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1. 철근이란

콘크리트속에 묻혀서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강재를 말한다.

1). 종류

⑴원형철근 : 표면에 리브 또는 마디 등의 돌기가 없는 원형단면이 봉강인 철근
⑵이형철근 : 표면에 리브 또는 마디 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인 철근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2). 명칭

⑴주철근 : 설계하중에 의하여 그 단면적이 정해지는 철근을 말한다.
⑵정철근 : 슬래브 또는 보에서 정(+)의 휨모멘트에 의해서 일어나는 인장응력을 받도록 배치한 주철근을 말한다.
⑶부철근 : 슬래브 또는 보에서 부(-)의 휨모멘트에 의해서 일어나는 인장응력을 받도록 배치한 주철근을 말한다.
⑷배력철근 : 응력을 분포시킬 목적으로 정철근 또는 부철근과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적 철근을 말한다.
⑸축방향철근 : 부재의 축방향으로 배치한 철근을 말한다.
⑹사인장철근 : 사인장응력을 받는 철근을 말하며 전단보강 철근이라고도 한다.
⑺비틀림철근 : 비틀림응력이 크게 일어나는 부재에서 이에 저항하기 위하여 배치하는 철근을 말하며, 폐합스터럽과 종방향 철근으로 되어 있다.
⑻스터럽(stirrup) : 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복부철근을 말한다.
⑼절곡철근 : 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구부려 올리거나 또는 구부려 내린 복부철근을 말한다.
⑽띠철근 : 축방향 철근을 소정의 간격마다 둘러싼 휭방향의 보조적 철근을 말한다.
⑾나선철근 : 축방향철근을 나선형으로 둘러싼 철근을 말한다.
⑿조립형철근 : 철근을 조립할땐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쓰는 보조적 철근을 말한다.
⒀가외철근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온도변화, 기타의 원인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인장응력에 대비하여 가외로 더 넣는 철근을 말한다.


2. 철근의 보관

철근은 방치하면 표면에 녹이 발생하며 심할 경우 부식케 되며 기능을 잃게됨으로 보관관리에 유의하여야 한다.

1). 방법
①정지된 바닥에 비닐 등을 깔고 지면에서 20㎝이상 떨어지도록 각목 등을 놓고 적재한다.
②물에 침수가 되지 않도록 주변에 배수로를 설치하고 비,눈 등이 맞지 않도록 천막 등을 덮는다.
③철근은 규격별로 구분 보관하고 작업장 근처에 적재한다.
④장기간 보관을 요할때는 녹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방청처리를 한다.
⑤장래 증측을 위하여 구조물로부터 노출해 놓은 철근은 손상, 부식 등을 받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3. 철근의 가공

철근조립에 앞서 철근을 설계도면에 따라 정확한 치수로 재질을 해치지 않게 절단, 절곡하는 것을 말한다.

1)방법
①철근은 상온에서 가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가공에 의하여 곧게 할 수 없는 철근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③유해하게 굽은 철근을 사용하지 않는다.
④도면치수 및 현상대로 shear cutter 또는 쇠톱으로 절단한다.
⑤원형철근의 말단부는 반드시 hook를 설치한다.
⑥이형철근의 기둥단부, 대근, 굴뚝철근, 단순보 지지단, 캔트레버는 반드시 hook를 설치한다.


4. 철근의 허용응력

철근은 규정된 허용응력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 완전한 구조물이 시공되도록 하여야 한다.

1). 허용응력
휨부재의 철근허용(압축 및 인장)응력은 아래값을 표준으로 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5. 철근의 간격

철근의 간격은 설계도면에 명시된 간격에 맞춰 설치하여 본연의 구조시공에 착오 없도록 하여야 한다.
1)철근의 간격
①보의 정철근 또는 부철근의 수평 순간격은 2.5㎝이상, 굵은 공재의 최대치수의 4/3배이상, 또 철근의 공칭지름 이상으로 해야 한다.
②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2단이상으로 배치할 경우에는 그 연직 순간격을 2.5㎝이상으로 해야하며 상하 철근을 동일 연직면내에 두어야 한다.
③벽체와 슬래브의 주간격은 최대 휨멘트가 일어나는 단면에서 슬래브 두께의 2배이고 또 30㎝이하이여야 한다. 기타의 단면에서는 슬래브두께의 3배 이하이고 또 40㎝이하이여야 한다.
④나선철근과 띠철근 기둥에서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은 4㎝이상, 철근 지름의 1.5배 이상으로 해야한다.
⑤여러개의 철근을 묶어서 다발로 사용할 때는 이형철근이라야 하고 그 개수는 4개 이하라야 하며, 이들을 스터럽이나 貳떡牡막� 둘러싸야 한다.


6. 철근의 갈고리

철근의 정착 또는 겹이음을 위하여 철근끝의 구부린 부분을 말한다.

1). 기준
⑴표준갈고리는 다음3종으로 한다.
①반원형 갈고리는 반원끝에서 철근지름의 4배이상, 또 6㎝이상 더 연장해야 한다.<그림a>
②90°갈고리는 90°원의 끝에서 철근지름의 12배이상 더 연장해야 한다.<그림b>
③스터럽과 띠철근에서 90°갈고리나 135°갈고리는 철근지름의 6배이상, 또 6㎝이상 더 연장해야 한다.<그림c,d,e>
⑵표준갈고리 철근의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은 아래표값 이상이라야 한다. 다만 공칭지름 19㎜에서 35㎜까지의 제1종 철근에 한해서는 최소 반지름을 철근지름으로 2.5배로 해야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⑶갈고리의 최소반지름(표1)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7. 철근의 구부리기

철근의 정착 또는 겹이음을 위하여 구조에 따라 철근중간 또는 끝부분을 구부리는 것을 말한다.

1). 방법
⑴스터럽이나 띠철근에서 철근을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은 철근지름 이상이라야 한다.
⑵절곡철근의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은 철근지름의 5배 이상으로 해야 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⑶라아멘구조의 모서리 부분의 외측에 연하는 철근의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은 철근지름의 10배이상이라야 한다.<그림3 참조>
⑷기타 철근의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은 <표1>에 규정된 표준갈고리 반지름이상으로 해야한다.
그러나 큰 응력을 받는곳에서는 철근을 구부릴때는 그 구부리는 반지름을 더 크게 하여 철근내부의 콘크리트가 부스러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8. 철근의 이음

철근은 운반의 제약 때문에 일정길이 이상밖에 생산하지 않기 때문에 현장시공시 철근을 이음하는 것은 말하며, 이는 필연적인 현상이고 또한 이음부는 응력상 취약지점이 있으므로 철저한 이음처리가 요망된다.

⑴기준
①철근은 이어대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인장철근의 이음에 있어
a.지름이 35㎜를 초과하는 철근은 겹이음을 해서는 안된다.
b.최대인장력이 작용하는 곳에서는 될 수 있는대로 이음을 피해야 한다. 부득이할때는 용접, 겹이음, 파이프이음 등으로 하되, 인장응력이 완전히 잘 전달되게 하여야 한다.
c.인접한 철근을 한곳에서 겹이음을 할 때 겹이음 길이는 다음(표2)값보다 20%만큼 증가시켜야 한다.(단 철근의 수평간격이 철근지름의 12배이하거나 콘크리트 외면에서 15㎝이내 또는 철근지름의 6배이내일 때)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⑶압축철근의 이음에 있어
①겹이음의 길이는 다음(표3)과 같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②용접이음이나 기타 효과있는 이음을 겹이음 대신 쓸 수 있으며, 철근지름의 3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렇게 하는 것이 좋다.
③띠철근은 기둥에서 겹이음한 후에 철근내 90㎝길이의 어느 구간에서나 4%이하로 되어야 한다.
⑷철근을 용접으로 이을때에는 맞이음의 강도가 125%이상이어야 한다.


