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pe 사용법 - windoupe sayongbeob

윈도우 PE란 'Windows Preinstallation Environment'의 약자로 윈도우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임시 OS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윈도우 PE는 윈도우 운영체제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최소한의 기능만을 제공하는 OS이기에 별 다른 기능이 없는 OS지만 수많은 유저들이 응용 프로그램을 추가하고 OS를 수정해 일반 윈도우처럼 사용이 가능한 윈도우 PE 버전들이 많이 배포되고 있습니다.

윈도우 PE의 가장 큰 장점은 이동식 저장 매체에 설치해 일반 윈도우 사용하듯이 사용이 가능하고 어떤 하드웨어에서도 구동이 된다는 점이며 단점이라면 윈도우 PE는 휘발성 운영체제이기에 부팅 후 프로그램이나 윈도우 설정을 변경해도 다시 부팅 시에는 원래의 환경으로 되돌아간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 윈도우 PE는 윈도우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윈도우 PE로 부팅해 윈도우 부트로더를 복구하거나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잃어버린 경우 비밀번호를 초기화하고 윈도우 복구가 안 될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배포되는 윈도우 PE 중 사용하기 편리하고 가벼운 PE로는 '윈도우 바람빼기' 님이 제작한 윈도우8.1 64비트용과 '홍차의 꿈' 님이 제작한 윈도우10 PE 64비트용 등이 있습니다.

▶ '윈도우 바람빼기' 님이 제작한 윈도우8.1 64비트용 다운로드 사이트 로 접속한 다음 맨 하단에서 'Win8.1DecompilerPE_x64v26.ISO'를 클릭해 윈도우 PE ISO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윈도우pe 사용법 - windoupe sayongbeob

▶ '홍차의 꿈' 님이 제작한 윈도우10 PE 64비트용 다운로드 사이트 로 접속한 다음 '다운로드' 항목을 클릭해 구글 드라이브에서 윈도우 PE ISO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윈도우pe 사용법 - windoupe sayongbeob

'윈도우 바람빼기' 님이 제작한 윈도우8.1 64비트용 ISO 파일을 구글 드라이브로 첨부합니다.

▶ 'Win8.1DecompilerPE_x64v26.ISO' 다운로드

윈도우 PE ISO 파일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ISO 파일을 부팅 가능한 디스크로 제작해주는 아래의 rufus 프로그램을 이용해 윈도우 PE를 제작합니다.

rufus-3.13p.exe

1.10MB

비어있는 4G 이상의 USB를 PC에 연결한 다음 'rufus'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rufus'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USB 장치는 자동으로 인식이 되므로 '선택'을 클릭해 다운로드한 윈도우 PE ISO 파일을 지정해 줍니다.

윈도우pe 사용법 - windoupe sayongbeob

다른 설정 필요없이 바로 '시작'을 클릭해 부팅 가능한 윈도우 PE USB를 제작합니다.

윈도우pe 사용법 - windoupe sayongbeob

USB 내의 데이터가 모두 삭제된다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확인'을 클릭해 계속 진행합니다.

윈도우pe 사용법 - windoupe sayongbeob

잠시 기다려 윈도우 PE 제작이 완료되면 '닫기'를 클릭해 제작을 완료합니다.

윈도우pe 사용법 - windoupe sayongbeob

윈도우를 재시작한 다음 PC가 부팅될 때 부트 메뉴에서 USB를 첫번째 부팅 장치로 지정하면 윈도우 PE로 부팅이 됩니다.

▶ 메인보드, PC 제조사별 부트 메뉴 진입키

'빠른 시작' 기능으로 부트 메뉴로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복구 환경으로 진입해 바이오스 모드로 들어가 부팅 순서를 설정해야 합니다.

▶ 윈도우10 빠른부팅 설정 시 바이오스(CMOS) 진입하는 방법

USB에 설치한 윈도우 PE로 부팅한 모습입니다.

윈도우pe 사용법 - windoupe sayongbeob

USB에 설치된 윈도우 PE로 부팅을 하면 일반 윈도우 사용하듯이 인터넷이나 문서 작성 등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C드라이브에 설치된 윈도우가 부팅이 안되는 경우에 윈도우 PE로 부팅한 다음 윈도우 PE에 포함된 각종 복구 프로그램으로 부트 로더를 복구해 기존의 윈도우를 복구하거나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C드라이브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드라이브로 저장할 수가 있어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윈도우pe 사용법 - windoupe sayongbeob

▶ Rufus 프로그램으로 윈도우10 설치 USB 간단히 만들기

▶ 부팅 USB없이 윈도우10 설치하기

▶ 윈도우10 DISM 명령어로 윈도우 시스템 파일 복구하기

윈도우pe 사용법 - windoupe sayongbeob

0. 들어가며

오랜만에 컴퓨터 포맷 후 윈도우10을 설치했습니다.

