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가이드 라인 - beulaendeu gaideu lain

반응형

브랜드 가이드 라인 - beulaendeu gaideu lain

레퍼런스 수집하고 아이데이션 할 때 다양한 자료들을 많이 찾아보게되지만,

아무래도 이미 인정받은 기업들의 사례를 취합해서 검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초기 진행 방향을 설정하게 되는 것 같다고 많이 느낍니다. 

기업들이 글로벌화 되면서, 이러한 브랜드 에셋등을 별도 사이트로 만들거나, 컴패니 사이트에 게재하여 자사 브랜딩을 확고히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막상 찾으려고 하면 왠지 찾기 힘들거나 번거로운 자료들인것 같아요. 

글로벌 기업들의 브랜드 가이드라인과 CI, 컬러 등에 관련한 자료를 모아서 포스팅 해봅니다. 

<넷플릭스 브랜드 사이트>

https://brand.netflix.com/en/

Netflix Brand Site

brand.netflix.com

넷플릭스의 브랜드 요소 중 BI와 심볼에 관련해 잘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페이스북 브랜드 사이트>

https://en.facebookbrand.com/facebookapp/

Facebook App Logos, Icons, and Use Guidelines | Brand Resource Center

These guidelines outline the general rules for using Facebook's App assets and showcasing Facebook App content. Download logos and icons here.

en.facebookbrand.com

페이스 북의 BI의 가이드라인을 확인하시고

https://en.facebookbrand.com/

Facebook Brand Resource Center - Assets Guidelines and Downloads

Welcome! This site will help you correctly use assets or showcase content from Facebook company's family of apps and technologies.

en.facebookbrand.com

인스타그램, 왓츠앱, 페이스북 컴패니의 가이드라인도 확인하세요 

<디자인 구글>

https://design.google/

불러오는 중입니다...

구글의 브랜드 가이드라인 뿐만 아니라 최신 디자인 동향도 파악하실 수 있습니

다. 

https://design.google/library/evolving-google-identity/

불러오는 중입니다...

구글 아이덴티티와 컬러에관한 자세한 리포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 팔레트>

https://brandpalettes.com/all-brands/

불러오는 중입니다...

글로벌 기업들의 브랜드 컬러를 모아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식적인 브랜드 가이드라인은 아니지만 브랜드 리스트를 확인하고자 할 때도 유용합니다 .

서치를 하려면 막상 어떤 브랜드를 찾아야 하는지 막막할 때가 있는데 리스트를 보시면서 검색을 확장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Autodesk 캐드 및 설계프로그램 기업 오토데스크의 브랜드가이드라인입니다. >

http://brand.autodesk.com/brand-elements/colors#product-color-proportion-wheel

Colors | Autodesk Brand

Our colors unite and enrich the Autodesk experience. The Autodesk primary color is derived from our logo.

brand.autodesk.com

브랜드 가이드 라인 - beulaendeu gaideu lain

반응형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

'Design fea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큐레이션] 트렌드를 읽을 수 있는 사이트 모아보기  (1) 2020.06.02
크리에이터로 디자인 작업물을 판매할 수 있는 사이트 리스트  (0) 2020.03.03
레퍼런스 부족해요? 국내 디자인 에이전시 리스트 공유해요 (2)  (0) 2020.02.04
레퍼런스 부족해요? 국내 디자인 에이전시 리스트 공유해요  (0) 2020.01.08
DesignStudio의 Airbnb branding  (0) 2019.12.03

처음 디자이너로 실무를 시작할 무렵 ‘구글 머테리얼 디자인’ 이라는 내용으로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공유가 되었고,​ 이후 다양한 기업에서 자사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공유하였습니다.
그만큼 디자인 가이드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한 작업이라는 건데, 디자인 가이드가 무엇이길래, 
어떤 이유로 디자인 가이드를 구축하려고 하는 걸까요? 