9. 철근이음공법의 종류와 특성

㈎종류
철근이음공법으로 겹침이음, 용접이음, gas압접이음, cad weld이음, G-locsplice이음 등이 있다.
㈏공법의 특성
⑴겹침이음(lap splice)
①겹침이음 길이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②이음길이 산정
ㄱ.규격상이시 : 작은 지름 기준
ㄴ.이음길이 : 원형철근시 갈고리 중심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③양단중앙부를 3개소 이상 결속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⑵용접이음
①Arc용접

②플러시 버트(flush butt)용접
·전기저항 → 접촉부 적열 → 용융
·철근가공 공장에서 많이 사용
⑶gas압접
①원리
㉠산소 에세틸렌 gas의 중성염으로 맞댄 부분을 가열, 모재를 용융하여 접한다.
㉡1,200∼1,300℃온도 가열한다.(철의 용융점 1,500℃)
㉢압점 2.5∼3㎏/㎟압력을 유지한다.
② 방법 ③ 품질관리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④ 장·단점
ㄱ.장점
·가공단순, 작업장 축소,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하다.
·직경이 클수록 경제적이다.(ψ19㎜이상에서 겹칩이음보다 경제적)
·철의 용융점 1,500℃이하에서 접합하므로 조직변화 없이 접합강도가 우수하며 신뢰도가 높다.
ㄴ.단점
·철근 및 압접공 동시 투입은 곤란하고, 화재에 위험하며, 폭우 강설시에도 작업이 곤란하다.
·불량 외관검사가 곤란하다.
⑷ cad weld(sleeve joint)
①철근이 sleeve끼워 연결한 뒤 sleeve내의 순간 폭발로 cad alloy를 녹여 공간 충진 접합한다.
②맞댐면 처리는 gas압점과 동일하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③특징
㉮화재의 염려가 없다.
㉯철근 규격이 상이할때는 사용이 불가하다.
㉰외관 불량검사가 불가하다.
⑸G-loc splice
①G-loc splice wedge, reducer, inscert 등을 사용한다.
②수직철근만 적용한다.
③하단부 철근에 G-loc splice이음 철근위에서 끼운후 G-loc spliceff 소형망치로 조인다.
④규격상이시 reducer insert를 사용한다.


10. 철근의 정착

㈎기준
⑴인장철근은 구부려서 복부를 지나 반대편 철근과 나란하게 정착시키되 이때 구부리는 각도는 철근의 종방향과 15℃이상 되어야 한다.
⑵모든 철근은 받침부를 제외하고는 휨응력을 받지 않는 곳을 넘어서 더 연장해야 하며, 그 연장길이는 보의 유효높이 이상이고, 또 철근지름의 12배 이상이어야 한다.
⑶어느 부재에서나 철근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인장측에서 끝내서는 안된다.
⑷연속보, 고정보, 캔틸레버 또는 라아멘 등의 부재의 부철근은 부착력이나 갈고리 또는 정착구를 사용하여 받침부속에 정착시켜야 한다.
⑸지점의 부모멘트를 위하여 두는 부철근수의 ⅓이상을 반곡점을 넘어서 더 연장해야 하며 이 때 그 연장길이는 순간경의 1/16이상 또는 유효높이 이상이라야 한다.
⑹단순보에서 정철근수의 ⅓이상을 또 연속보에서 정철근의 ¼이상을 보의 하면(下面)에 연해서 지점을 넘어 15㎝이상 더 연장해야 한다.
⑺원형 인장철근(건조수축과 온도변화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는 철근은 제외)은 언제나 표준갈고리로 끝내야 한다. 다만 연속보의 중간 받침부하면에서는 갈고리를 두지 않아도 좋다.
⑻인장을 받는 표준갈고리는 허용응력 설계법으로는 700㎏/㎠극한 강설계법으로 1,300㎏/㎠의 인장응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 보거나 또는 적절한 부착력을 받는 철근의 연장길이로 볼 수 있다. 콘크리트에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하고, 또 시험을 거쳐서 사용해야 한다.
⑼갈고리는 철근의 압축저항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없다.
⑽갈고리 대신 어떤 정착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것이 콘크리트에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하고 또 시험을 거쳐서 사용해야 한다.


11. 철근의 조립

㈎기준
⑴철근은 조립하기 전에 잘 닦고 들뜬 녹이나 그 밖의 철근과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해칠 위험이 있는 것은 제거해야 한다.
⑵철근은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칠 때에 움직이지 않도록 충분히 견고하게 조립해야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조립철근을 사용해야 한다.
⑶철근과 거푸집판과의 간격은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유지해야 한다.
⑷철근의 조립이 끝난 후 반드시 검사해야 한다.
⑸철근을 조립한지 장시일이 경과한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다시 조립검사를 하고 청소해야 한다.
㈏방법
⑴바른 배근과 콘크리트를 타설 완료시까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⑵결속은
①#20∼2겹철선으로 이음 개소당 2개소 이상
②직교하는 모든 철선을 결속하여야 한다.
⑶철근의 순간격은
①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1.25배
②2.5㎝이상
③철근 공칭 직경의 1.5배 이상으로 한다.
⑷바닥배근시 처짐이 없게, 특히 켄틸레버는 소요정착 길이 확보하여야 한다.
⑸배근후 장시간 방치시 비닐 등을 덮어 관리하여야 한다.(배근 후 박리제 도포금지, 기름등 오염주의)
⑹조립 및 배근순서는
기둥철근 → 대근 → 기둥과 벽내의 거푸집 → 벽철근 → 기둥과 벽의 외측 거푸집 → 보바닥판 거푸집 → 보철근 → 바닥철근


12. 철근의 피복두께

⑴기준
철근의 최소두께는 아래표에 따라 유지되게 하여야 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주)⑴내구성상 유효한 마감이 있는 경우,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30㎜로 할 수 있다.
⑵내구성상 유효한 마감이 있는 경우,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40㎜로 할 수 있다.
⑶콘크리트 품질 및 시공법에 따라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40㎜로 할 수 있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13. 철근의 방청

철근콘크리트의 내구성 향상은 외부로부터 침식 및 철근의 방청방지에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전에 철근 표면에 방청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침식원인
⑴화학적 침식
①해사사용으로 인한 염분 칩입
②알카리 골재 반응 및 중성화 반응
③수질불량 및 유료 또는 자동차 배기가스, 산성비 등으로 인한 화학반응
㈏철근의 부식상태
⑴전면부식 : 균열부식
⑵국부부식
①공극에 의한 부식(pitting) : 콘크리트속에 엽화물, 할로겐 함유시의 공극에 의한 부식
②틈간 부식(crevice) : bleeding의 영향으로 발생, 경화후에 부식
③박리상부식(exfoliation) : 중성화 염화물의 영향을 받아 부식이 진행된 경우
㈐방지대책
⑴방청의 목적
①부식→체적 팽창→콘크리트 균열 발생방지
②균열부로 물, 공기, 침투 증가로 콘크리트 파괴(탈리)예방
③해사를 쓰는 경우 콘크리트 방청은 필수적임
⑵방청방법
①해사에 대해서는 반드시 염분을 제거한 후에 사용
·야적 후 자연강우에 의한 처리(2∼3회)
·야적 후 sprinkler로 세척
·제염plant사용
·제염제 혼합처리
·하천 모래와 혼합사용
②w/c를 낮추어 면밀한 시공으로 밀실 콘크리트 타설
③피복두께를 늘림과 동시에 소정의 시공정도 확보
④수밀성이 좋은 마감
⑤양질의 방청재 사용
⑥아연도금 철선 사용
⑦Epoxy Coated Rebar사용
⑧가급적 전해질 함유치 않고 건조상태 콘크리트 유지
⑨AE제 사용으로 동결융해 예방
⑩해사 사용으로 콘크리트는 양생을 철저, 특히 고온, 고압증기 양생은 피할 것
⑪PS콘크리트는 특별 대책없이 해사 사용금지
⑫콘크리트는 균열 부위에 대한 보수 철저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Ⅰ. 거푸집공사의 특성과 중요성1. 거푸집 공사의 특성

