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영어 독해 - nonmun yeong-eo doghae

...

저널정보

  • 한국콘텐츠학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학술저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 2009.07 411 - 418 (8page)

저자정보

  • (광주여자대학교)
논문 영어 독해 - nonmun yeong-eo doghae

이용수

내서재

0

피인용수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 독해 전략이 영어 독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3개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대학생이 사용하는 독해 전략을 연구하였고, 둘째, 성별에 따른 영어 독해전략 사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셋째, 영어 숙달도에 따른 영어 독해전략 사용의 차이점을 연구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한국대학생들은 6가지의 범주중 에서 기억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한 반면 초인지전략을 가장 적게 사용하였다. 둘째, 성별에 따라 독해 전략 사용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영어 숙달도에 따른 독해 전략 사용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독해전략 사용이 영어 독해 능력을 강화 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영어 선생님들은 영어 독해 수업시간에 학습자들에게 맞는 적절한 독해 전략 사용을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s of English reading strategies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by Korean college students. Reading strategy use was assessed through Oxford's self-report questionnaire in reading strategies. This study has three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was to investigate some reading strategies used by college students. The second question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reading strategies between two groups in gender. The third question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reading strategies of three college student groups according to their English proficiency estimated by reading scores. Som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English learners use memory strategies most frequently of the six strategies, while using metacognitive strategies least frequently. Second,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strategies between the gender group. Third, there also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strategies among the three groups divided according to English proficiency. This study shows that students' reading ability can be strengthened and motivated by some reading strategies in reading practice. It also means that it is necessary for English teacher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reading strategies suitable for the students in their reading classes.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분석 및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소개

참고문헌 (1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 스키마 활성화가 영어 독해에 미치는 영향

    김경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8.11

  • 대학생의 읽기불안감과 영어성취도에 따른 읽기전략사용 연구

    임희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5.05

  • A Study on Youtube Video-Watching Activities and their Effects on Improving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김나영

    디지털융복합연구

    2019

  • 모바일 폰 활용이 대학생들의 영어 독해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정

    문화기술의 융합

    2019

  • 독해 · 영작 중심의 교양영어프로그램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영헌 ,  현일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0.09

이 논문의 저자 정보

논문 영어 독해 - nonmun yeong-eo doghae

김경훈

소속기관 광주여자대학교

주요연구분야 복합학 > 학제간연구 TOP 10% 공학 > 토목/환경공학

논문수 64 이용수 7,720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004-018553569

검색키워드 주제어 : 독해 전략 (검색결과 130 건)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한글로보기

  • 1
  • 2

    Exploring Chinese EFL University Students’ Use of English Reading Strategies

    펑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 원문보기
    • 목차검색조회
    • 음성듣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EFL university students’ use of English reading strategies, gender and their English reading proficienc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01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88 males and 113 females who are study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at 4 different universities in Shaanxi province and Guangdong provinc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concerning strategies they use when reading academic materials in English. The strategy use was measured utilizing Mohktari and Sheorey’s (2002) Survey of Reading Strategies (SORS). The strateg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global, problem-solving, and support reading strategies. CET (College English Test) band 4, which is a popular English test for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was examined to prove students' English reading, listening and writing abilitie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21.0 and Microsoft Excel 20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overall tend to use problem-solving reading strategies more actively, followed by global and support reading strategies.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and males and females overall tend to use reading strategies with a medium level. Third, the utilization of reading strategies and reading proficiency are significantly related. However,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proficiency and these three kinds of reading strategies separately,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exist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support reading strategies and reading proficiency.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EFL 대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영어 독해전략과, 성별, 영어 읽기 능력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는 중국의 중부지방, 산시성, 남부지방, 광동성 등 4개의 대학에서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남학생 88명과 여학생 133명 총 201명과 함께 진행되었다. 학생들은 영어로 학술 자료를 읽을 때 사용하는 전략에 관한 설문지에 참여했다. 전략 사용은 Mohktari and Shereyy (2002)의 독해전략 설문 조사 (SORS)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전략은 글로벌(Global), 문제 해결(Problem-solving) 및 독해전략 지원(Support) 의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CET4(College English Test) 4급 시험은 중국 대학생들이 영어 읽기, 듣기 및 쓰기 능력을 증명할 수 있는 필수적인 영어 시험이다. 데이터는 SPSS (Social Sciences를 위한 통계 패키지) 21.0과 Microsoft Excel 201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생들은 글로벌 전략 지원을 통해 문제 해결 독해전략을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독해전략을 사용할 때 남성과 여성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여성은 독해전략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둘째, 독해전략과 독해력 사용은 유의미한 관련이 있지만 관계가 강하지 않다. 셋째, 독해력, 문제 해결 및 독해전략 간의 관계를 개별적으로 분석 한 결과, 지원 독해전략 (Support Reading Strategy)과 독해력 사용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3