최근에 윈도우10 2004 버전이 나온 후 한번 밀까 했었는데요.

생각보다 C드라이브에 깔린 것들이 많아 백업 후 진행하였습니다.

1. 윈도우10 하드에서 설치하기

제가 즐겨쓰는 방법은 윈도우를 하드에서 설치하는 것인데요.

https://www.snoopybox.co.kr/1749?category=674368

위 링크에 있듯이 

1. 윈도우 10 DVD 원본에서 boot, sources 폴더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복사한다.

   (폴더 안에 넣지 말고 드라이브 최상위 위치에 복사할 것)

2. 아래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boot, sources 폴더와 동일 위치에 옮겨두고

   우클릭 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끝. (소요시간 1초 내외)

이렇게만 작업한 뒤 재부팅하면 윈도우 부팅 관리자가 나오면서 설치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USB가 없어도, 하드에 파티션이 나눠져있거나, 물리적인 하드가 2개 이상일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설치 속도도 매우 빠르고 안정적이며, 백업도 편하게 다른 하드에 한 후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윈도우PE 란?

10년 넘게 하드에서 설치하거나 USB에 구워서 설치했었는데요.

윈도우10PE라는 것을 이용해서 설치해보고 싶었습니다.

PE는 https://namu.wiki/w/Windows PE 에도 잘 설명되어 있지만, 윈도우 설치 및 복구를 위한 경량판 윈도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USB에서 직접 컴퓨터RAM을 이용하여 윈도우를 돌리는 것인데요.

장점이라면 백업과 복구가 자유롭다는 것, 윈도우 설치 편하게 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최고의 장점이라면, 기존 윈도우를 부팅하지 않아도 기존 하드의 자료를 백업 및 복원이 편하다는 것입니다.

이런 부분들을 알고 있었음에도 이때까지 해보지 않았었는데요. 요새 갑자기 호기심이 생겨 작업해보았습니다.

3. 윈도우PE 소스 및 USB 만드는 방법

https://jsb000.tistory.com/category/Windows 10 PE

위 링크에 PE 소스 및 기본 설정이 잘 나와있습니다.

저는 Win10XPE 프로그램으로 PE 만들기를 진행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https://windowsforum.kr/data/12980914 에서 다운 받아 설치했습니다.

압축을 풀면 설치방법이 매우 잘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윈도우 소스는 https://jsb000.tistory.com/category/Windows 10 통합판 여기서

원하는 버전을 받아서 작업했습니다.

윈도우10 2004 버전을 뼈대로 PE를 직접 만들었는데, ISO 파일을 만든 후 USB에 구울 땐 

https://jsb000.tistory.com/444?category=824839

여기에 있는 Rufus로 굽기로 진행했습니다. 파티션 방식을 MBR로 잡아 구형 메인보드를 쓰는 컴퓨터에서도 부팅이 가능하도록 작업했습니다.

윈도우pe 사용법 - windoupe sayongbeob

그리고 반드시 Alt e 버튼을 눌러서 듀얼부팅이 가능하게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신 메인보드에서는 UEFI 방식만 지원하기 때문에 둘다 가능하게 하는게 필수입니다.

UltraISO로도 부팅 USB를 만들 수 있지만 FAT방식으로 포맷되어 4GB 이상 파일이 들어가질 않아서 다시 Rufus로 깔았습니다.

Rufus로 만들면 NTFS로 포맷되어 4GB 이상의 파일도 잘 들어갑니다.

그리고 해당 ISO에 source 폴더에 있는 install.wim 파일을 USB에 넣어서 실제 컴퓨터에 설치시 바로 넣을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

4. 윈도우PE로 부팅 후 컴퓨터에 윈도우 설치하기

이제 준비는 끝났으니 설치만 하면 되겠죠?

메인보드에서 USB로 부팅하기를 선택한 후 PE로 부팅합니다.

파일 이동 등 원하는 작업을 한 뒤, WinNTSetup을 열고 설치하면 됩니다.

https://jsb000.tistory.com/778?category=824839

위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install.wim 파일의 위치를 선택하고, 부트 드라이브 위치를 자신의 운영체제가 깔린 곳(C드라이브)으로 넣고

F를 눌러 포맷하고, 설치 드라이브 위치도 C드라이브로 잡고 설치를 누르면 됩니다.

상당히 빠르고 안정적이어서 놀랐습니다.

그리고 재부팅 후 USB를 바로 뽑고 하드에서 부팅하면 윈도우 설치가 진행이 됩니다.

5. 마무리

처음에 개념을 잘 몰라서 해맸는데요. 차근차근히 읽어보고 직접 설치해보니 굉장히 깔끔하고 좋더라구요.

새로운 윈도우가 나와도 install.wim 파일만 교체해주면 바로 적용 가능하구요.

다음부터는 이 방법으로 설치를 할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