거푸집이란 콘크리트구조물의 가설틀로서 콘크리트가 굳지 않은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일정한 형상과 치수로 유지시켜 주며 경화에 필요한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고 외기의 영향을 차단하여 콘크리트가 적절하게 양생이 되도록 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가설 구조물로서, 거푸집 자체의 하중과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무게, 작업시의 재료, 장비, 인력 등에 의한 적재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하게 하며, 원하는 모양과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만들어 질 수 있게 모든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2. 거푸집공사의 중요성

(1)품질
1)콘크리트가 응결하기까지의 형상, 치수의 확보
2)콘크리트 수화반응의 건전한 진행을 보조
3)콘크리트 구조체의 구조정밀도 확보
4)철근의 피복두께 확보
(2)안전
콘크리트 공사중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그 대부분이 콘크리트 타설중에 일어나며 거푸집 시공 불량으로 인한 것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자중, 측압 등 고정하중 뿐 만아니라 작업중 작업자의 이동, 각종 소요자재 등 안전하도록 구조적으로 검토되고 철저하게 확인이 되어야 한다.
(3)공사기간
거푸집 공사기간은 전체 공사기간 중에서 25%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조 건물의 공사 현장에서 거푸집공사는 주공정이 되고있으며 공기단축을 도모하는데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Ⅱ. 거푸집의 주요부재1.거푸집널

(1)합판거푸집
합판거푸집 두께 9∼15mm 보통 12mm의 내수합판을 사용한다.
(2)철제패널
"ㄱ"자 형상으로 틀을 짜고 그 위에 두께 1.0∼1.5mm의 강판을 용접한 것이다.
(3)합성수지판넬
합판의 대체재로서 사용되는 합성수지판은 사용후 재활용도가 높고 내구성, 강도 등이 합판에 비하여 우수하므로 앞으로 사용량이 증대될 전망이다.


2.장선

장선은 거푸집판을 지지하고 콘크리트의 측압력을 거푸집에서 전달받아 보강재, 동바리, 긴결재에 전달시키는 부재로써 보통은 거푸집판과 일체로 제작되어 사용되나 최근의 시스템화 거푸집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주로 사용되는 목재, 강재, 알루미늄재 등이 있다.


3.지주

(1)파이프써포트
꽂아 넣는 상부관과 하부관으로 되어있어 중간 슬라이드 핸들을 회전하면 상부관의 상하로 소요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있다. 그 조절 가능한 거리는 20cm이고, 이 이상이 되면 상부관의 구멍에 핀을 꽂아 높이를 조절하고 최대로 뽑아낸 높이는 3.4∼3.615m가 되고 조립높이 조절, 해체를 간단히 할 수가 있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2)단위틀식 파이프써포트 파이프를 비계와 같이 만들거나 그를 이용하여 하부 또는 상부에 높이조절용 작키를 설치한 것이고 층높이가 높은 구조물에 적당하다. 한틀의 안전 하중은 5t에 달하고, 가새 등을 써서 안전하며 조립, 해체도 용이하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4.긴결재, 박리제

(1)긴결재
거푸집을 정확한 위치와 치수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못, 꺽쇠, 볼트, 철선 등이 사용된다.

1)폼타이(Form Tie)
거푸집이 벌어지거나 우그러들지 않게 연결, 고정하는 것이다.
2)세퍼레이터(Separator)
거푸집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으로 철판제, 파이프제, 모르타르제가 쓰인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2)박리제
콘크리트를 부어 넣은 후 거푸집 널을 쉽게 떼어내게 하기 위하여 칠하는 약제로서 합성유 사용을 기준으로 하며 동식물유, 중유, 석유, 아마유, 파라핀, 합성수지 등이 쓰인다. 그리고 선택에 있어서는 거푸집 널의 보호, 내수성 연장 등의 효과를 위해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①콘크리트면의 오염(착색, 얼룩)이나 경화불량을 일으키지 않을 것을 고른다.
②바름 마무리(미장공사)등 마무리재의 부착력을 저하시키는 것은 피한다.
③박리성이 좋고, 거푸집 전용에 효과적이고,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
④물씻기나 강우에 의해 쉽게 흘러내리지 않는 것을 고른다.
⑤강철재 거푸집의 박리제는 녹슬지 않는 것을 고른다.

Ⅲ. 거푸집의 시공1. 거푸집의 가공

(1)기둥거푸집 시공
1)합판을 사용할 경우 세워서 사용하며 가능한 한 절단하지 않고 정척대로 사용한다.
2)기둥 거푸집의 길이는 슬래브 두께와 슬래브용 거푸집판의 두께를 제외한 치수에 슬래브의 표면상태를 고려하여 1∼2㎝ 짧게 제작한다.

(2) 보 거푸집 가공
1)합판 패널은 정척물을 절단하지 않으며, 패널의 나누기는 스팬의 양단에서 할당하여 중앙에서 보조패널을 사용한다.
2)큰 보의 길이는 기둥과 기둥의 콘크리트 내측 치수로 하여 양단을 기둥 패널 위에 놓는다.

(3) 대형 패널의 가공
1)사방 직각 상태의 확인은 "ㄱ"자를 만들어 확인한다.
2)높이는 층고보다 크게 한다.

(4) 계단 거푸집 가공
1)계단 높이와 폭은 실측도를 기준으로 하여 운반을 고려한 측판을 가공한다.


2. 먹 매김 작업

(1) 기준(주심, 벽심) 먹줄 내는 방법
일반층의 기준 먹줄은 주근이나 벽근에 있어서 먹줄을 칠 수 없기 때문에 표시 먹줄은 중심에서 1m 거리에 내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각 부분(기둥, 벽, 출입구)의 먹줄을 시공도에 따라서 정확히 친다.
밑층의 기준 먹줄은 윗층으로 옮기기 위하여 표시 먹줄과 일치하는 위치에 10∼15㎝각 정도의 구멍을 내두는 것이 필요할 때가 있다.
(2) 기준이 되는 중심에서 도면의 치수에 따라 정확히 각부에 치수를 내고 먹매김하여 표시한다. 각 먹줄의 단부는 나중에 거푸집을 조립할 때 볼 수 있도록 여분의 길이로 10∼20㎝정도를 늘여 기둥의 코너나 벽 등에 표시해 둔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3. 거푸집의 조립

(1) 거푸집 조립순서
거푸집의 조립순서는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약간씩 상이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거푸집을 밑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조립하므로 보통 다음 순서와 같다.
1)기초 옆(기초보) 거푸집
2)기초판, 기초보 철근배근
3)기둥 철근을 기초에 정착
4)기초판 콘크리트 타설
5)기둥 철근 배근
6)기둥 거푸집, 벽 한면 거푸집
7)벽의 철근배근
8)벽의 한면 거푸집
9)보 밑창판, 옆판 및 바닥판 거푸집
10)보 및 바닥판 철근배근
11)콘크리트 타설