    고등학생과 중학생 독해전략 비교 연구

    추영경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 원문보기
    • 목차검색조회
    • 음성듣기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은 오랜 시간 새로운 교수법 등장에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 동안 변화 없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었다. 특히, 실업 고등학교를 제외한,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대학 진학이 주된 목적이 되어버린 현실 속에 영어 교육 또한 암기 과목 내지는 시험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였다. 하지만 국제어로서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교육의 중요성은 나날이 그 비중을 더해하고 있다. 현실상 , 영어의 비중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어떤 이견이 있을 수 없으며, 2001년부터 처음으로 초등학교에서 영어가 정규 교과로 채택되어 영어를 배워온 학생들이 중학교에 들어와 새로 적용되는 7차 교육과정에서 학습을 하게 되었다. 7차 교육과정의 큰 핵심은 개인차를 고려한 개인의 능력에 맞는 학습과 여전히 의사소통능력을 중시한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수학 능력시험이 점점 통합교과적인 방법으로 종합적인 사고력을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언어의 네 기능의 통합적 발전이 중요하며, 얼마나 빠르게 지문을 읽고 이해, 분석, 판단하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핵심이 된다. 그 중 독해 영역의 중요성은 현실상, 영어를 외국어로써 사용하고 있는 EFL상황에는 꾸준하게 강조되어 왔다. 그 이유로 첫째, 주변 정세의 흐름에 따라 세계화를 지향하는 현대인들은 신속한 사회 변화의 흐름에 발맞춰 나아가기 위해서는 전공서적, 신문, 잡지, 인터넷 그리고 기타 간행물들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둘째, 현실적으로 대학 수학 능력 시험과 각종 여러 가지 시험에서 독해력 문제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독해의 기능은 회화 위주의 구두 청각법에 비해 짧은 시간에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데 효율적이다. 따라서 독해 교육이 체계적으로 시작되는 중학교에서부터 독해기술과 독해전략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독해가 이루어지게 하는 지도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외국어 학습 전략에 관한 연구들을 보면 학습 전략의 사용은 학습자에게 자신감을 주어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고 학습 동기를 높여 학습할 때 새로운 정보를 이해하고 저장하며 재생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취하는 구체적인 행동이나 생각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스스로 통제하는 책략이라는 점에서 교수책략(teaching strategy)과 구별된다.(Dansereau, 1958; Rigney, 1978; O'Malley & Chamot, 1990; 이효웅, 1994) 외국어 학습 책략은 학습자가 의미 있고 실질적인 의사소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을 돕는 목표 지향적인 행위이며, 학습하는 방법에 대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의 외국에 학습에 대해 스스로 책임질 줄 아는 학습자의 자율성을 도모한다.(Brown, 1991; Cohen & Hosenfeld, 1981 ; O'Malley & Chamot, 1990; Oxford, 1990; Wenden & Rubin, 1987). 따라서 학습자 개개인에 맞는 독해전략 사용은 학습자 중심교육의 중요한 핵심이 될 수 있다. 외국어 학습책략은 비교적 용이하게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Ehrman & Oxford, 1990; O'Malley & Chamot, 1990). 또 한 가지,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의 지표인 대학 수학능력의 시험이 실질적으로 중, 고등학교의 "Washback Effect" 효과로 현 교실 수업의 영어 교육 교수법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일은 자명하다. 앞서 말했다시피, 최근에 7차 교육 과정에 따라. 대학 수학 능력 수업이 점점 통합적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의 사고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그 방향이 전환이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독해의 비중이 가장 많은 평가의 영향을 자리 잡고 있다. 즉, 여전히, 얼마나 빠르게 지문을 읽고 내용이해, 분석, 판단하느냐 하는 독해 전략이 현실적으로 한국에서의 영어 학습 교수에 중요한 핵심인 것이다. 독해는 제 2외국어로써 영어를 배우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다른 기능인 말하기, 듣기, 쓰기 중 가장 효율적 기능의 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실험을 통하여 중학교에서부터 독해기술과 독해 전략을 적절히 활용하여 추이에 따라 효율적인 독해 학습 이루어지는지 현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의사소통 영어 능력교수법에 좀 더 도움을 주고자 한다. 즉 독해 자체의 교육의 중요성을 통하여 의사소통 영어 중심의 영어 수업에 효율적인 독해 교수와 독해 학습의 전략진행을 이용한 수업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선행 연구를 보면, 효율적 독해 전략을 위한 연구는 많았으나,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습자 비교 추이에 따른 효율적 독해 전략에 관한 연구는 없었으므로 이에 초점을 맞추어 논문을 진행하였다.

