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목욕 문화 - hangug mog-yog munhwa

역사가 기록하고 있지 않아도 목욕은 문명 발생의 초기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다. 다만 기록이 없으니 고대의 목욕 문화는 추측에 근거할 수 밖에 없다. 냇물이나 샘에서 씻거나 물을 길어와 집 뒤뜰에서 목욕을 했을 것이다. 그리고 마침 운 좋게 근처에 온천이 있다면 푸근하게 몸을 담갔으리라.

한국 목욕 문화 - hangug mog-yog munhwa

<삼국사기三國史記>권 제17 – 고구려본기 제5 서천왕 17년.
붉은 색으로 표시된 부분에 온탕溫湯이라고 적혀있는 것이 보인다.

궁금함을 풀어주는 건 고대의 역사서들이다. 남아있는 가장 오랜 역사서인 삼국유사에는 알에서 태어난 박혁거세BC 69~AD 4를 동천東泉에서 목욕시켰다는 기록이 있는데, 후에 진평왕은 이곳에 동천사東泉寺라는 절을 지었다고 한다. 중국이나 일본에는 온천 기록들이 다수 보이는데 서주시대 주유왕BC 777년경이 만들고 양귀비가 목욕했다는 화청지華清池가 있고 일본에는 성덕태자?~622가 즐겨 찾았다는 도고온천道後溫泉이 지금도 그 자리에서 영업을 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온천이 많지 않은 한반도에서는 <삼국사기>에 “왕의 동생인 일우逸友, 소발素勃이 모반하였을 때 질병을 사칭하고 온탕에 가서 온갖 무리들과 어울려 유락遊樂을 즐겼다.”서천왕 17년, 286년는 기록이 있다.
그런데 목욕이 좀 더 문명적인 행위가 되는 것은 청결이나 미용, 건강과 같은 가치를 추구하기 위해 자연을 단순히 이용하는 것이 아닌, 목욕을 위한 구조물이나 도구를 만들기 시작하면서 부터일 것이다. 우리는 도구들을 통해 목욕이 문명적 행위로 재해석되는 정황을 그것들에서 살펴볼 수 있다. 로마 제국 카라칼라 황제의 목욕탕220년 무렵 설립은 1,600명을 수용했다고 하는데 열탕· 온탕·냉탕은 물론이고 노예들의 시중, 마사지사, 올리브 기름칠, 스트리질strigil이라는 때밀이 금속도구 등이 목욕 문화를 구성했다. 로마인들에게 목욕은 정복을 통해 쌓은 부에 기반한 향락적 행위였음이 목욕 문화에 고스란히 나타난다.

그렇다면 한반도의 역사에서 나타난 목욕 문화들은 어땠을까? 오늘날 증거가 남아있는 몇 가지 대표적 사료들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자.

근대식 공중목욕탕은 1924년 평양에 처음 생겼다고 한다. 서울에 등장한 것은 그 이듬해였다. 공중목욕탕은 비록 동성끼리라고 해도 낯선 이들에게 알몸을 보여줘야 하는 곳이다. 조선의 유교문화에서 몸은 함부로 남에게 보여주지 않는 것이었기 때문에 공중목욕탕은 상상도 하기 힘든 것이다.
그러나 시대를 건너뛰면 신라시대에 공중목욕탕이 등장한다. 신라의 공중목욕탕은 몸을 씻는 행위를 종교적으로 해석하는 문화에 따른 것이다. 바로 불교의 몸을 씻는 것이 마음을 씻는 것이라는 ‘목욕재계’의 가치가 널리 퍼졌고, 절에서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몸을 씻어야 하니 절 안에 공중목욕탕이 생긴 것이다. 즉 한반도에서 목욕 문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불교 덕분인 셈이다. 이와 함께 조두澡豆팥과 녹두 등을 갈아 만든 가루비누, 향유와 향수와 저장용 병, 칸이 나눠져 있는 화장품 저장함土器化粧盒 같은 도구들이 사용되어 목욕이 청결뿐만 아니라 미용과도 만났음을 보여준다.