(2) 기초 거푸집
1)기초판 옆은 패널 또는 두꺼운 널을 사용하고, 먼저 기초 밑창콘크리트 윗면의 먹매김에 따라 짜 대고 외부에는 이동이 없도록 버팀대 등을 써서 튼튼히 고정한다.
2)기초판 윗면의 경사가 6/10(35°)이상이 되면 경사면에 거푸집 널을 대야한다.
이것은 콘크리트가 가득 채워짐에 따라 위로 떠오르게 되므로 철선으로 기초판 철근에 당겨 조여 매둔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3) 기둥 거푸집의 조립
1)거푸집을 4면에 세워 대고, 띠장은 모서리를 상하로교차시켜 내밀어 여기에 기둥 멍에를 세워대고 보울트 조임 또는 긴장철선을 두 줄로 감고 조인다.
2)기둥 위는 보 물림 자리를 따내고 밑은 청소구멍을 내어 둔다.
3)기둥 거푸집의 수직 정밀도는 거푸집 전체에 영향을 미치므로 보 거푸집이나 벽 거푸집을 설치하기 전에 수직상태을 정확히 유지해 두도록 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4) 벽 거푸집 조립
1)벽의 거푸집은 먼저 벽 한쪽에 패널을 짜대고 철근 배근을 병행하며 보, 바닥판의 거푸집을 그 위에 접속시키고 배근 및 설비 작업이 완료되면 검사를 받고 맞은편 거푸집을 짜 댄다.
2)멍에 설치 간격은 일반적으로 하부에서 75㎝정도, 위에서 90∼110㎝정도, 철선 조임 간격은 하부 75㎝, 중앙 90㎝, 상부100∼110㎝정도로 배치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3)벽 하부에는 청소구멍을 내고, 개구부는 벽의 한쪽 거푸집을 짠 다음 소요 치수로 가설문틀 또는 두꺼운 널 등으로 개구부 둘레를 막고 가새를 대어 변형을 방지한다. 창문 밑은 콘크리트가 위로 밀려 올라 올 우려가 있을 경우 정지판을 대어야 한다.
4)세퍼레이터, 폼타이의 간격은 층고, 재료의 종류, 콘크리트의 타설 방법에 따라 다르므로 충분히 검토하여 설치한다.

(5) 보 거푸집 조립
1)보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밑판과 옆판을 다로 짜서 조립하거나 함께 짜서 건다.
2)밑판을 먼저 받침기둥, 깔대, 보밑 멍에로 받쳐 짠 다음 옆판을 댄다. 옆판은 밑판보다 먼저 떼어낼 수 있게 하며 밑판과 옆판의 연결부에서 시멘트 페이스트(Cement Paste)가 누출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밀착시킨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6) 슬래브 거푸집 조립
1)먼저 받침기둥 위에 멍에를 걸고, 벽 옆, 보옆에는 장선받이를 대고 여기에 장선을 패널 크기에 맞추어 대고 패널을 깐다. 합판을 사용할 경우 가능한 한 정척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립하고 마무리 부분은 보조판으로 마무리 한다.
2)설치 전에 기둥, 보와 슬래브가 직각이 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슬래브 바닥에 요철부분이 없도록 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7) 받침 기둥 조립(지주)

1)간격은 그 크기와 하중을 고려하여 정한다.
하중은 한 개의 받침기둥이 받는 면적의 콘크리트 무게의 배의 값을 취하고, 기둥은 단면과 좌굴길이로 산출한다.
2)받침기둥 밑은 두 개의 쐐기를 쳐서 높이를 조절한다.
3)보, 바닥판 등의 거푸집의 지주는 될 수 있는 대로 통채로 쓰고, 특별히 긴 것 외에는 3단이상 이어쓰지 않는다.
4)보 및 바닥판의 거푸집은 중앙에서 간사이(Span)의 1/300∼1/500 정도로 추켜 올린다.

(8) 계단, 차양 거푸집 조립
숙련공으로 작업 배치하며, 미리 공작도 또는 원척도를 작성하고 그에 따라 가공 조립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9) 거푸집 조립작업 관리

1)조립작업 중 성과관리
거푸집은 시공계획도서 및 시방요령서에 의거하여 조립 작업중 아래 항목에 의한 작업관리를 실시한다.
①먹메김의 정확성
②거푸집 가공재의 치수, 모양
③거푸집 조립 정밀도
④지주나누기, 방법
⑤거푸집 이동방지 처리
⑥거푸집 틈사이 막기
⑦정착물의 위치
⑧타 공사와의 관계

2)공기 지연원인 및 대책

(가) 공기 지연 원인
①시공순서에 낭비, 무리 혹은 실수는 없는가?
②연관 작업과의 전후 연결은 좋은가?
③해당층만의 지연인가?
④작업원의 기능도는 어떤가?
⑤작업원이 부족하지는 않은가?

(나) 대책
①작업의 능률화
②재료 공급의 능률화
③조기 예측에 의한 조기대비


4. 거푸집 검사

거푸집은 조립 중간 단계에서 치수 정밀도를 확인해 두지 않으면 최종단계에서 수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사전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치수의 착오방지, 사고방지, 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1) 수직검사
기둥, 벽의 경우 검사대상에서 조금 떨어져 수직추를 내리고 거푸집의 상단과 하단에서 거리를 측정하여 허용오차 범위내에 들어있는지 조사한다.

(2) 수평 및 높이의 검사
① 슬래브 및 보의 수평과 높이를 검사한다.
② 거푸집 위 기둥과 기둥사이에 30∼40㎝높이에 수평실을 띄우고 수평 및 슬래브 두께를 조사하거나 레벨로 검사한다.

(3) 관통구멍, 매설물의 확인
(4) 서포트 등 지주검사
(5) 연결철물 검사
(6) 기타 청소상태


5. 콘크리트 타설

(1) 콘크리트 타설 사전준비
콘크리트를 타설전에 미리 거푸집 보수 책임자와 목수를 선정하여 거푸집의 상태를 면밀히 검사케하고 콘크리트 시공중에 일어날 수 있는 거푸집의 이상 유무를 감시케 한다. 콘크리트 시공중에 이상, 이동, 변형 등이 생기면 곧 시정할 수 있게끔 준비시킨다.

(2) 콘크리트 타설과 거푸집 사고
콘크리트 타설시의 거푸집 사고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요인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거푸집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1) 콘크리트의 측압과대(슬럼프가 큰 콘크리트 집중타설, 바이브레이터의 지나친 진동, 저온시의 고속타설)
2) 지주나 보강재, 조임철물의 강도부족 혹은 배치의 부적절. 이로인한 거푸집 사고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① 조임철물 파단에 의한 거푸집 뚫림(Puncture) 사고
② 거푸집 하단부에 과다한 압력으로 인한 부력이 작용하여 거푸집이 위로 떠 오르는 사고(콘크리트 누출, 슬래브 붕괴)
③ 지주 간격이나 밑둥잡이, 흔들림막이 등의 단부 구속 미비로 인한 도괴사고
④ 띠장목의 절손에 의한 뚫림 사고
⑤ 창이나 계단 등의 개구부 처리 부실에 의한 콘크리트 누설사고

(3) 거푸집 사고방지 대책 및 응급조치

1) 거푸집 사고방지 대책
콘크리트 측압의 실태를 파악해야 하고, 조임철물의 강도관점에서 거푸집 시공계획을 검토 확인한다.
① 콘크리트 측압의 파악(개략산정방식, 현장경험장식)
② 콘크리트 측압에 맞는 거푸집 두께선정, 띠장, 멍에 간격 검토
③ 조임철물 배치 간격 검토
④ 조임철물의 조임강도를 균일하게 한다.(파단을 일으키는 집중응력 배제)
⑤ 합판 패널을 표면 나무결에 직각으로 교차시켜 띠장이나 멍에를 댄다.
⑥ 부재간 강성차이가 많은것끼리 조합하지 말것.(약한쪽으로 응력이 작용됨)
⑦ 콘크리트 타설계획을 수립하여 돌려가며 타설한다.(급속 집중타설 배제)
⑧ 진동기(Vibrator)의 장시간, 집중적 투입을 피할 것
⑨ 저온일 때 콘크리트 타설을 피할 것.(측압증대)

2) 거푸집 사고의 응급처치

(가) 거푸집이 압출되었을 때
① 가로멍에 아래 주변의 패널이 압출되면 콘크리트 타설을 중단하고 다음 그림과 같이 띠장 끝에 쐐기형 테이퍼를 만들고 가로멍에와 패널사이를 두들겨 박아 고정한다.
② 가로멍에의 일부가 처지기 시작하면 콘크리트 타설을 중단하고 가로멍에 사이에 볼트송곳을 꽂아 양나사 볼트로 조인다.
③ 받침없는 패널 중간부가 압출되면 볼트 송곳으로 패널에 관통구멍을 뚫어 양나사 볼트를 끼우고 짧은 띠장목이나 원형파이프 등으로 조임한다
④ 세로멍에의 중간이 처지기 시작하면 콘크리트 타설을 중단하고 볼트 송곳으로 관통구멍을 뚫고 짧은 가로멍에를 대고 "ω"형 워셔로 조임한다.