  • 4

    독해점검전략의 활용이 비판적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소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 원문보기

    본 논문은 최근 읽기 교육의 패러다임과 현대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고력 중심 읽기의 중요성이 부각됨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의 읽기 교육에서는 비판적 읽기의 전략적 접근조차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비판적 읽기를 위한 전략 탐색을 위해 비판적 읽기가 상위 인지적 조절의 성격이 있음을 먼저 살피고, 그에 따라 읽기에서의 상위인지 조절전략인 독해점검전략을 비판적 읽기의 전략적 측면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그리고 독해점검전략의 활용이 '비판적 읽기'능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점검함으로써 비판적 읽기를 위한 방법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독해점검전략 활용은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가? 둘째, 독해점검전략 활용은 비판적 읽기 하위요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따라 Ⅱ장에서는 비판적 읽기의 특성과 비판적 읽기를 위한 독해점검전략의 활동과제를 구안하였다. 비판적 읽기의 인지과정이 상위인지적 조절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성격에 착안하여 읽기에서의 상위인지 조절전략으로써 독해점검전략을 살폈다. 그리고 비판적 읽기를 위한 독해점검전략의 활동과제를 특정점검기준에 따라 질문을 활용하고 내용을 점검 및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구안한 독해점검전략 활동과제를 활용하여 Ⅲ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서울시 관악구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62명을 대상으로 1개학급 31명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31명은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사전 · 사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게 비판적 읽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실험집단만을 대상으로 6주 총 14시간에 걸쳐 3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실험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t검증 및 변량분석을 통해 통계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제시하고, 통계적인 효과성에 토대로 두고 비판적 읽기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실험을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해점검전략의 활용을 학습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비판적 읽기 능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둘째, 독해점검전략의 활용학습은 비판적 읽기의 하위요소에 각각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의미 있는 수준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독해점검전략의 활용은 비판적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지을 수 있으며, 따라서 현장에서의 비판적 읽기 학습은 독해점검전략의 점검기준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과제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과제의 구안과 더불어 비판적 읽기의 개념정립에 따른 체계적인 교육내용과 위계화와 같은 기초작업의 시도와,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및 읽기능력에 따른 전략의 활용양상이나 지도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 · 학습적 접근에 대한 연구도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improvement of thinking faculty gains in importance to stay abreast with changes in reading education and modern society, but school education fails to figure out how to approach critical rea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ccordingly, to discuss critical reading as a vehicle of acquiring higher cognitive controllability and a strategic use of reading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which was a higher cognitive control strategy, for critical reading. It's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reading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on critical reading in a bid to help improve critical reading 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Does a reading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have any effects on enhancing critical reading ability? 2. Does a reading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have any effects on critical reading subfactor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Chapter II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al reading and how a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strategy should be applied. Since cognitive process depended on higher cognitive controllability in the field of critical reading, reading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was selected as a means of higher cognitive control. The reading comprehension-monitoring program was designed to be variable by asking questions according to some specific criteria. Chapter III made an experiment by us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program prepared in the preceding chapt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2 students in two sixth-year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in Gwanak-gu, Seoul. The two classes were respectively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ook a critical reading tes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three-stage experiment was conducted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14 sessions for six weeks. Chapter Ⅳ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t-test and two-way ANOVA, gave an explanation about the results, and made some sugges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reading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made a significant more progress in critical read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wasn't. Second, the reading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was significantly effective for critical reading subfactors,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reading 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y had a favorable impact on critical reading ability, and critical reading education will be successful if a wide variety of criteria are employ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asks are taken into account. Future research efforts need to prepare more appropriate tasks, arrange what to teach, and carefully consider in which way critical readi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light of elementary schooler critical disposition and reading ability.