“남녀 구별 없이 모두 의관을 언덕에 두고 물굽이에 따라 벌거숭이가 되어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실려 있다.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저자 서긍徐兢은 애당초 삽화를 넣었다는데, 전해지는 것은 그림이 없는 부본뿐이라는 것이다. 목욕 장면을 그림으로 그렸는지 여부는 알 수 없지만, 있었다면 고려 시대의 개방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작품이 되었을 지도 모를 일이다. 고려 시대는 조선 시대보다 개방적인 사회였다. 부인이나 승려도 남자처럼 절을 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남녀 재산 균등 상속은 무려 17세기 즉 조선 시대 중후반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이런 개방성을 잘 알 수 있는 대목이 바로 남녀 혼욕 문화인 셈이다. 그것도 몰래 하는 혼욕이 아니라 모두에게 공개된 시내에서 했다는 것은 오늘날의 한국 문화에서도 상상하기 힘든, 서구의 누드비치nude beach에서나 볼 법한 자유로움이다.

대중탕에 가면 있는 ‘이벤트탕’은 우리 모두에게 친숙할 것이다. 그런데 소위 말하는 ‘이벤트탕’에 준하는 비법이 조선시대에도 존재했다. 동의보감에는 ‘몸에 향이 나게 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목욕물에 향초를 넣는 방법이 쓰여 있다. 모향茅香/香茅의 잎을 다진 물이나 영릉향零陵香을 넣은 물에 목욕을 하면 나쁜 냄새가 없어지고, 몸에 향기가 난다고 한다. 이 밖에도 건강을 위한 인삼탕, 마늘탕도 있었다. 그러나 이런 목욕은 대중목욕탕이 없던 조선시대에는 양반 일부의 전유물에 불과했고, 더구나 알몸을 꺼렸으므로 옷을 입은 채 부분 목욕을 하는 것이 풍습이었다. 그래서 발달한 것이 커다란 함지박이었다. 물론 사람이 들어갈 만큼 큰 함지박이 아니라 그 옆에서 물을 끼얹으며 쓸 용도였을 뿐이다.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목욕도구는 함지박이 아닐까?

찜질방에 한 번이라도 가본 사람은 사방이 벽돌로 막히고, 뜨거운 ‘한증막’에 대한 기억이 있을 것이다. ‘한증汗蒸/汗烝’이란 특수하게 만든 탕에 높은 열을 보장하고, 그 속에 일정한 시간 들어가 있으면서 몸에 땀을 내어 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한증을 이용한 시설이 최초로 기록에 등장한 것은 세종 때이다. 세종실록과 문종실록에 실린 바에 따르면 관의 보호와 감독을 받는 ‘한증소’라는 시설이 존재했으며, 질병의 구료에 이용되었다고 한다. 드라마 <왕의 얼굴>2014년 방영, KBS은 최초로 한증소를 드라마 속에서 보여줬는데 왕선조과 왕자광해군로 분한 배우들이 소위 식스팩을 자랑하고 있기도 했다. 그런데 통일신라 시대에 이미 돌에 물을 끼얹어 증기를 내서 목욕하는 증기욕이 발달했고 이것이 일본에까지 건너가 일본 서민들이 한증탕을 공중목욕탕으로 이용했다고 한다. 한증의 역사도 천 년을 기록하는 셈이다.

우리나라의 목욕 역사



서양과 마찬가지로 동양에서도 고대부터 대중목욕탕이 있었다. 대체로 동양에서는 불교가 전래되면서 목욕이 종교의식으로 승화되어 일반인들에게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 서양과는 다르게 제의를 위한 자기 정화의전신적 성격을 더 많이 지녔던 것. 

우리나라는 신라시대에 목욕제계를 계율로 삼는 불교가 전해지면서 목욕이 습관화되었으며, 마음을 깨끗이 하라고 죄수에게 목욕벌을 내리기도 했다. 조선시대 때 특히 혼례를 앞둔 규수는 살갗을 희게 하기 위해 인삼탕, 창포탕, 복숭아잎탕, 쌀겨와 쌀뜨물, 밀가루 등을 세정제로 썼다. 이처럼 시대와 종교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한 우리의 목욕 문화는 단순히 몸을 청결히 하는 것 이상의 의미(의식과 청결)를 가지고 있다.



> 고조선 

우리나라 민족의 청결사상과 흰 피부에 대한 숭상은 다른 민족에 비해 유난히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단군신화>를 보면 우리나라 한민족의 첫 주거지가 향나무의 일종인 박달나무 근처라고 전해지며, 이것은 고조선 사회의 한국인들이 향유, 향료를 애용하여 희고 아름다운 피부를 숭배한 사상을 뜻한다. 그렇지만 이 시대의 목욕에 관한 역사는 지금 전해지지 않아 추측할 뿐이다. 