(나) 시멘트 페이스트의 누출을 발견하였을 때
넝마 등으로 신속히 메꾼 다음 급결 모르타르나 석고 등과 같은 급경성 재료로 누출부위를 막거나, 각목이나 엷은 철판, 판자를 붙여 막는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6. 거푸집의 해체

(1) 거푸집의 존치 기간
1) 거푸집은 그 회전 사용상 또는 다음공사 추진을 위해서는 빨리 철거해야 하지만 거푸집 존치 기간은 콘크리트 강도에 중대한 관계가 있으므로 상당기간동안 거푸집을 존치해야 한다.
2) 존치 기간은 시멘트 종류, 천우, 기온, 하중, 보양 등의 상태에 따라 다르므로 그 경과기간 동안 엄밀히 조사 기록한다.
3)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보양과 변형의 우려가 없고 충분한 강도가 날 때까지 존치해야 한다.

부위 기초,보옆,기둥 및 벽 바닥슬라브
시멘트의 종류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50 설계기준 강도의 50%
콘크리
트의재
령일
평균기온
20이상
2 4 4 7
평균기온
10이상
20미만
3 6 5 8

(주기)
①콘크리트 보양도중 최저기간 5℃이하로 되었을때는 1일을 반일로 한다.
②0℃이하인 때에는 존치기간에 계산하지 않는다.
③거푸집 제거후는 콘크리트 표면을 7일간은 습윤상태로 보양해야 한다,
(2) 거푸집의 해체
거푸집 해체에 있어서의 해체 할 개소 범위 등을 목수, 십장, 인부 등에 주지시켜 지정된 것 이외의 것을 제거하지 않도록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특히 지주의 바꾸어 세우기 등은 철저히 감독을 해야 한다.

1) 해체작업
① 해체작업 개시전에 해체 책임자로 하여금 해체지역에 작업 안전상 출입금지구역으로 표시한다.
② 진동, 충격에 의한 콘크리트의 손상이 없도록 순서있게 해체한다.
순서 : 기둥벽의 폼타이 및 기타 보강재→기둥패널→슬래브, 작은보 지주 및 보강재→슬래브 작은보 패널→큰보 지주 및 보강재→큰보 패널
③ 재료의 전용을 고려하여 패널 파손 등의 거푸집 손모를 극소화 할 수 있게끔 소 범위로 순서에 맞추어 조용히 해체한다.
④ 높은곳의 거푸집을 해체할 때에는 특히 안전에 유의한다.
2) 지주 바꾸어 세우기
① 지주는 먼저 큰 보의 일부에서부터 거푸집을 제거하여 바꾸어 세운 다음 다른 부분으로 옮기고 순차적으로 작은 보, 바닥 슬래브 순으로 시행한다.
② 지주를 바꾸어 세울 동안 그 상부의 작업을 제한하여 하중을 적게 하고 집중하중을 받는 지주는 그대로 두어야 한다.
③ 바꾸어 세운 지주는 쐐기, 기타 자재로 튼튼히 받쳐 그 전의 지주와 같은 지지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④ 지주는 콘크리트 타설 후 4주가 경과하면 제거할 수 있다.
3) 거푸집 해체 후 정리 정돈
① 해체한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묻은것은 떨어내고 수선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정돈한다.
② 재료의 정리는 전용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종류, 규격별로 구분한다.
③ 한곳에 지나치게 많은 재료를 적치하지 않는다.
④ 정리작업 중 재료에 손상이 없도록 조심하여 취급하고 오래되어 낡은 거푸집은 재사용 하지 말고 즉시 반출한다.



Ⅲ.거푸집의 종류와 특성
1. 철재 패널폼(유로폼)

⑴ 개요
합판과 특수경량강으로 만들며, 파손이 적고 패널의 교환이 가능하다. 이 철제 패널폼은 아파트를 비롯하여 폭 넓게 사용되는데 재래식 공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또한 기본 패널의 모듈이 600×1,200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바닥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벽체와 기둥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거푸집패널의 두께는 70mm와 63.5mm 두가지가 있는데 근래에는 63.5mm 패널을 주로 사용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⑵ 특성
1) 제작방법
공장 제작하여 일정 횟수 사용 후 합판교체 및 프레임 교정 등 보수작업은 현장에서도 가능하다.
2) 전용횟수
패널폼은 60회 정도 가능하며 15회 정도 사용 후에는 합판교체, 프레임 교정 및 도장을 한다.
3) 장·단점
가) 장점
① 일반합판 거푸집에 비하여 시공상의 정밀도가 높다.
② 다른 거푸집과 조합이 쉽다.
③ 초기 투자비가 적고 거푸집은 손료가 싸다.
나) 단점
① 부재조립, 해체, 운반을 인력에 의존하므로 인력소모가 많고 시공속도가 늦다.
② 곡면 시공이 어렵고, 높은 측압에 약하다.
4) 적용
패널폼은 모든 구조물에 적용한다. 그러나 패널폼이 가장 많이 적용되는 곳은 아파트이다.


2. 갱폼(Gang Form)

⑴ 개요
부재의 조립,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대형화, 단순화하여 한번에 설치하고 해체하는 거푸집을 말한다.
⑵ 특성
1) 제작방법
근거리 운반시에는 공장제작을 하며 원거리 운반시에는 현장제작 한다.
2) 전용횟수
경제적인 전용횟수는 30∼40회 정도이다.
3) 장·단점
가) 장점
① 조립, 분해가 생략되고 설치화 탈형만 하므로 인력절감
② 콘크리트 이음부위 감소로 마감단순화 및 비용절감
③ 1개 현장 사용후 합판 교체하여 재사용 가능
나) 단점
① 장비필요(타워크레인)
② 초기 투자비가 비싸다.
③ 거푸집 조립시간이 필요하다.
④ 기능공의 교육 및 숙달기간이 필요하다.
4) 적용
고층아파트, 병원, 사무소 등 대부분의 건축구조물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벽식 구조의 건물이 적용효과가 크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3. 플라잉 폼(Flying Form)

⑴ 개요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으로써 거푸집판, 장선, 멍에, 서포트 등을 일체로 제작하여 부재화한 거푸집인데 일명 테이블폼이라고도 한다.
⑵ 특성
1) 제작방법
갱폼과 동일하게 제작한다.
2) 전용횟수
경제적인 전용회수는 30∼40회 이상이며 갱폼과 조합되어 사용한다.
3) 장·단점
가) 장점
① 조립,분해가 생략되므로 설치시간이 단축되며, 인력이 절감된다.
② 거푸집의 처짐이 적다.
③ 합판을 제외한 주요부재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나) 단점
① 장비가 필요하다.
② 초기 투자비가 크다.
4) 적용
수직, 수평적인 반복 모듈을 가진 구조물에 적용효과가 높기 때문에 아파트, 호텔, 병원 등의 건축물뿐만아니라 초고층 철근콘크리트 건물 또는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 구조물에도 적용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4. 슬라이딩 폼(Sliding Form)


⑴ 개요
슬립폼(Slip Form)공법이라고도 하며 사일로(Silo)에 사용되며, 특히 돌출부가 있는 것은 사용할 수 없다.
거푸집의 높이는 약 1.2m이고 하부가 약간 넓게 되어 있다. 콘크리트를 부어 넣으며 거푸집을 작키와 지지로드를 설비하고 요오크(York-거푸집을 끌어올리는 기구)로 서서히 끌어올리는 공법이다.

