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변기 구조 명칭 - yangbyeongi gujo myeongching

[양변기 구조 알아 보기]

교육을 마치고 집에 들어 오니 난감한 표정의 처제...

양변기가 막혔단다...

양변기 구조 명칭 - yangbyeongi gujo myeongching

내가 잘 뚫는 걸 어찌 알고...

처제에게서 넘겨 받은 '뚫어 뻥' 흡착기로 몇 번을 '푹짝푹짝'...역쉬~ 성공~!!

양변기 구조 명칭 - yangbyeongi gujo myeongching

그런데...뭔가 좀...시원하게 물이 내려 가지 않는 느낌이 들어서 처제 앙팡이 뭘 넣었냐고 추궁...대답은?

이사 올 때 부터 무언가 막혀 있는 느낌이었다...사실 자주 막혀서 고생 중이다...헐...(그러면 뭔가 조치를 취해야지...맨날 이러구 살아??)

그래서 처제에게 폭풍 잔소리 시전~!!!

양변기 구조 명칭 - yangbyeongi gujo myeongching
 앙팡은 옆에서 눈 크게 뜨고 구경 ^^;

의외로...양변기 구조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가 봐요. 양변기 막혔다고 꼬챙이로 열심히 쑤셨다고 하는 거 보면...

자~ 그래서, 아는 사람들은 당연히 알지만, 모르는 사람은 백날 봐도 모른다는 양변기의 구조와 작동 원리에 대해서 한번 알아 봅시당~

[양변기의 구조]

변좌 뒤에 붙어 있는 물탱크의 물을 한꺼번에 변좌로 쏫아 부음으로써 그 수압으로 내용물을 오수관으로 흘려 보내는 구조입니당.

다른 동력원 없이 물이 가지는 특성 만을 이용해서 만든 발명품인데요, 아마도 1970년대에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아파트라는 주거 형태가 생기면서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온 공간이 화장실과 부엌이 아닐까 합니다.

그 화장실도 여러 변화를 겪으면서 현재까지 발전해 왔는데요, 최근에 보급된 비데 다음으로 생활 방식에 큰 변화를 준 위생 기구가 아닌가 생각 됩니다.

그런데 요 양변기의 단점이 두어 가지 있죠? 다들 아시다 시피, 배관이나 양변기 트랩이 잘 막힌다는 점과 간혹 악취가 역류한다는 점일 겁니다.

그 이유는 아래에서 작동 원리와 함께 살펴 보도록 합시다.

[양변기의 작동 원리]

오 ~ 영어가 들어 가니 뭔가 달라 보입니다 그려 ^^.

자 자, 영어에 쫄지 말고, 우리는 그냥 그림만 딱 봐도 뭐가 뭔지 알잖아요? 우리 나라 사람들 머리가 얼마나 좋은데...

각설하고, 왼쪽의 'Filling'에서 중요한 점은 transfer tube 라는 장치인데, 저녀석의 역할은 오른쪽 'Flushing ' 과정 후 bowl에 잔류를 적당한 수위 만큼 남기는 역할을 합니다. 이 남겨진 잔류가 오수관을 타고 역류하는 악취를 막아주는 역할 (trap)을 하지요.

그럼 언제 악취가 나게 될까요??

1. 잔류, 즉 trap 의 양이 적어서 오수관을 타고 올라 오는 악취(기체)의 압력을 이기지 못할 경우. 흐린날 기압이 낮아 지면 공기가 아래로 쳐지는데요, 이때 그 공기에 밀려서 오수관 속에 고여 있던 악취가 이 잔류를 뚫고 올라 오지요. 물론 trap이 없거나 약한 다른 배수구멍으로도 악취는 올라 옵니다.

2. 오수관 설치 불량일 경우, 악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거의 드문 경우인데요, 간혹 개념 없는 시공자가 배관 경사를 고려 하지 않고 설치하는 바람에 내용물이 수직 오수관으로 흘러 들어 가지 않고 남아 있거나  (역 경사나 무 경사일 경우) 경사가 너무 급해서 물만 흘러 가 버리는 경우 입니다.

3. 양변기 바닥의 packing 이나 백시멘트 사춤이 떨어진 경우에도 악취가 납니다. 욕실 청소 하실 때 유심히 관찰해 보시면 좋겠죠?