브랜드 가이드 라인 - beulaendeu gaideu lain

이번 제네시스 디지털 세일즈 가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디자인할 때 가장 중점적으로 고려했던 
부분도 제네시스 스타일 가이드​였습니다. 
스타일 가이드를 고려하여 디자인​할 때는 전체 디자인 스타일과 이질감이 없어야 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해치지 않으면서 가이드에 
맞는 적절한 디자인 요소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스타일 가이드를 적용하기 어려운 다양한 상황에 마주하다 보니,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고려하여 디자인​해야 하는 것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때가 많았습니다.

이런 고민의 과정을 겪으면서 알아본, 디자인 가이드란 무엇인지, 가이드의 어떤 부분을 고려하여 디자인​해야 하는지 다양한 아티클을 읽어보며 얻은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다양한 기업들의 스타일 가이드를 보며 어떤 구성으로 디자인 가이드가 제작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브랜드 가이드 라인 - beulaendeu gaideu lain

‘디자인 스타일 가이드 / 디자인 시스템 가이드’는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반영하여 각 프로젝트마다 일관적인 스타일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유지보수 및 개발 프로세스를 간편히 하기 위해 전체적인 디자인 스타일을 정의한 자료입니다.
실무자들은 이러한 스타일 가이드를 참고하여 크고 작은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는데요.
일부 간단한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디자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 개발자나 퍼블리셔가 스타일 가이드를 참조하여 CSS나 html을 작성하고, icon이나 UI구성요소등 필요한 요소를 빠르게 찾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콘텐츠 관리자도 디자인 가이드 문서를 통해 폰트나 컬러 팔레트 등을 참조하여 콘텐츠의 브랜드 일관성을 유지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디자인 가이드는 브랜드 일관성 유지에 큰 도움이 되는데요, 특히 큰 규모의 기업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디자인에 관련된 기준이 필요하고 프로젝트와 관련된 많은 실무자들이 볼 수 있도록 이러한 디자인 가이드 문서가 더욱 필요합니다.

그럼, 좋은 디자인 가이드는 무엇일까요? 디자인 가이드는 다양한 사람들이 보는 문서이기 때문에 보는 사람이 분명한 내용을 쉽고 빠르게 얻어 갈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잘 정리되어 있어야 하며 분명한 브랜드 정체성과 어떤 목적을 가지고 가이드의 기준을 삼았는지 전달하여 사용자가 가이드의 기준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관리가 잘 되어있어야 합니다.
디자인 트렌드는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서비스가 확장하면 적용 범위도 넓어지고 그만큼 제한 사항도 많아집니다. 좋은 디자인 가이드라면 이런 상황에서도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꾸준히 업데이트가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일부 기업에서는 디자인 가이드 팀을 만들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브랜드 정체성을 해치지 않으며 꾸준히 관리되는 디자인 가이드.
이번에는 기업들은 디자인 가이드를 어떻게 구축했고 관리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브랜드 가이드 라인 - beulaendeu gaideu lain
브랜드 가이드 라인 - beulaendeu gaideu lain
브랜드 가이드 라인 - beulaendeu gaideu lain
브랜드 가이드 라인 - beulaendeu gaideu lain

3. 리디 디자인 가이드
https://ridi.design/
전자책 플랫폼으로 유명한 국내 기업 리디 입니다.
디자인 가이드의 맨 처음엔 리디 디자인 가이드의 공통 원칙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어떤 목적으로 어떤 부분을 고려하여 디자인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이후 텍스트 가이드, 색상, 웹 UI 컴포넌트, 앱 UI 컴포넌트가 차례대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다만, 검색 기능이 없어 필요한 디자인 가이드를 찾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접했던 디자인 가이드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일부 꾸준히 업데이트가 되고 있는 가이드 시스템이 있는 반면, 일정 시간 이후 업데이트되지 않아 링크 연결조차 제대로 안되는 가이드 시스템도 있었습니다.
브랜드 일관성을 유지시켜주는 디자인 가이드이지만, 단순히 구색 맞추기 용으로 구축된 디자인 가이드 인지, 실제 사용이 가능하도록 꾸준히 발전되어온 가이드인지 확인하고, 너무 바이블로만 바라보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참고하는 용도로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