⑵ 특성
1) 구조물의 성능 향상
① 시공이음이 없으므로 수밀성, 차폐성이 높은 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하다.
② 형상 및 치수가 정확하여 시공오차가 적다.
③ 작업대와 비계틀이 동시에 올라감으로 안전성이 높다.
2) 공사기간 단축
① 1일에 3∼10m 정도 시공하므로 시공속도가 빠르다.
② 마감작업이 아래에서 동시에 진행되므로 공정이 단순화 된다.
3) 적용
거푸집 수직상승, 단면변화가 없는 구조물인 사일로, 교각, 고층빌딩의 Core등에 적용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5. 터널 폼(Tunnel Form)

⑴ 개요
벽식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시공할 때 벽과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을 한번에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벽체용 거푸집과 슬래브 거푸집을 제작하여 한번에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이다.
⑵ 특성
1) 터널폼은 패널 단위로 공장에서 제작하며 운반상의 편의를 위하여 반조립 및 완전 해체하여 현장에서 조립한다.
2) 전용회수
터널폼은 전용회수는 100회 정도이다.
⑶ 적용
주로 아파트 벽식구조물에 사용되며, 또한 토목공사에서도 사용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1. 제도의 개요

제도란 작성과정을 말한다. 도면은 말이나 문장과는 달리 물체의 형상과 크기를 점,선,기호,문자, 숫자등으로 일정한 규약에 다라 투상법등에 의하여 제도지에 아타낸 것을 말한다. 투상법에 의하면 말이나 글로서 표현하기 어려운 복잡한 형태의 기계나 구조물의 모양, 구조, 기능 등을 다른 사람이 알기 쉽고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간단 명료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와같이 제도는 제도지에 물체의 모양과 크기를 일정한 규칙에 다라 나타내는 것을 말하며, 제도의 결과물로 도면이 만들어진다.


2. 제도용지

제도용지에는 원도용지, 트레이싱지 등이 있다.
1)원도용지 : 원도용지에는 두껍고 불투명한 켄트지와 와트만지가 있다. 켄트지는 주로 연필제도나 먹물제도를 할 때 쓰이며, 와트만지는 채색 제도용으로 쓰인다.
2)트레이싱지 : 트레이싱지에는 얇고 반투명한 종이 미농지, 기름종이(oil paper) 및 고운 옥양목에 납가루를 칠한 트레이싱 천, 합성수지계 필름 등이 있다.


3. 제도용 자에 대하여 설명하라.

1)T자 : 자의 모양이 T자형으로 된 것이라 T자의 길이는 60∼120cm 정도이다.
2)삼각자 : 삼각자는 보통 밑각이 각각 45°의 직각이등변삼각형과 60°, 30°의 두각을 가진 직각삼각형인 것 2개가 한 쌍으로 되어 있다.
3)운형자 : 운형자는 원호 이외의 곡선을 그릴 때 쓰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모양으로 되어있다.
4)곡선자 : 곡선자는 여러 가지의 반지름을 가진 원호 모양의 자로서 30장, 50장, 100장 등을 한 세트로 하여 상자에 들어있다.
5)자유곡선자 : 납이 들어있는 금속 고무재로 된 것으로서, 서진 등으로 요소를 눌러 둘 필요가 없고 굽은 모양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그러나 작은 곡선에는 불가능한 것이 결점이다.
6)축적 : 보통 많이 쓰이는 것은 삼각축적이다. 이것은 삼각형 모양을 한 목재의 3면에 1m의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에 해당하는 6종의 축적을 한 것으로써 편리하다.


4. 도면의 크기와 배치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1)도면의 크기는 KS A 5201(종이마감치수)의 A0∼A6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긴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2)도면은 그 긴변을 좌우 방향으로 놓은 것을 전 위치로 한다. 다만, A0∼A6의 도면은 이에 따르지 않아도 좋다.
3)도면의 윤곽을 만들 때는 그 여백을 A0∼A2는 10mm 이상으로 하고, A3∼A6은 5m이상으로 한다.
4)도면의 윤곽의 여백 치수는 표에 의한다.


5. 도면의 표제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1)표제란의 위치는 KS L3007 3-(6)항에 따라 도면 오른쪽 밑에 만들며, 그 크기는 그림과 같이 세로 6cm, 가로 8cm정도를 원칙으로 하고, 다음 사항을 기입한다.
다만, 관공서나 건설회사 등에 따라 다르며, 옆의 표는 근래에 각 용역회사에서 도면 하단에 사용되는 표제의 한 예이다. 또한,①계획, ②공사, ③구조물, ④대상물의 명칭, ⑤도면번호, ⑥축적, ⑦설계도 책임자명, ⑧도면 작성 기관명, ⑨작성 연월일 등의 난을 만들기도 한다.
2)범례, 주의사항 등은 표제란 가까이에 기입함을 원칙으로 한다.


6. 작도의 일반적 사항과 도면배치

1)그림은 될 수 있는대로 간단히 하고 중복을 피한다. 그림은 그 배치와 선의 굵기에 대하여 조심스럽게 명확히 그린다.
2)도면에는 불필요한 것을 기입하지 않는다.
윤곽선은 원칙적으로 한 개의 굵은 실선으로 긋고, 장식적인 것은 특별한 경우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3)그림의 배치는 작도하고자 하는 대상이 가장 명확하게 투상되는 그림을 주체로 하여 작도하는 것으로 한다. 즉, 구조물에서는 일반적으로 앞에서 본 모양(정면도)을 가장 기본적으로 하여 투상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평면도, 단면도 등을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4)측량도에서는 명백하게 평면도가 주체가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단면도가 그려질 경우도 있다.
5)그림의 배치는 제3각법에 의함이 원칙이나,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에는 그림의 설명, 주의서등을 첨가한다.


7. 축적의 종류

제도의 축적은 작도하는 내용과 제도용지의 크기에 따라 KS F 1001 3항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 22종을 원칙으로 하고, 목적에 따라 적당한 것을 선택하기로 한다.
1/1, 1/2, 1/5, 1/10, 1/15, 1/20, 1/25, 1/30, 1/40, 1/50, 1/100, 1/200, 1/250, 1/300, 1/400, 1/500, 1/600, 1/1000, 1/1200, 1/2500, 1/3000, 1/5000

측량도에서는 1:25,000이 사용될 경우도 있다.
피�, 항공사진에 의한 도면을 적당한 크기로 확대, 축소할 경우에는 위의 중간 축적을 사용할 경우도 있다.
구조물에서는 필요한 치수가 모두 기입되어 있으므로 실치수를 축적에 따라 구할 필요성이 없으나, 측량도 및 기타의 도면에서 거리나 면적을 구할 경우에는 축적이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8. 축적의 기입

1)축적은 도면마다 기입한다.
같은 도면중에 다른 축적을 사용할 때에는 그림마다 그 축적을 기입한다. 다만, 일부에만 다른 축적을 사용할 ㎰〈� 도면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그림의 축적을 표제란에 기입하고, 다른 축적만을 그 축적에 따라서 작성된 그림 가까이에 기입하여도 좋다.
2)사진에 의하여 축소, 확대한 도면에는 그 축적에 따라 길이의 축적을 기입하여 둔다.
3)그림의 모양이 치수에 비례하지 않아 착각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적당한 방법(no scale)으로 이것을 명시한다.


9. 선의 용도에 따른 분류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10. 글자와 주기

1)글자는 명확히 쓴다.
2)문장은 가로로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글자의 크기는 원칙적으로 높이 16, 10, 8, 5, 4, 3.2cm의 6종류를 표준으로 한다.
4)문자는 고딕체로 써야하고, 장식문자는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한다.
5)문장은 명료하게 쓰며, 동일 도면에 사용되는 문자의 서체 및 종류별 크기는 통일하여야 한다.


