 특정요인에 노출된 집단과 노출되지 않은 집단을 추적하

고 연구대상 질병의 발생률을 비교하여 요인과 질병 발생관계를 조사하는 연구방법

이다. 어떤 원인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가를 연구하는 방법으로 시간적인 개념을

포함한다.

*Odd ratio(교차비)

환자-대조군 연구(case-control study)는 질병을 갖고 있는 환자군과 질병이 없는 대조군을 모집하고 그들로부터 여러 가지 위험인자에 대한 정보를 후향적으로(현재에서 과거로) 조사하여 질병발생과 위험인자와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연구로서 이 연구에서는 코호트 연구에서 사용하는 상대 위험도를 계산 할 수 없고, 대신 교차비(Odd ratio)를 통해 질병과 위험인자의 연관성을 표현한다. Odds 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일이 있을 가능성(공산)”으로 질병이 있을때의 odds 와 질병이 없을때의 odds를 구하여 그 비를 odds ratio , 교차비 혹은 승산비로 정의 한다.

*Relative risk(상대 위험도)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질병이 발생하는 비율과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질병이 발생하는 비율의 비로 정의, 상대위험도가 클수록 위험이자와 질병 발생간에 연관성이 큰 것으로 간주한다.

상대 위험도(Relative risk)

교차비(Odds ratio)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에 비해 위험인지가 있을 때 질병이 발생할 상대적 위험도

질병이 있는 경우 위험인자 유무의 비와 질병이 없는 경우 위험인자 유무의 비의 비

코호트 연구에서 사용

환자-대조군 연구에서 주로 사용

임상적 의미가 분명함

통계분석에서 수학적인 장점이 있음

특히,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이 교차비를 통해 질병 발생의 위험을 설명한다.

*Univariable analysis: 연관성 검정, 그룹간 비교 검정 with no adjustments for other variable

*Multivariable analysis: 연관성 검정, 그룹간 비교 검정 with adjusting for other variables

*Type of variable

a. 범주형 변수(Categorical variable)_명목형 변수(nominal variable), 순서형 변수(Ordinal variable)

b. 연속형 변수(Continuous variable)

1. 범주형 변수와 범주형 변수간 연관성

,흡연상태(C, P, N)와 폐암 발생과의 연관성

흡연상태(Current, Past, Never)_명목형 범주, 그룹(C, P, N)

폐암 발생(,)_ 명목형 범주,그룹(폐암군, 정상군)

흡연상태와 폐암 발생과의 연관성은

  1. 흡연상태(C, P, N)와 폐암 발생(Y, N) 비율이 차이가 있는가?  

  2. 폐암군과 정상군의 흡연상태(C, P, N) 비율이 차이가 있는가?

    서로 독립인 그룹간 범주형 변수의 범주 비율 비교 검정

폐암군

정상군

Total

C

28 (80%)

7 (20%)

35

P

20 (67%)

10 (33%)

30

N

5 (25%)

15 (75%)

20

Total

53

32

85

가설 흡연상태(C, P, N)와 폐암 발생 비율이 차이가 있다(80% vs 67% vs 25%)

  • 서로 독립인 그룹(C, P, N)간 범주형 변수의 범주 (폐암 발생 여부)의 비율 비교

가설 폐암군과 정상군과의 흡연상태 비율이 차이가 있다 (53%, 35%,9%) vs(22%, 31%, 47%)

  • 서로 독립인 그룹(폐암군, 정상군)간 범주형 변수의 범주(C, P, N)의 비율 비교

명목형 변수와 명목형 변수간 연관성 검정, 서로 독립인 그룹간 범주형 변수의 범주 비율 비교 검정: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 하루 흡연량(0, =10/day, 10/day) BP level(SBP: 130, 130~150, =150)간 연관성

가설 세 군(흡연량) BP level 비율이 다르다(흡연량, BP level: 명목형 변수 취급)

  • 서로 독립인 그룹간 비율 비교: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가설 흡연량이 많을수록 BP level이 높다. (흡연량, BP level: 순서형 변수 취급)

  • 두 순서형 변수간 상관분석: Spearsman’s correlation analysis

2. 범주형 변수와 연속형 변수간 연관성

, 폐암 발생 여부와 하루 흡연량(개피/day)과의 연관성

   폐암 발생 여부: 명목형 변수, 그룹(폐암군, 정상군)

   하루흡연량(개피/day): 연속형 변수

*출처_네이버, 삼성서울병원 의학통계의 기초, Wikipidia,의학논문 비평 가이드,http://dermabae.tistory.com/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