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湮(������, ���θ�, �θ�, ����)

����Ͻ� ���� > ��Ȱ���� > ��������

����� ��*��

����� 2011-02-02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 ���θ�, �θ�, ���ο� ���� ���湮�� �ۼ��ϰ� �ͽ��ϴ�.
�����մϴ�.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ȳ��ϼ���~
������ ��������Դϴ�.

�����ֽ� ���湮 ���ø����� �ȳ��Ͽ� �帮�ڽ��ϴ�. ����(�۴) ���� ���������� ������, ������, ������, ������, ����, ����, �θ�, ���, ���, ����, ����, �κ�, ����, ��, ����, ������ ���� ����(�۴) �ۼ���ʰ� ���ϵǾ� �ֽ��ϴ�. ����(�۴)�̶� ������ ����ǥ�ø� ���ϴ� �����μ� ��翡 ���ָ� ��ô� ���� ����(�۴)�� �ʿ� ������ �׷��� ���� ���� �� ���� ���� �۰��Ͻ� ���� ȣĪ�� ������ ������ �Ἥ ���� �Ǵ� ����(���) ���ĸ�(������) ��dz�� ���Դϴ�.

�������� �̿��� �ּż� �������� ����帮�� ȸ������ �繫���� ������ ���Ͽ� ���� ����ϴ� �������� �ǰڽ��ϴ�.
����/���� �̿뿡 ���� ������ �������� 1:1 ���Ļ����� �����ֽø� ģ���� �ȳ��Ͽ� �帳�ϴ�.
�����մϴ�.

�亯�� ���õ� ����

  •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9p

    ����(�۴) ���� ������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2p

    ����(�۴) �๮(����) ���� ��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9p

    �๮(����) ���� ������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16p

    �๮ �ۼ����̵�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차례는 설(설날), 보름(대보름), 추석 등 명절에 지내게 되는 제사입니다. 지방마다 문화가 조금씩 달라 차례를 지내는 방식에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요 보통 종가(종갓집)에서 후손들이 모두 모여 집안의 모든 조상에게 예를 갖춰 제사를 지내는 걸 말합니다. 아침에 지내는 게 특징입니다.

제사는 우리 가족을 기준으로해서 우리 윗조상들의 돌아가신 날(음력)에 맞춰 예를 갖추어 음식을 올리는 걸 말합니다. 가풍에 따라 방식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꼭 어떻게 지내야 한다는 기준은 정하기 어렵습니다. 차례와 다르게 밤에 제사를 지내는 게 특징입니다.

명절에 지방쓰는 법

지방을 쓸 때는 제주가 누구인가, 그러니까 대게 장자(長子)의 기준에서 누구의 제사를 모시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고조부모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증조부모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조부모(할머니, 할아버지)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부모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백숙 부모

백부(아버지의 형, 큰아버지)
숙부(아버지의 남동생, 작은 아버지)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남편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처(부인)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형수

 

 

미리 작성 된 지방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인쇄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 포스팅에서 HWP(아래아한글)과 PDF로 작성 된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지방의 크기는 약 가로 6Cm x 세로 22Cm입니다.

zibsin.tistory.com/2593

 

설날, 추석 등 명절이나 제사 때 지방쓰는 방법과 양식

zibsin.tistory.com/2514 설날, 추석 등 명절나 제사 때 지방쓰는 법 차례와 제사를 따로 지내는데 두 종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차례는 설(설날), 보름(대보름), 추석 등 명절에 지내게 되는 제사입니

차례와 제사를 따로 지내는데 두 종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차례는 설(설날), 보름(대보름), 추석 등 명절에 지내게 되는 제사입니다. 지방마다 문화가 조금씩 달라 차례를 지내는 방식에 조금

zibsin.net

▲지방 쓰는 예시만 보고 싶으신 분은 위의↑↑↑ 포스팅으로 이동하시면 전체 지방 예시를 보실 수 있습니다.

 

 

프린트해서 바로 사용 할 수 있는 지방 양식

지방쓰는 방법과 자세한 내용은 위의 포스팅에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아래는 아래아한글과 PDF로 작성 된 지방의 종류와 양식입니다. 다운로드 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백숙, 백부, 남편, 처, 형, 형수)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 지방쓰는 방법 예시 >

지방쓰는법.hwp

0.04MB

지방쓰는법_고조부모.hwp

0.03MB

지방쓰는법_남편.hwp

0.03MB

지방쓰는법_백숙_백부_숙부.hwp

0.03MB

지방쓰는법_부모.hwp

0.03MB

지방쓰는법_조부모.hwp

0.03MB

지방쓰는법_증조부모.hwp

0.03MB

지방쓰는법_처(부인).hwp

0.03MB

지방쓰는법_형.hwp

0.03MB

지방쓰는법_형수.hwp

0.03MB

지방쓰는법_고조부모.pdf

0.02MB

지방쓰는법_남편.pdf

0.02MB

지방쓰는법_백숙_백부_숙부.pdf

0.02MB

지방쓰는법_부모.pdf

0.02MB

지방쓰는법_조부모.pdf

0.02MB

지방쓰는법_증조부모.pdf

0.02MB

지방쓰는법_처(부인).pdf

0.02MB

지방쓰는법_형.pdf

0.02MB

지방쓰는법_형수.pdf

0.02MB

지방을 종류별로 작성한 파일입니다. 프린트 하셔서 빈칸에 성씨만 작성하시면 됩니다. 예) 全州李

빈 칸에는 예시로 "全州李" 문구가 흰색으로 작성 되어 있습니다. 삭제하신 후 고인의 본관 성씨를 작성하시거나 프린트 후에 수기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지방의 크기는 약 가로 6Cm x 세로 22Cm입니다.

 

 

 

프린트 후 따라쓰기 해서 사용 할 수 있는 양식

글씨가 희미하게 인쇄됩니다. 보이는 부분을 따라서 붓 펜 등으로 천천히 따라 쓰시면 됩니다.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백숙, 백부, 남편, 처, 형, 형수)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 지방쓰는 법 예시 >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hwp

0.04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pdf

0.04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고조부모.hwp

0.03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남편.hwp

0.03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백숙_백부_숙부.hwp

0.04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부모.hwp

0.03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조부모.hwp

0.03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증조부모.hwp

0.03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처(부인).hwp

0.03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형.hwp

0.03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형수.hwp

0.03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고조부모.pdf

0.02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남편.pdf

0.02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백숙_백부_숙부.pdf

0.02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부모.pdf

0.02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조부모.pdf

0.02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증조부모.pdf

0.02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처(부인).pdf

0.02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형.pdf

0.02MB

지방쓰는법_따라쓰기용_형수.pdf

0.02MB

만약 아래아한글(HWP)이 없으신 분은 아래아한글 홈페이지에서 한컴오피스 뷰어를 다운로드해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뷰어는 편집은 할 수 없지만 문서를 열어 보거나 인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무료로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한컴오피스 뷰어 다운로드 경로

www.hancom.com/cs_center/csDownload.do?utm_source=download.hancom.com&utm_medium=URL_Redirect&utm_campaign=Redirect

숙부 지방쓰는 법 - sugbu jibangsseuneun beob

한컴오피스 2020뷰어 (Windows용)에서 "일반용"을 설치하시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 할 수 있습니다. PDF는 Adobe acrobat을 설치하셔도 되고 인터넷 브라우저에서도 파일을 열 수 있습니다. PDF 파일을 마우스로 드래그 해서 크롬이나 Internet Explore 등 브라우저 위로 끌어 놓으면 파일이 열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