  • 5

    고등학생의 영어 독해 전략 사용 및 상위인지 인식과 자기주도학습과의 관계 연구

    송승민 아주대학교 2006 국내석사

    • 원문보기
    • 목차검색조회
    • 음성듣기

    효과적인 영어 독해를 위해 읽기 전략과 상위인지 전략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연구들이 최근에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가 실제로 효과적인 독해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독해전략들이 상위인지 인식 및 자기주도 학습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연구한 것은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등학생들이 효과적인 독해를 위해 사용하는 독해 전략을 살펴보고 상위인지 인시 및 전략이 자기주도 학습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 180명을 대상으로 독해 시험과 상위인지 인식 전략 설문 그리고 자기주도 학습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들을 각각 상위, 중위,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통계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상위인지 전략과 자기주도성은 각각 성별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고등학생들은 남녀구분 없이 영어독해에서 다양한 전략들을 사용하려고 노력하며 비슷한 상위인지 인식과 자기주도 학습태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영어 능력이 우수한 상위 집단일수록 자신의 독해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높았고 자기주도성 중에서 창의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직도 많은 학생들이 기본적인 독해과정에서도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자기주도성 중에서 창의성, 자율성, 자아개념, 문제 해결력, 자기 평가 그리고 개방성 점수가 높은 학생들은 하향식 독해 과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어려움 인식에서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영어 독해에서는 자신감이 높았으며 효과적인 전략과 보상 전략들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었고 자신들의 효과적인 전략의 사용을 잘 인식하는 상위인지 능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자기주도성 중 내재적 동기의 점수가 높은 학생들은 효과적 전략 사용과 보상 전략 면에서만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상위인지 전략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효과적 전략인식이 내재적 동기 외의 다른 구인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효과적 전략과 어려움 인식 중 하향식 독해전략이 창의성과 자율성, 개방성 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에 상위인지 전략은 자기주도성의 내재적 동기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내재적 동기만 가지고는 독해에서 상위인지 전략을 능숙하게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 자기주도성이 상위인지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율성은 효과적 전략의 하향식 독해전략과 보상전략에, 창의성은 효과적 전략의 두 가지 독해전략에, 자기평가와 문제해결은 자신감에 각각 상당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처럼 자기주도성의 자율성과 창의성 및 자기평가와 문제해결 등이 상위인지의 여러 전략들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자기주도성과 상위인지 전략이 서로 상위인지 적으로 공통적인 요소를 많이 내포하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상위인지 전략 인식과자기주도성은 상호 강력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상위인지 전략과 자기주도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생의 학업능력 예측변인이 상위인지 전략의 자신감과 효과적 전략의 상향식 전략 그리고 자기주도성의 창의성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자신감이 가장 강력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의 영어 독해능력의 예측 변인들은 자신감과 함께 창의성 및 상향식 독해 전략 등임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외국어 학습자로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은 영어 독해를 할 때 자신감과 창의성 및 자율성이 높은 경우에 그리고 상향식 독해 전략에 능숙한 경우에 영어 독해에서 성공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전략 사용에 대해 스스로 잘 알고 평가하며 조절할 수 있는 상위인지 인식 능력이 발달한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보다 영어 독해 학습에서 보다 성공적일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하향식 및 상향식 독해전략 뿐만이 아니라 두 독해 전략을 결합한 상호작용 독해전략 역시 훈련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동시에 학생들에게 영어 독해 학습에서 상위인지 인식 능력과 함께 자신감과 창의성 및 자율성을 보다 증진시켜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기주도 적이고 상위인지 인식 면에서 뛰어난 영어학습자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학생들은 각자의 관심사에 맞는 다양한 다독과 함께 읽기에 듣기를 결합한 학습방법을 습관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새로운 역할도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리고 영어독해와 관련하여 학생들의 자기주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 수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고등학생들에게 다양한 독해 전략들과 상위인지에 대한 지도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수업 현장에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될 필요가 있다.

