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초 중화적정 실험 - sigcho junghwajeogjeong silheom

중화 적정 - 식초의 농도 알아내기

이 실험은 일종의 프로젝트 실험처럼 시리즈로 진행되었다.

1. 표준 용액 만들기: 수산화 나트륨 0.1 M 용액 500mL 만들기 - 모둠별로 한 병씩 만들어서 라벨 터치를 이용해 용액의 이름, 농도, 모둠원 이름을 다 적어서 붙여 내도록 함

2.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의 중화 적정: 수산화 나트륨 용액의 농도 확인 하기 & 미지 농도 염산의 농도 알아내기 - 1에서 만들었던 용액의 라벨을 떼고 숫자를 적은 뒤 각 반을 섞어 다른 모둠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나눠줌. 0.1M 염산과 미지 농도의 염산을 제공한 뒤, 자신들이 받은 수산화 나트륨 용액의 농도가 0.1M이 맞는지 중화 적정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지 농도 염산의 농도를 알아내도록 함. 실험 결과를 분석해 보니, 25개 조 중에 2개 조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의 농도가 이상이 있었음. 실험 결과를 중간 중간에 확인해 보고 영 결과가 이상한 조는 pH미터를 이용해 수산화 나트륨 용액의 농도를 확인해본 뒤 0,1M 수산화 나트륨 용액으로 교환해주었음.

이 실험을 하면서 학생들은 뷰렛, 자석 교반기를 사용했으며,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의 변색 순간 - 이른바 귀족적이고 창백한 핑크색-을 찾아내는 방법을 익혔다. 적정을 총 4번에서 6번까지 하도록 했기 때문.

3. 식초의 농도 알아내기: 일반 식초와 2배 식초를 중화 적정하기 - 2번에서 사용했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다시 받아가서, 식초와 2배 식초를 적정하여 몰 농도및 % 농도를 알아내기

아래는 활동별 실험 보고서이니 필요하신 분들은 받아가세요. ▼

이 프로젝트의 끝은 아마도 세번째 실험이리라, ㅎㅎㅎ.

이것이 바로 학생들의 실험 데이터 분석값이다. ▼

식초 농도(M)

식초 농도(%)

2배식초 농도(%)

오**네

1.056

7

14.86

이**네

1.0715

6.45

13.1

박**네

1.27

8

15

채**네

1.08

7.12

14.22

이**네

1.18

7.34

14.61

우**네

1.1448

7.045

14.24

김**네

1.09

6.95

13.95

조**네

1.147

7.52

14.2

우**네

1.192

6.99

13.46

평균

1.136811111

7.157222222

14.18222222

식초 농도(M)

식초 농도(%)

2배식초 농도(%)

**네

1.1

7.22

14.53

***네

1.14

6.63

13.1

**네

1.08

7.2

14.4

**네

1.17

6.25

12.7

***네

1.15

7.23

15.3

***네

1.19

7.2

15

***네

1.12

7.07

16.6

**네

1.14

7.28

14.65

평균

1.13625

7.01

14.535

식초 농도(M)

식초 농도(%)

2배식초 농도(%)

장**네

1.34

서**네

1.164

7.34

14.4

김**네

1.255

7.311

14.4

양**네

1.13

이**네

1.089

6.48

14.1

김**네

1.1

6.76

14.38

**네

1.13

6.95

13.35

***네

평균

1.172571429

6.9682

14.126

마지막 반은 실험 데이터 분석에 어려움을 겪은 조들이 있어 데이터가 듬성듬성.

이 세반의 데이터를 평균 내면 대략 참값에 도달하지 않았을까?

식초 병 라벨에 붙어있는 농도를 조사해 보았다. 이것이 일반 식초와 2배 식초의 모습이고 ▼

식초 중화적정 실험 - sigcho junghwajeogjeong silheom

이것이 일반 식초의 농도값이다. 총산도 6~7% ▼

식초 중화적정 실험 - sigcho junghwajeogjeong silheom

식초 중화적정 실험 - sigcho junghwajeogjeong silheom

아이들이 실험을 통해 얻은 값과 거의 차이가 없는 라벨을 보니 어찌나 행복하던지~!

2배 식초가 아주 제대로 된 2배 식초라는 걸 알았고, 우리는 '오뚜기는 역시 갓뚜기'라고 감탄했다, ^^

ps 1: 일반 식초의 농도가 거의 1M이라는 것은 다음 시간 산과 염기의 세기 시범 실험에 이용했다. 1M 염산과 식초 용액에 아연을 넣어 수소 기체 발생 정도가 다른 걸 확인하는 시범 실험이었다. 수소 기체를 모아 폭명을 보려고 했더니만 아연은 반응이 좀 느려서 마그네슘 리본을 하나씩 더 넣어서 기체를 모은 뒤 불을 붙여 폭명을 들은 것으로 이 시리즈는 막을 내렸다. 참으로 즐거운(나만 즐거웠나? ㅋㅋ) 시리즈 수업이었다.

ps 2: 식초 농도 알아보는 실험을 하다가 한 아이가 피펫을 깨면서 자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한 거였다. 지금 생각해도 살짝 식은땀이 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