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사회적 경제기업 성공사례 - haeoe sahoejeog gyeongjegieob seong-gongsalye

목차

미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그레이스턴 베이커리(Greyston Bakery)
 봄바스(Bombas)
 핫 브레드 키친(Hot Bread Kitchen)
 러브 유어 멜론(Love Your Melon)
 와비 파커(Warby Parker)
 코라(Cora)
 굿윌(Goodwill)
 뉴 스토리(New Story)

캐나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굿 풋 딜리버리(Good Foot Delivery)
 럭키 아이언 피시(Lucky Iron Fish)
 오소유스 인디언 밴드 개발공사(Osoyoos Indian Band Development Corporation, OIBDC)

 엠버스(EMBERS, Eastside Movement for Business & Economic Renewal Society)

영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클리어보이스(Clearvoice)
 오티콘(Auticon)

프랑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피닉스(Phenix)
 오리가미(Oreegami)


독일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독일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좁링에(Joblinge eAG)
 슈타트비넨 협회(Stadtbienen e.V.)
 베저홀츠 협회(Weserholz e.V.)
 스페인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스페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바텍 모빌리티(Batec Mobility)
 라 파제다(La Fageda)
 스웨덴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스웨덴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바스타(Basta)
 얄라 린케비(Yalla Rinkeby)

일본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리노베타(Rennovater)
 애즈마마(AsMama)
 토쿠타케 산교(Tokutake Sangyo)
 니혼 리카가쿠 인더스트리(Nihon Rikagaku Industry)

베트남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베트남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코토(KOTO - Know One, Teach One)
 사회적기업 지원 센터(CSIP, Center for Social Initiatives Promotion)
 마루(MAROU)
 메콩 퀼츠(Mekong Quilts)
 저니 오브 센시스(Journey of Senses)

말레이시아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말레이시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에픽(Extraordinary People Impacting Communities: EPIC)
 비지-비지 디자인(Biji-Biji Design)


인도네시아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인도네시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웨이스트포체인지(Waste4Change)
 서타니오 오가닉 인도네시아(Sirtanio Organik Indonesia)

태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태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도이 캄(Doi Kham)
 로컬 얼라이크(Local Alike)

호주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호주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포 퍼포스(For Purpose)
 백트랙 웍스(Backtrack Works)
 스트리트(Streat)
 땡큐 그룹(Thankyou Group)

인도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인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셀코(SELCO)
 러브로컬(LoveLocal)

해외 사회적 경제기업 성공사례 - haeoe sahoejeog gyeongjegieob seong-gongsalye

[서울=뉴시스]코트라는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9일 밝혔다. 2020.12.09. (사진=코트라 제공)

[서울=뉴시스] 조인우 기자 = 코트라(KOTRA)가 미국·영국·인도·베트남 등 14개국 소재 사회적경제 기업의 성공 사례를 분석했다고 9일 밝혔다. 코트라는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보고서를 발간해 한국의 혁신 창업 모델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코트라 해외시장뉴스 홈페이지에서 열람할 수 있다.

코트라는 "지역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착한 기업’이 세계적 대세"라며 "빈곤, 실업난, 환경보호 등 다양한 이슈를 일자리 창출, 지역사회 재생, 사회서비스 제공 등 기업형 비즈니스로 연결해 경제 생태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고 했다.

1982년 문을 연 미국 뉴욕주 그레이스텐 베이커리는 지난해까지 사회적 취약계층에 3500개의 일자리를 제공하며 지역 노숙자·실업 문제 해결에 앞장섰다. 수익금은 비영리단체 그레이스턴 재단에 전달되며, 지역 구직자를 상대로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사회적 공헌을 지속하고 있다.

스페인 낙농기업 라 파제다는 정신질환이나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제공하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고품질 유제품을 개발·생산·판매하고 있다. 창업주 콜론 박사가 협동조합으로 시작한 카탈루냐 지방 요구르트 업계 3위이자 종업원 300명의 중견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베트남 기업 마루는 2011년 호치민 외곽 농장을 여행하던 청년 두 명의 의기투합으로 출발했다. 카카오 원두의 터무니없이 낮은 가격에 직접 초콜릿 공장을 만들어 공정한 가격으로 원두를 구매하기로 한 것. 비싼 값에 원두를 구입해 초콜릿 가격도 높아졌지만 단골고객이 늘면서 손익분기점을 넘겼고, 직원수 100명의 기업으로 성장했다.