  • 6

    상위인지전략 지도가 고등학생의 영어 독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일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 원문보기
    • 음성듣기

    이 연구의 목적은 상위인지전략 지도가 고등학생들의 영어 독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차시로 이루어진 상위인지전략 지도 수업이 구안되어 비교 집단 없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학생들은 준비, 시연, 연습, 점검, 평가의 총 5개 단계로 이루어진 상위인지전략 지도 수업을 통해 상위인지 독해 전략을 익히고 활용하여 독해를 하도록 지도를 받았다. 상위인지전략 지도가 학생들의 영어 독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영어 독해 능력 검사가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또한 정의적 영역과 상위인지전략 사용에 대한 설문도 사전과 사후로 나뉘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들은 t-검정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상위인지전략 지도를 받은 학생들은 영어 독해 능력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상,중,하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중,하위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반면, 상위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독해영역의 성취 기준(글의 중심내용 파악, 세부내용이해, 글의 논리적 관계 파악, 글의 맥락 파악)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전체 집단의 평균성적이 향상되었으며, 이 중 글의 맥락파악을 제외한 중심내용파악, 세부내용 이해, 논리적인 관계 파악, 세 개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상,중,하 집단별로 분석한 결과로는 중위 집단은 중심내용 파악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하위집단에서는 논리적인 관계 파악 및 세부내용 이해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반면에 상위 집단에서는 평균 성적이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영어 독해에 대한 흥미, 자신감, 적극성, 상위인지전략 사용에 대한 필요성으로 이루어진 정의적인 영역과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상위 집단의 경우 독해에 대한 자신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중위 집단에서는 네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하위 집단의 경우에는 영어 독해에 대한 흥미와 상위인지전략 사용의 필요성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상위인지전략 사용과 관련하여 계획, 점검, 평가전략으로 이루어진 세 개의 상위인지전략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특히 독해에서 실수의 원인 밝히기, 자신의 독해과정이 옳았는지 확인하기, 지문에 대한 자신의 추측이 옳았는지 확인하기와 같은 전략사용이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상위인지전략을 활용한 영어 독해 수업이 학습자들의 독해 능력과 정의적인 면, 상위인지 전략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으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대조반 없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대조반을 통해 상위인지전략 지도가 영어독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비교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의 특성과 각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상위인지 독해 전략 지도 방안을 구안하여 적용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7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독해 전략의 사용 : 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권주경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 원문보기
    • 목차검색조회
    • 음성듣기

    This study surveyed what reading strategies had been good English readers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based on the results, suggested effective English reading strategies that would be helpful to other English learners and finally proposed effective teaching learning plans for improvi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2 1st, 2nd and 3rd year students at academic high school in Dongducheon, Gyeonggido, an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nglish reading and abili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but good readers showed higher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reading than poor readers. Second, good English readers used more reading strategies before English reading than poor ones, but most of good and poor English readers did not use direct strategies before English reading. Third, strategies used in English reading were considerably different between good readers and poor readers. Fourth, guidance for English reading strateg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in reading skills, and good readers perceived more keenly the necessity of guidance for reading strategie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First, if teachers stimulate learners' motive for learning using various reading strategies and provide guidance for reading by level and stage, reading education can be executed in a more desirable and effective way fittingly for students' level. In addition, learners need to develop abilities to comprehend new words and phrases intuitively by studying various types of reading materials including articles, conversations, and interviews. Lastly, Korean textbook developers should include English reading strategies in textbooks and suggest how to improve English reading skills.