> 삼국시대 (신라)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가 동천(東泉)에서 그의 왕비 알영이 북천(北泉)에서 목욕했다는 것이 우리나라 목욕 역사에 있어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삼국 중 신라가 목욕 문화가 가장 발달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것은 불교의 전래로 향 문화가 발달했고 목욕재계를 중시하여 목욕의 대중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절에는 대형 공중 욕조 시설이 생겨났고, 가정에도 목욕시설이 구비되었다. 목욕이 신체를 깨끗이 하는 단순 청결 개념에서 마음의 죄를 씻어내는 신성한 의식 수단으로 이용되어 사찰행사 뿐 아니라 엄숙한 행사 등에는 반드시 목욕을 하는 관습이 있었다고 한다. 



> 고려시대 

고려인들은 하루에도 서너 차례 이상 목욕을 즐겼으며 남녀의 혼욕과 향 목욕이 발달하였다. 성문화가 개방적이었던 고려 시대에는 여자와 남자가 난초탕, 또는 복숭아 꽃물 등의 목욕을 같이 즐겼으며 온천요법도 즐겼다고 전해진다. 난초를 삶은 물이나 복숭아꽃물은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 난(蘭) 목욕

지나치게 뜨거운 물은 난이 갖고 있는 향을 없애버리므로 따듯한 물에서 한 번 우려낸 후 20분 이상 입욕을 한다. 이 때 얼굴과 머리에도 같이 사용해주면 난의 은은한 향취가 배어 향기로워진다. 은은하고 품위있는 향을 느낄 수 있다. 



> 조선시대 

고려의 성문화를 퇴폐시하는 시대로 유교사상이 중시되었던 조선시대에는 내면의 아름다움과 외면의 아름다움을 동일시하는 이념으로 청결을 중시하였으므로 목욕 문화가 발달한 시대다. 특히 세수를 하지 않고 사람을 대하는 것을 가장 수치로 여겨 신분에 관계없이 아침에 가장 먼저 하는 행위가 세수였고, 치료 목적인 온천욕과 한증욕도 많이 즐겼다. 그리고 제례 전에는 반드시 목욕을 해서 몸을 깨끗이 했다. 목욕을 하더라도 반드시 의관을 정제하고 하였으며, 서민들은 냇가 등의 장소에서 목욕을 하였으나 양반들은 목욕통을 준비하여 헛간 또는 부엌에서 하거나 '정방'이라는 목욕소를 실내에 설치하였다. 



> 개항 이후 

근대적 개항 이후에는 목욕의 문화 차이로 불편을 느끼는 서양인을 위하여 서양식 호텔과 여관이 생겼으며 모든 숙박업소에서는 목욕탕을 구비하였다. 또한 1900년 부산에서 온천을 개발하면서 공중 목욕시설이 생겨 오늘날 대중 목욕탕의 시초가 되었다. 



> 현대 

일제시대 일본인의 추진으로 1924년 평양에서 최초의 목욕탕이 생겼으며, 서울에 공중 목욕탕이 생긴 것은 1925년이다. 오늘날 같이 집안에 목욕탕이 생겨난 것은 1970년대 아파트가 대량으로 건설된 이후부터라고 한다. 한편, 우리나라의 독특한 때밀이 목욕문화는 1988년 올림픽 이후 외국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으며 관광 상품화되었다. 때를 밀 때 쓰이는 '이태리 타월'은 1964년 일본 관광객이 부산 온천장에 버린 꺼칠꺼칠한 수건에서 힌트를 얻어 만들었는데, 이 원단을 만드는 '이태리식 연사기'란 기계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자료출처 : 이니스프리]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SB리치패밀리

저작자표시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IT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상식] 비가 오면 왜 머리가 더 곱슬해 질까요?  (0)2019.08.02[자연/과학] 바다가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0)2019.08.02[건강/의학] 헌혈에 대한 몇가지 사실과 오해  (0)2019.07.31[과학/의학] 잠을 자기위해 눈을 딱 감았을때 나타나는 빨간 점들의 정체는?  (0)2019.07.31[과학/자연] 과학에 대한 상식  (0)2019.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