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문제 pdf - jungsegug-eo munje pdf

고등 문법 중세국어 자료

공부와 수능/국어 / 초속36.5mm / 2019. 12. 5. 12:29

반응형

LIST

중세국어.hwp

0.08MB

안녕하세요?

고등학교에서는 문법을 더 심화해서 배우게 됩니다.

그래서 중세국어 자료를 올려드렸는데요,

열심히 공부하시고 중세국어 문제를 다 맞춰보아요!!

728x90

반응형

저작자표시

  • 중세국어 문제 pdf - jungsegug-eo munje pdf
  • 중세국어 문제 pdf - jungsegug-eo munje pdf
  • 중세국어 문제 pdf - jungsegug-eo munje pdf
  • 중세국어 문제 pdf - jungsegug-eo munje pdf

태그고등, 문법, 중세국어

공부와 수능/국어 관련 글

  • 외래어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 한글맞춤법 파일

    2019.12.05

  • 중세국어 문제 pdf - jungsegug-eo munje pdf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시행) 국어 10번 문제 풀이

    2019.09.04

  • 문학 개념어 정리(1)

    2019.05.26

글 더보기

0

댓글을 달아 주세요

비공개

댓글을 남겨주세요

">

  • «
  • 1
  • ···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
  • 136
  • »

중세 국어 개념, 기출문제 해설입니다.

들으신다면 영상이 기니까 배속으로 들으시는 걸 추천합니다.

https://youtu.be/AMPt3aSgCwU

1. 중세 국어의 특징

(1) 한글의 제자원리

① 초성(자음)

상형의 원리: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기본자를 만듦 (ㄱ, ㄴ, ㅁ, ㅅ, ㅇ)

가획의 원리: 소리의 세기를 반영하여 기본자에 획을 더하는 것 (ㅋ, ㄷ, ㅌ, ㅂ, ㅍ, ㅈ, ㅊ, ㅎ)

이체자: 가획의 원리를 따르지 않고 만들어진 글자 (ㄹ, △, ㆁ)

② 중성(모음)

상형의 원리: 천(天), 지(地), 인(人)의 모양을 본떠서 기본자를 만듦 (⦁, ㅡ, ㅣ)

초출자: 기본자를 조합하여 만듦 (⦁+ㅣ= ㅓ, ㅣ+⦁= ㅏ, • + ㅡ → ㅗ, ㅡ + • → ㅜ)

재출자: 초출자에 ‘⦁’를 붙여서 만듦 (ㅗ + • → ㅛ, ㅏ + • →ㅑ, ㅜ + • → ㅠ, ㅓ + • → ㅕ)

③ 종성(자음)

종성부용초성 – 종성은 초성을 가져와서 쓴다.

*8종성법 – 받침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8개의 자음이 온다.

(2) 문자의 운용

① 연서: ‘ㅂ, ㅍ, ㅃ, ㅁ’ 밑에 ‘ㅇ’을 이어 쓰는 것 (ㅸ-순경음 비읍, ㅱ, ㆄ, ㅹ)

② 병서

각자 병서 – 같은 글자를 나란히 쓰는 것 (ㄲ, ㄸ, ㅃ, ㅆ, ㅉ, ㆅ)

합용 병서 – 다른 글자를 나란히 쓰는 것 (ㅺ, ㅼ, ㅽ, ㅳ, ㅄ, ㅶ, ㅷ, ㅴ, ㅵ)

→ 어두 자음군이 있었음.

③ 방점: 글자의 왼쪽에 점을 찍어서 성조(음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것

평성: 낮은 소리(방점 ×) - 손[客], 발[足]

거성: 높은 소리(방점 1개) - ·손[手]

상성: 처음은 낮고 나중은 높은 소리(방점 2개) - :발[簾]

④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우리 한자음을 중국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는 방법.

초성, 중성,종성을 갖춰서 적고, 종성이 없으면 ‘ㅇ’이나 ‘ㅱ’ 등을 붙임.