11. 숫자

1)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원칙으로 한다.
2)로마자 및 숫자는 그림과 같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넷째 자리 이상의 숫자는 셋째자리마다(,)표시를 하든지, 간격을 두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넷째 자리수는 이에 따르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소수점은 숫자 밑에 찍는다.


12. 재료의 표시

1)단면에 있어서 특히 재료를 표시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그림의 표시방법에 의한다.
2)재료의 단면별 경계를 나타낼 경우에는 그림 또는 그 밖의 표시방법에 의하여야 한다.
3)강판, 형강과 같은 얇은 단면은 그림의 간이 표시 방법에 의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13. 치수기입시 유의사항

1)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으면 마감치수로 표시한다.
2)치수는 모양 및 위치를 가장 명확하게 표시하는데 필요하고도 충분한 것은 될 수 있는대로 중복을 피하고, 피� 계산하지 않고도 쉽게 알 수 있도록 기입한다.
3)제작, 조립, 시공, 설계를 할 경우, 기준이 되는 곳이 있을 경우에는 그것을 기준으로 하여 치수를 기입한다.
4)각 부분의 치수합계 도는 전체의 치수는 순차적으로 각 부분의 치수 바깥쪽에 기입한다.
5)치수의 단위는 mm를 원칙으로 하고 이 경우에는 단위를 쓰지 않는다. 치수의 단위가 mm가 아닌 경우에는 단위 기호를 쓰거나 또는 그 밖의 방법으로 그 단위를 명시한다.


14. 치수선

1)치수선은 표시할 치수의 방향에 평행하게 긋는다.
2)치수선은 될 수 있는대로 물체를 표시하는 도면의 외부에 긋는다. 다수의 평행 치수선을 서로 접근시켜 그을 ㎰〈� 선의 간격은 될 수 있는대로 동일하게 하며, 치수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한다.
3)치수선의 양끝에는 화살표를 한다. 화살표를 그리는 방법은 그림에 의한다.
4)협소하여 화살표를 붙일 여백 또는 치수를 기입할 여백이 없을 경우에는 치수선을 치수보조선 바깥쪽에 긋고, 내측을 향하여 화살표를 붙인다.(그림참조)
5)치수 보조선은 치수를 표시하는 부분의 양끝에서 치수선에 직각으로 긋고, 치수선을 약간 넘도록 연장한다. 다만, 치수를 기입할 곳이 마땅하지 않을 경우에는 치수선에 대하여 적당한 각도로 치수 보조선을 그을 수 있다.(그림)


15. 현, 호 반지름의 표시와 치수기입

1)현과 호의 치수기입 : 현의 길이를 나타낼 경우에는 그림의 a와 같이하고, 호의 길이를 나타낼 경우에는 그림(b) 또는 (c)에 따르되, 필요에 따라 현 또는 호라 명시한다.
2)원호의 반지름을 표시하는 치수선 : 원호의 반지름을 표시하는 치수선은 호쪽에만 화살표를 붙이고, 중심쪽에는 붙이지 않는다. 특히, 중심의 위치를 나타낼 경우에는 점을 찍는다. 원호의 중심이 호에서 멀거나 호에서 가까이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림의 예에 따른다.
3)반지름, 지름, 직사각형의 치수 기입 : 원호의 반지름을 나타낼 경우에는 지름을 나타내는 치수 숫자앞에 R를 붙인다.(그림)
작은원의 지름은 인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지름을 나타내는 치수 숫자의 앞에 φ를 붙인다.(그림)
직사각형을 나타내는 치수에는 한변의 길이를 나타낼 치수의 숫자앞에 □를 붙인다.(그림)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4)원의 지름을 나타내는 치수선은 중심선 또는 기준선에 일치하지 않게 긋는다.(그림)
5)휘어진 부재의 곡률 반지름은 부재의 안쪽에 표시하고, 길이는 바깥쪽에 표시한다.(그림)


16. C A D

CAD(Computer Aided Design)란,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제도 방식을 말한다.
CAD장치는 그림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컴퓨터용 키보드(Keyboard), 태블릿(tablet), X-Y플로터(plotter), 마우스(mouse), 프로그램 평선 키보드(program function keyboard)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CAD장치로 도면을 작성할 때에는 먼저 키보드로 좌표 등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 프로그램 평선키보드로 간단히 도형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한다. 그리고 치수 숫자 등 필요한 각 사항을 입력시키고 마우스로 커서(CURSOR)를 제외하고 도면을 작성하게 한다. 컴퓨터로 도면을 완성시키면 X-Y플로터에 의하여 도면에 상이 그려지게 된다. 피�, 성능을 해석한 결과도 도면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AD장치를 이용하면 도면 정보를 자기 테이프나 자기 디스크에 보관시킬 수 있으므로 합리적인 도면관리를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17. 치수의 기입

18. 정투상

물체를 그림 3-22와 같이 네모진 유리 상자속에 넣고 바깥쪽에서 들여다보면 물체를 유리판에 투상하고 보고 있는 것과 같다. 이때, 투상선이 투상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어있는 것, 즉, 시점이 물체로부터 무한대의 거리에 있는 것으로 생각한 투상을 정투상(orthographic projection)이라 하고, 그림3-23과 같이 이러한 투상법을 정투상법이라 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물체를 정면에서 투상하여 그린 그림을 정면도, 위에서 투상하여 그린 그림을 평면도, 옆에서 투상하여 그린 그림을 측면도라 한다.


19. 제3각법

물체를 투상면의 뒤쪽에 놓고 투상하면 그림 3-22의(a)와 같이 나타난다. 이를 제3각법(third angle projection method)이라 한다. 이때, 정면도를 기준으로 하여 그 좌우, 상하에서 본 모양을 본쪽에서 그리면 그림 3-24와 같이 그릴수 있다. 이를 제3각법의 투상도 도는 제3각법의 6면도라 한다.(눈→투상면→물체).
투상면은 제3각법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20. 제1각법

물체를 투상면의 앞쪽에 놓고 투상하면 그림 3-25와 같이 나타난다. 이를 제1각법(first angle projection method) 이라 한다. 이대, 정면도를 기준으로하여 그 좌우, 상하에서 본 모양을 본 반대쪽으로 그리면 그림 3-26과 같이 그릴 수 있다. 이를 제1각법의 투상도 또는 제1각법의 6면도라 한다.(눈→물체→투상면)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21. 콘크리트의 물량산출

①Concrete의 등급이나 규격별로 구분하여 계산한다.
②단위는 MKS(길이:M, 무게:Kg, 시간: Sec) 단위를 원칙으로 해서 M3의 체적단위를 원칙으로 한다.(표준품셈)
③소수자리는 표준품셈에 다라 소수2자리까지 계산하지만 표준품셈으로 단위물량(M3/M)을 산출하는 경우에는 소수 2자리 이상(소수 3자리)정확히 구할수록 정확한 계산을 할 수 있다.
④콘크리트 구조물은 계산하기 편리하게 기본도형으로 구분(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타원…)하여 계산한다.
⑤콘크리트의 체적계산은 의주공식에 의함을 원칙으로 한다.


22. 거푸집의 물량산출

①거푸집은 표준 품셈의 적용에 따라 면적(M2)으로 산출한다.
②특별한 요구가 없는 한 표준 품셈에 의한 종방향의 양쪽 측면(마구리면)은 계산하지 않는다.
③상향으로 노출된 부분의 거푸집은 산출하지 않으나 비탈면에서는 비탈면 경사가 30°이상만 산출한다.
④빈배합의 버림콘크리트(blinding concrete)에서는 계산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다.
⑤전체 구조물은 부분으로 나누어 산출한 경우 중복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서 중복되지 않도록 산출한다.
⑥거푸집은 종류별, 전용(사용) 횟수별로 구분 산출한다.