미국 자선기관 뉴스토리는 세계 최초로 3D 홈 프린터를 개발해 노숙자, 이재민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주택을 짓고 있다. 건설기술 스타트업 아이콘과 협업해 48시간 안에 집을 지을 수 있는 방법을 고안, 지속적인 기술 업그레이드로 4000달러만 확보하면 24시간 안에 주택 완공이 가능한 상황이다. 2013년 설립 이후 4개 국가 25개 지역사회에 2300채 이상의 주택을 공급했다.

코트라에 따르면 미국은 대부분의 주에서 세금 감면이나 공공기관 우선 구매와 같은 혜택을 제공한다. 프랑스는 사회적경제기업 전용 디지털 플랫폼 허브를 개발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투자자 만남을 주선하는 등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성숙한 지원제도가 뒷받침되고 있다.

권평오 코트라 사장은 "코로나19 이후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기업 생존의 키워드로 떠올랐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사회적경제기업이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로 더욱 각광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해외 사회적 경제기업 성공사례 - haeoe sahoejeog gyeongjegieob seong-gongsalye
핫 브레드 키친은 차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과 이민자, 유색 인종에게 제빵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적경제기업이다. [사진=핫 브레드 키친 홈페이지]

사회적경제기업은 불평등, 빈부격차, 환경파괴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사회혁신을 추구함으로써, 공동체 구성원 모두의 행복을 우선하며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경제 활동을 하는 기업(또는 조직)을 말합니다. 해외의 사회적경제기업이 어떤 경제 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시장의 가능성을 소개합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의 취재를 통해 작성했습니다. <편집자 주>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③=핫 브레드 키친

[굿잡뉴스=박지인 기자] 핫 브레드 키친은 미국 사회에서 발생하는 언어 소통의 문제, 차별과 편견으로 구직을 못하는 여성 이민자들, 저소득층의 노동 인권 향상과 경제적 자립을 돕고 있는 사회적기업이다. 지역 사회 전반에 걸쳐서 경제적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설립배경=미국 내 여성 이민자의 미래 개척 돕기

핫 브레드 키친은 뉴욕에 있는 평범한 빵집이 아니다. 제빵사 출신의 인권 옹호자로 살아온 제스민 로드리게스는 이민 사회가 뉴욕시에 기여한 공로를 세상에 널리 알리고, 남성이 주도해오던 식품 산업에서 여성의 바람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핫 브레드 키친을 설립했다. 소외 계층인 여성 이민자와 그 가족들이 미국에서 더 나은 미래를 개척할 수 있도록 함께 모여 경력을 쌓고, 제빵 기술을 익히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한 것이다. 설립자인 제스민 로드리게스 역시 캐나다에서 온 이민자 출신이었다. 

◆ 회사 미션/비전=차별받는 사람에게 직업교육과 창업 서비스 제공

미국 사회에서 차별받고 있는 여성, 이민자, 유색 인종에게 직업 교육과 창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사회에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이민사회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널리 알리려 한다. 

회사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이민자 인권과 경제력 향상

핫 브레드 키친은 이민자들이 지역사회 경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면서, 차별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사회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 애쓴다. 

핫 브레드 키친은 4주 과정의 일자리 교육인 ‘워크포스 프로그램’을 통해 이민 여성들이 지역 내 식품 산업 관련 회사에 취업할 수 있게 돕고 있다. 취업에 성공한 이들은 지역사회 일원으로 성장하고, 장기적으로는 직접 이민자 인권과 경제력 향상에 기여하는 선순환 구조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해외 사회적 경제기업 성공사례 - haeoe sahoejeog gyeongjegieob seong-gongsalye
4주 과정의 ‘워크포스 프로그램’을 통해 이민 여성들이 지역 내 식품 산업 관련 회사에 취업할 수 있게 돕고 있다. [사진=핫 브레드 키친 홈페이지]

핫 브레드 키친을 대표하는 또다른 지원 프로그램으로 ‘창업 인큐베이터’가 있다. 이 프로그램은 부족한 재정에도 불구, 식품 시장에서의 성공을 꿈꾸는 예비 창업자에게 사업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고, 이들의 안정적인 시장 진출을 돕는 프로그램이다. 