  • 8

    영어 독해전략 연구 : 독해 능숙도와 스키마를 중심으로

    박수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 원문보기
    • 음성듣기

    독해를 보는 최근 경향은 독해가 해독과 사전지식의 상호과정이며 그 과정에서 독자가 능동적으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여러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독해과정에 사용되는 독해전략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대표적인 것이 독해 능숙도와 사전지식, 즉 내용스키마와 형식스키마이다. 본 논문에서는 독해 능숙도와 사전지식이 독해전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해 보았다. / 독해의 본질은 '글과 독자의 상호작용'이기 때문에 읽기의 결과를 연구한 기존의 연구는 그 상호작용을 규명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았다. 읽기의 결과는 독해능력의 결과물일 뿐 읽기능력 자체와 능력이 발휘되는 과정을 설명해줄 수는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독해과정을 좀 더 직접적으로 들여다보기 위해 생각 말하기 방법을 사용하여 독해 시 독자들의 머릿속에서 진행되는 사고과정을 살펴보았다. / 본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독해 능숙도가 높을수록 모든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독해 능숙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인 전략은 문장의 구조, 참조, 사전지식, 글의 구조 등이었다. 독해 능숙도가 높을수록 특히 하향식 전략의 사용이 활발함을 알 수 있었다. 독해 능숙도에 상관없이 상향식 전략, 하향식 전략, 상위 인지적 전략 순서로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특히 두 집단 모두 상향식 전략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실험대상이 영어를 배운지 3년 된 중학생으로 아직은 상위의 독해전략을 개발하지 못하고 문장의 해독에 중점을 두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둘째, 내용 스키마와 긍정적인 관계에 있는 전략은 주로 하향식 전략이었으며 부정적 관계에 있는 The recent view of reading is that reading is the interactive process of decoding and schema and readers use various strategies to construct the meaning. Among the important elements that affect the reading strategies, there are reading proficiency and schema, so called content schema and formal schema. This study reports the effect of the reading proficiency and schema on the reading strategies. / As the essence of reading is the interactive process of writing and reader,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sult of reading are not enough to define the interaction. The result of reading is only the product of reading competence so it cannot tell the competence itself and the process of performing this competence. In this study, think-aloud protocol was used to examine the process of thought and to get a direct picture of reading process. /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roficient readers and less proficient readers, by cloze test. They read the original version(unfamiliar content, familiar form), altered content version(familiar content, familiar form), altered formal version(unfamiliar content, unfamiliar form). The recorded think-aloud protocols were transcribed and labeled as belonging to the reported category.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followings. / First, the more proficient the readers are, the more strategies they use and the strategies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ading proficiency are intrasentential features, reference, previous knowledge, and text structure strategy. This shows reading proficienc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op-down strategy. Regardless of the reading proficiency, students use bottom-up strategy the most, secondly top-down strategy, thirdly metacognitive strategy and the bottom-up strategy take the largest potion of the total frequency. This shows that the objects of this study, beginners as English readers, lack of the high-level strategies, and concentrate on the decoding strategies.

  • 9
  • 10

    한국 대학생들의 메타인지 인식 및 영어 독해전략 사용에 관한 통합적 연구

    김율이 전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 원문보기
    • 목차검색조회
    • 음성듣기