23. 철근의 물량산출

①철근 상세로에서 철근 종류(기호)별로 길이를 ㎜로 산출한다.
②주어진 조건의 철근 간격과 단면적에서 철근의 수량을 산출한다.
③단면도에 종방향으로 배근되는 철근의 개수는 소수 3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확하게 산출한다.
④철근의 직경별로 총길이(total length)에 단위중량(unit weight)을 곱해서 총 중량을 kg단위로 계산한다.
⑤특별한 요구가 없는한 할증율의 계산을 하지 않는다.(만약 할증을 고려한다면 원형철근은 5%, 이형철근은 3%의 할증을 한다.)
⑥특별한 요구가 없는 한 겹이음의 길이는 계산하지 않는다.(만약 계산으 한다면 정척을 알고 표준시방서에 의한 겹이음길이 계산을 한다.)


24. 토공량(터파기량) 산출

①토공단면적 계산은 보통 수학공식에 의함을 원칙으로 하고 불규칙한 단면은 구적기(planimeter)로 계산한다.
②종방향으로 긴 구조물의 토공단면적 계산은 소수 3자리에서 반올림한 m2으로 계산하면 정확한 토공량(체적)을 얻을 수 있다.
③토공 단면적 계산시 흙의 비탈구배(성토시 1:1.5, 절토시 1:1)를 적용한다.
④토공 단면적 계산에서 주어진 여유폭을 계산한다.
⑤종방향으로 긴 토공계산에는 토적표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25. 작도의 총칙

①그림은 될 수 있는 대로 간명히 하고 중복을 피한다. 그림은 그 배치와 선의 굵기에 조심하여 명확히 그린다.
②도면에는 불필요한 것은 가입하지 않는다. 테두리는 원칙적으로 1개의 굵은 실선으로 하고 장식적인 것은 특별한때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③그림은 될 수 있는대로 실선으로 표시하고, 파선으로 표시함을 피한다.
④대칭적인 것은 중심선의 한쪽을 외형도, 반대쪽을 단면도로서 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⑤사면을 가진 구조물에서는 그 사면의 모양을 표시하기 위하여 될 수 있는대로 사면부만의 보조도를 넣는다.


26. 역T형 옹벽의 단면도 작도

1)저판의 길이가 2800이 되는 AB선상에 점A에서 600과 1000이 되는점 C,D를 구하는 작도 ①을 한다.
2)점A에서 수선을 올리고, 점 A에서 350과 500이 되는 점 E, F를 구하는 작도를 ②한다
3)점B에서 수선을 올리고, 점B에서 350과 500 및 800이 되는 점 G, H, I를 구하는 작도 ③을 한다.
4)점 C에서 수선을 올린선과 점 F를 지나 AB와 나란히 선이 만나는 점 J를 구하는 작도④를 한다.
5)점D에서 수선을 올린선과 점 I를 지나 AB에 나란히 선이 만나는 점 K를 구하는 작도를 ⑤한다.
6)점K에서 45°각도를 내려긋고 점 H를 지나 AB에 나란히 선이 만나는 점 L을 구하는 작도 ⑥을 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7)점 J에서 수선을 올리고, 벽체의 높이가 4500이 되게 점 M을 구하는 작도 ⑦을 한다.
8)점M에서 일반도에 표시된 벽체의 구배 1:0.02를 계산한 값 4500×0.02=90㎜를 수평으로 잡고, 점 N을 구하는 작도 ⑧을 한다.
9)옹벽의 벽체 상부 두께가 350이므로 점 N에서 그 길이를 취하여 점 0을 구하는 작도 ⑨를 한다.
이상과 같은 작도 순서에 따라 구한점 A,E,J,N,O,K,L,G,B 전부를 외형선으로 연결하면 구하고자 하는 역T형 옹벽의 단면도(외형)가 작도된다.


27. 역T형 옹벽의 물량산출

1)문제도면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2)콘크리트량
(※0.3+0.02=0.006)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3)거푸집량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 4.5×0.02=0.09)

(컨) 、/(0.09)2+(4.5)2=4.5014444

(냥 ‘/(4.2)2+(0.(싸)2 =4.2

(를 2 ×0.35=0.7

(동 걷fπET=0.424

(i)~〈굉=9.825!112/m
·. 9.825I112/m×lm=9.825m2

4)철근량

철근표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철근량 산출의 이해
① Wl, W2, W3, F1, F3, F4. 철근은 1m에 250mm간격으로 배근되므로 4본이 배근된다(lOOO/250=4).
② H, F2 철근은 lm에 l25mn간격으로 배근되므로 8본이 배근된다.
③ W4 철근은 벽체의 종방향 철근으로 천 ·후면에 각 22본씩 배근되므로 22×2=44본이 배근된다.
④ F5 철근은 저판의 종방향 철근으로 상·하면에 각 l2본씩 배근되므로 (단면도에서 직접 세어도 됨)12×2=24본이 배근된다.
⑤ Sl 철근은 벽체의 Spacer철근으로 Wl, W2 철근의 250mm간격으로 l본과 2복이 번갈아 배근되므로 lm에는 6본이 배근된다.
⑥ S2 철근은 저판의 Spacer철근으로 F2 F3 철근의 250mm간격으로 l본과 2본이 번갈아 반복 배근되므로 1 m에는 6본이 배근된다.


28. L형 옹벽의 단면도 작성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1)저판의 길이가 2700이 되게 점 A, B를 구하는 그림 3-23과 같이 작도 ①을 한다.
2)점 A에서 수선을 올리고 벽체의 높이가 4000이 되게 점 C를 구하는 작도 ②를 한다.
3)점 C에서 일반도에 명시된 벽체의 구배 1:0.02를 근거로 하여 계산한 4000×0.02=80을 수평으로 잡고 점 D를 구하는 작도 ③을 한다.
4)옹벽의 벽체 상부 두께가 350이므로 점 D에서 수평으로 그 길이가 취하여 점 E를 구하는 작도 ④를 한다.
5)점 B에서 수선을 올리고 그 점에서 350, 500, 800이 되는 점을 구하여 그 점을 각각 F, G H라 하는 작도⑤를 한다.
6)점 A에서 AB선상에 450이 되는 점 I를 정하여 작도 ⑥를 한다.
7)점 H를 지나 저판의 밑변 AB와 나란한 선을 벽체 후면까지 긋는 작도 ⑦를 한다.
8)점 I에서 수선을 올린 선과 ⑦선이 만나는 점을 J로 하는 작도 ⑧을 한다.
9)점 J에서 계산한 값 √3002+3002= 424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리고, 다시 점 G를 지나 저판의 밑변 AB에 나란한 선을 그으면 원과 만나게 되는데, 이 작도 ⑨에서 만난 점을 K라 하면, 이상의 작도에 따라 구해진 점 A, D, E, J, K, F, B를 연결하면 L형 옹벽 단면도(외형)가 작도된다.
다시 점 G를 지나 저판의 밑변 AB에 나란한 선을 그으면 원과 만나게 되는데, 이 작도 ⑨에서 만난 점을 K라 하면, 이 상의 작도에 따라 구해진 점 A, D, E, J, K, F, B를 연결하면 L 형 옹벽 단면도(외형)가 작도된다.


29. L형 옹벽의 물량산출
30. 암거의 단면도 작성

1)그림 3-79와 같이 암거의 저판 폭이 2600이 되게 점 A, B를 구하고 선분 AB를 그리는 작도 ①을 한다.
2)점 A, B에서 수선을 올려 암거의 벽체 높이가 2350이 되게 점, C, D를 구하고 선분 AD, BC, DC를 잇는 작도 ②를 한다.
3)일반도에서 명시된 치수에 의하여 상판의 두께 400, 저판의 두께 450, 벽체의 두께가 300이 되게 그림 3-79와 같이 사각형 ABCD안쪽으로 작도 ③을 한다.

거푸집 공사 란 - geopujib gongsa lan


4)안쪽의 직사각형의 교점 네곳에서 150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교점 2개를 구하여 서로 잇는 작도 ④를 하면 단면도의 외형이 완성된다.


31. 암거의 물량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