성장과정 & 성장전략=지역식당 납품에서 시작해 벼룩시장에서 명성 획득

브루클린에 위치한 창업주 제스민의 가정집에서 시작한 핫 브레드 키친은 교육생이 만든 빵을 지역 식당에 납품하면서 성장해 나갔다. 이후 뉴욕의 유명한 사회적기업인 ‘그로우NYC’가 주관하는 벼룩시장에서 교육생들의 빵을 판매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핫 브레드 키친의 이름을 알려나가기 시작했다. 

핫 브레드 키친의 궁극적인 목적은 ‘소외 계층이 사회에 나가 수입을 창출할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설립 3년차부터는 할렘지역에서 창업 인큐베이터용 사무실을 오픈하면서 소외계층을 돕는 일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섰다. 핫 브레드 키친이 세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였다. 

◆ 사회적 영향력 평가=지역사회에 1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효과 창출 

지난 10년 동안 핫 브레드 키친은 여성에 대한 지원과 식품 창업 지원을 확대했다. 식품 산업에서 소외계층인 여성의 경쟁력을 키우는 데 노력했다. 

지금까지 핫 브레드 키친은 60개국 여성 이민자 280명을 지역 내 식품 시장에 성공적으로 취업시켰다. 인큐베이터 사업을 통해 약 250개 업체의 창업을 지원했다. 이런 활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지역사회에 1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해외 사회적 경제기업 성공사례 - haeoe sahoejeog gyeongjegieob seong-gongsalye
핫 브레드 키친은 새 CEO의 취임과 함께 교육 프로그램과 창업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박지인 기자]

핫 브레드 키친이 할렘지역에 인큐베이터 사무실을 개소한 이후, 해당 지역에 230 여개 소상공인들이 입주하여 소외계층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과 낙후지역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 위기 극복 과정=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을 공공자금 지원받아 극복 중 

코로나19의 확산과 미국 내 인종차별로 인해, 2020년 핫 브레드 키친 출신들은 큰 어려움을 겪었다. 핫 브레드 키친의 취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취업자 중 40% 이상이 뉴욕시 재택근무 시행과 동시에 직장을 잃었다. 해당 프로그램 참여자의 60% 이상이 팬데믹 발생 직후부터 최근까지 수개월 간 수익이 없었다. 인큐베이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업체 중 35%도 절반 이상의 매출 감소를 겪었다. 

핫 브레드 키친은 코로나19와 인종차별 사태로 발생한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사회와 함께 노력하고 있다. ‘긴급 대응 펀드’라는 자체 재정 지원 프로그램을 만들고,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민자들이 정부에서 제공하는 실업 급여, 재정 지원 프로그램, 경제 재난 구제 대출, 공공자금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자금 확보 방법=개인자금과 대출 

정부의 지원 없이 창업자 개인 자금과 대출로 시작했다. 현재는 수많은 기업과 재단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 취업 교육생들이 만든 빵이 시중이 판매되면서부터 지난 10년 간 총 1천5백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했다. 

◆ 향후 계획=교육 및 창업 프로그램 규모 확대 

핫 브레드 키친의 사내이사로 활약하던 샤오리 센이 CEO로 승진하면서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핫 브레드 키친에 새로운 비전이 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에는 할렘지역에 있던 기존 인큐베이터 사무실을 브루클린으로 옮겨, 교육 프로그램과 창업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까지 연 평균 100 여명의 교육생을 배출해온 핫 브레드 키친은 새로운 환경에서 더 많은 교육생을 배출할 수 있게 됐다. 최첨단 주방 설비를 갖춘 인큐베이터 사무실을 거쳐 간 창업주들이 훌륭한 기업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