[양변기 작동 원리]

1. 양변기의 bowl에는 역류하는 악취를 막기 위해서 잔류가 그림처럼 남아 있어야 해요. 간혹 설치를 잘 못해서 잔류량이 적거나 없는 경우가 있으니 잘 확인하셔야 해요.

2&3. 그림 1번의 trap weir를 잘 봐주세요. 보통 이물질이 변기속에 들어 가서 막히는 곳인데요, 저곳은 유속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구멍이 작게 만들어져 있답니다.

물탱크의 수압만으로는 내용물과 물을 깨끗히 흘려보내기 힘들기 때문에 '벤튜리 관 효과'를 사용해서 좀 더 수월하게 오수관 속으로 빨려 들도록 한답니다.

4&5. 내용물이 다 빠져 나가고 나면 물탱크와 bowl에 다시 물이 차 오르게 되는데, 이 때 오수관 속은 약한 진공 상태(??)가 되며 내용물과 물이 완전히 내려 갈 때 까지 bowl의 물은 조금씩 오수관으로 흘러 들어 갑니다.

6. 오수관 속의 흡입력이 약해지고 bowl 속의 물이 더 이상 오수관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면서 다시 bowl 속에는 잔류가 trap 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때 잔류양이 물탱크 속의 transfer tube를 통해서 조금씩 bowl 속으로 채워지니 기회 되시면 물탱크 속을 관찰해 보는 것도 좋겠네요 ^^.

이상과 같이 양변기는 수압과 물의 위치 에너지 외에는 어떤 부가적인 동력원도 필요없게 설계되어 있지요. 훌륭하지 않나요??

그럼 양변기가 잘 막히는 원인과 해결법은 무엇일까요??

1. 머리카락, 휴지 등이 양변기나 오수관 내에 걸리는 경우입니다. 머리카락이나 특히 휴지는 물과 함께 내려가다가 배관에 붙어 버릴 확률이 높은데요, 이런 상태에서 시일이 지나서 휴지가 배관에 붙은 상태에서 고체화 되면 배관 구멍이 작아지고 유속이 약해지면서 다른 이물질들이 걸리는 장애물이 되는 것이지요. 휴지는 가능하면 처리하실 때 완전히 물에 풀어진 상태에서 배출을 하고 이때 한 두번 물을 더 내려서 휴지가 배관에 달라 붙지 않도록 하는게 좋겠네요. 머리카락은 단백질을 녹이는 약물을 부으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자연히 뚫어 지거나 '뚫어 뻥'으로 해결하시면 된답니다.

2. 딱딱한 이물질이 좁은 trap weir에 걸리는 경우, 이럴 때는 스프링 관통기를 사용해서 bowl 입구를 통해서 스프링 와이어가 trap weir 를 관통해서 지나가도록 하시면 된답니다. 

만약, 잘 되지 않는다면 trap weir를 지나서 구부러진 부위 어딘가에 단단히 이물질이 끼워진 경우이므로, 이때는 양변기를 욕실 바닥에서 분리하고 양변기의 바닥 부분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하지요. (양변기 재설치 비용이 생기는 최악의 조건...수리하는 사람도 힘들답니다. ㅜㅜ)

3. 양변기가 아닌 오수관에서 막힌 경우, 아파트나 빌라라면 아랫 집 주인의 선처가 필요하겠네요.

잘 아시는 바와 같이 욕실의 배관은 아래 그림처럼 되어 있어서, 여러분 댁 욕실의 천장에는 윗 집 욕실의 배관이 설치되어 있답니다. 여러분 댁의 욕실 배관은 당연히 아랫 집 욕실 천장 속에 있겠죠??

위의 1번, 2번 방법으로 잘 안될 경우는 오수관 자체의 문제이므로, 음료수 한병 사들고 아랫 집 주인에게 양해를 구한 다음에 오수관 속을 깨끗히 청소해 주면 된답니다. 이때, 배관 속에 남아 있던 내용물이 쏫아 질지도 모르니 조심하세요 ^^. (아...배관에 청소용 마개가 없으면 배관을 분리해야 합니다...)

살다보면...

막히는 일이야 태반사고, 해결하는 방법이나 사람들은 주변에 많으니 그리 걱정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귀찮은게 문제겠지요 ^^;

최선책은 막히기 전에 막히지 않도록 하는 일이겠죠?

[핸디페어 창원 가음정] 박 상 원 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