中중國귁에 달아 文문字장와로, 내 이를 爲윙하야

(중국과 달라 문자와, 내가 이것을 위하여)

⑤ 지금은 없어진 •(아래아), ㆆ(여린 히읗), ㅸ(순경음 비읍), ㅿ(반치음), ㆁ(옛이응) 등이 사용됨

⑥ 소리나는 대로 쓰는 이어적기가 주로 사용

이어적기(연철): 꼬치, 꼬츨

거듭적기(중철): 꽃츨, 꽃치

끊어적기(분철): 꽃이, 꽃을

⑦ ‘ㅎ’ 종성 체언: 모음과 ‘ㄱ’ 등으로 시작되는 조사 앞에서 체언에 ‘ㅎ’이 덧붙어 나타나는 것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ㅎ’은 뒤따르는 모음에 이어 적는다.

'바다’ + ‘이’ → ‘바다이’(×), ‘바다’ + ‘ㅎ’+ ‘이’ → ‘바다히’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 ‘ㅎ’은 뒤따르는 ‘ㄱ’과 ‘ㄷ’과 어울려 ‘ㅋ’, ‘ㅌ’으로 나타난다.

‘하늘’ + ‘과’ → 하늘콰(하늘ㅎ+과)

관형격 조사 ‘ㅅ’: ‘ㅎ’은 나타나지 않는다.

‘바다’ + ‘ㅅ’ → ‘바다ㅅ’ (바닿ㅅ ×)

※ 수캉아지(수ㅎ+강아지), 수탉(수ㅎ+닭), 머리카락(머리ㅎ+가락), 안팎(안ㅎ+밖)

(3) 격 조사

① 주격 조사: 이, ㅣ, Ø (‘가’는 사용되지 않다가 16세기 후반에 출현)

이: 자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 쓰임 (仙人(선인)이, 벼리(별이) )

Ø : ‘ㅣ’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 쓰임 (불휘 기픈(뿌리가 깊은))

ㅣ: ‘ㅣ’ 이외의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 쓰임 (내(나 +ㅣ), 연화ㅣ, 부톄(부텨 +ㅣ) )

⑤ 호격 조사: 하 (임금하[임금이시여])

(4) 의문 표시 보조사

① 의문사가 있을 경우(고/오): 大師(대사) 하샨 일 아니면 뉘 혼 거시잇고

(설명 의문문) (대사 하신 일 아니면 누가 한 것입니까?)

② 의문사가 없을 경우(가/아) : 어마니믈 아라보리로소니잇가

(판정 의문문) (어머님을 알아보겠습니까?)

*의문사: 의문의 초점이 되는 사물이나 사태를 지시하는 말.

‘누구’, ‘언제’, ‘어디’, ‘무엇’, ‘왜’, ‘어떻게’, ‘얼마’ 따위가 있다.

(5) 선어말 어미

①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 -샤-’ 사용

어드븐 길헤 업던 번게를 하늘히 발기시니, 닐굽 거르믈 거르샤 니르샤대

(어두운 길에 없던 번개를 하늘이 밝히시니) (일곱 걸음을 걸으시며 이르시되)

(6) 음운 현상

① 두음법칙이 나타나지 않음. (닐굽 거르믈 거르샤 니르샤대[일곱 걸음을 걸으시며 이르시되])

② 구개음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뒤헤는 모딘 도적[뒤에는 모진 도적])

③ 모음조화가 비교적 잘 지켜짐. (양성 모음: ㅏ, ㅗ, ∙ 음성 모음: ㅓ, ㅜ, ㅡ )

(7) 단어의 의미 변화

① 의미 확대: 영감(정삼품과 종이품의 벼슬아치) → 남자 노인 + 고위 공무원, 지체 높은 사람

② 의미 축소: 놈(사람 전체) → 남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③ 의미 이동: 어리다(어리석다) → 나이가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