    There has been lots of studies about reading strategy use and metacognitive awareness of Korean students. The finding is that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English reading proficiency and reading strategy use originated from metacognitive awareness. However, many researches are conducted through just one tool called a questionnaire. To get further findings about research question, the present study is carried out through more than one research t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reading strategy use and metacognitive awarenes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English reading proficiency. The research questions examined by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reading strategy and metacognitive awareness based on students reading proficiency level?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of the attitude and the level of reading strategy use and metacognitive awareness after participants self-report MARSI questionnaire. Third,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actual reading strategy use and documented MARSI questionnaire according to subjects' proficiency level. For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pre-interview, think-aloud protocol, a questionnaire based on MARSI from Mokharti and Sheorey(2002) and retrospective interview are conducted to 38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Questionnaire data results were analyzed by Kruskal Wallis Test. In addition, interview data and video-taped data which show students' thinking process while reading are investigated by descriptive statistic such as frequency, means and percentag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perceived reading strategy and metacognitive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 MARSI item 13(I adjust my reading speed according to what I'm reading) indicat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divided into reading proficiency in the frequency of individual reading strategy use. Second, most subjects respond to the retrospective interview that they know and use problem-solving strategies much more than other strategies through a retrospective interview. The most remarkable aspect in this interview is that the middle-level group is more interested in reading strategies of MARSI than other group. Furthermore, they are willing to not only use them for future reading but also expect positive reviews. Third, there were the differences between actual reading strategy use and documented MARSI questionnaire according to subjects' proficiency level. As students reading proficiency is great, the rate of consistency of reading strategy use and awareness are high. In case of middle-level and low-level students, they have a similar consistency rates. According to the research, middle level subjects know reading strategies much more than high and low level students. Middle level participants, however, didn't apply the strategies to reading. It implies that teachers should set up learning conditions to make middle level students choose the perfect learning strategies for themselves, use them and finally automate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Teachers should also provide a variety of reading strategies with low level students to improve recognition level of reading strategies. A probe into reading strategy and meatacognitive awareness suggests that students need to have a chance to know and use a variety of reading strategies in person although the present study results of MARSI questionnaire reveals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reading metacognitive awareness and reading proficiency. The reason is that other study analysis thorough interviews and think-aloud protocol indicates that high-level groups can use their strategies when they need. If students get lots of exposure to reading strategies, they can get an ability to distinguish and use the necessary strategy for effective reading automatically. Then using suitable reading strategies will make them get a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r be a autonomous learners, by extension, their reading proficiency will be improved. When it comes to research methodological framework, this research also implies that integrated research design is required to get a detailed information and answer about research questions.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hrough only one instrument such as questionnaire whil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by questionnaires, think-aloud protocol and interviews. When it considers that the finding of first research question was different from other researches, integrated research design is needed to get a detailed information and answer about research questions. 독해 실력 향상을 위해 학습자의 메타인지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관련 연구가 많이 실행되었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독해 능력과 독해 전략에 대한 학습자의 자기 인식이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하지만 많은 연구들이 메타인지 측정 목록이 담긴 설문도구 한 가지만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인식된 독해 전략들이 실제로 사용되는지 해석에 있어서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선행 연구들의 한계점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독해 성취도와 독해 전략에 대한 학습자의 자기 인식 및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하여 MARSI목록이 담긴 설문지, 인터뷰, 사고 구술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와 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가설인 ‘영어 독해 학습자의 독해 능력에 따라서 영어학습자가 인식하는 독해 전략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결론은 대부분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개개 전략 사용 빈도에 있어서 가장 큰 집단 간 편차를 나타낸 문항은 ‘문제 해결 전략에서 읽고 있는 글에 따라 글 읽는 속도를 조절 한다’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가설인 ‘MARSI 목록을 통한 자기 보고를 한 후 학습자들의 독해 전략 인식 수준과 태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학습자들은 문제 해결 학습 전략을 가장 많이 인식 및 사용하고 있다고 하고 응답하였고 비슷한 수준으로 총체적 학습 전략과, 지원적 학습 전략을 인식 및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중위그룹의 학습자들이 상·하위그룹 학습자들에 비해 실험을 통하여 알게 된 학습 전략을 사용해볼 의향이 높았고 학습에 대한 결과도 긍정적일 것이라고 하였다. 세 번째 연구 가설인 ‘영어학습자가 MARSI 목록을 통하여 자기 보고한 독해 전략 인식 수준과 실제 사용 수준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위그룹 학습자일수록 개인이 인지하고 있는 학습 전략의 사용 수준과 실제 사용 수준이 일치하는 확률이 높았고, 중위그룹과 하위그룹 학습자들의 일치수준은 상위 그룹 학습자들보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의하면 중위 학습자들은 상·하위 그룹 학습자들에 비해서 인식하고 있는 독해 전략의 수는 많지만 실제 사용하는 수준까지는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위 그룹 학습자들의 독해 실력 향상을 위해서는 인식하고 있는 독해 전략들을 선택하여 사용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전략들의 사용 수준을 높인 후 전략 사용이 자동화 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하위 학습자들은 다양한 독해 전략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학습 환경을 조성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독해 전략별 사용 수준을 살펴본 결과 학습자들은 총체적·지원적 독해 전략 보다 문제해결 독해 전략의 인식 및 사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독해 학습 습관을 구축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은 한 가지 독해 전략만 사용 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목적에 맞는 독해를 하기 위해서 어떤 독해 전략을 인식하고 사용해야 하는지 스스로 사고해 볼 기회를 만든 후 자신에게 적합한 독해 전략을 사용해 보아야 한다. 또한 독해를 통해 정보를 얻고 문제를 푸는 활동에서 만족하지 않고 더 나아가 새로 얻게 된 정보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여 능동적이고도 자율적인 독해 학습자가 되기를 바란다.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한글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