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미인곡 시상 전개 방식 - samiingog sisang jeongae bangsig

Recommended textbook solutions

사미인곡 시상 전개 방식 - samiingog sisang jeongae bangsig

Numerical Analysis

9th EditionJ. Douglas Faires, Richard L. Burden

873 solutions

사미인곡 시상 전개 방식 - samiingog sisang jeongae bangsig

Discrete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7th EditionKenneth Rosen

4,285 solutions

사미인곡 시상 전개 방식 - samiingog sisang jeongae bangsig

Calculus

7th EditionBruce H. Edwards, Larson, Robert P. Hostetler

10,459 solutions

사미인곡 시상 전개 방식 - samiingog sisang jeongae bangsig

Algebra and Trigonometry

5th EditionRobert F. Blitzer

10,851 solutions

5 정철, 사미인곡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설(積雪)을 헤텨 내니

창 밧긔 심근 (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冷淡) 암향(暗香)은 므일고

황혼의 이 조차 벼마빗최니

늣기  반기  님이신가 아니신가

화 것거 내여 님 겨신 보내오져

님이 너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B][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

나위(羅幃) 젹막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부용(芙蓉)을 거더 노코 공쟉(孔雀)을 둘러 두니

득 시날은 엇디 기돗던고

원앙금(鴛鴦錦) 버혀 노코 오(五色線) 플텨 내여

금자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슈품(手品)니와 졔도(制度)시고

산호슈(珊瑚樹) 지게 우 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인가 구롬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쳔 리 만 리 길흘 뉘라셔 자갈고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C][밤 서리김의 기러기 우러녈 제

위루(危樓)에 혼자 올나 슈졍념(水晶簾)

거든마리 동산(東山)이 나고 북극(北極)의 별이 뵈니

님이신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쳥광(淸光)을 쥐여 내여 봉황누(鳳凰樓)의 븟티고져

() 거러 두고 팔황(八荒)의 다 비최여

심산(深山) 궁곡(窮谷) 졈낫그쇼셔]

[D][건곤(乾坤)이 폐(閉塞)(白雪)빗친 제

니와 새도 긋쳐 잇다

쇼샹남반(瀟湘南畔)도 치오미 이러커든

옥누고쳐(玉樓高處)야 더욱 닐너 므

양츈(陽春)을 부쳐 내여 님 겨신 쏘이고져

모쳠(茅簷)  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홍샹(紅裳)을 니믜고 취슈(翠袖)()만 거더

일모 슈듁(日暮脩竹)의 혬가림도 하도 할샤

 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쳥등(靑燈) 거른 겻뎐공후(鈿箜篌) 노하 두고

의나 님을 보려 밧고 비겨시니

앙금(鴦衾)샤 이 밤은 언제 샐고]

도 열두 도 셜흔 날

져근덧 각마라이 시닛쟈

쳐 이셔 골슈(骨髓)텨시니

편쟉(扁鵲)이 열히 오나 이 병을 엇디

어와 내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하리 싀어디여 범나' 되오리라

곳나모 가지마다 간 죡죡 안니다가

향 므든 애로 님의 오올므리라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노라

어휘 풀이

*나위: 비단 휘장.

*슈막: 수를 놓은 장막.

*부용: 부용장. 연꽃을 수놓은 휘장.

*금자견화이셔: 금으로 만든 자에 겨누어서.

*슈졍념: 수정으로 만든 발.

*봉황누: 임금님이 계신 곳.

*팔황: 온 세상.

*: 겨울에 천지가 얼어붙어 생기가 막힘.

*쇼샹남반: 중국의 소수와 상수가 만나는 곳의 남쪽 언덕. 여기서는 작가의 은거지를 가리킴.

*취슈: 푸른 소매.

*일모 슈듁: 해 저물 무렵 길게 자란 대나무에 기댐.

*뎐공후: 현악기. 자개로 장식한 공후.

*텨시니: 사무쳤으니.

*편쟉: 중국 춘추 전국 시대의 명의(名醫).

*안니다가: 앉고 다니다가.

*: 좇으려.

01 [A][D]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것은?

[A][D]는 계절의 변화를 중심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A]에서는 후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대상의 속성을 나타내고 있다.

[B]에서는 소재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여 주제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C]에서는 반어적 표현을 통해 시적 긴장감을 조성하고 있다.

[D]에서는 설의적 표현을 사용하여 상황을 강조하고 있다.

02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것은?

① ㉠은 임의 평안을 염려하는 화자의 심정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② ㉡은 임의 옷을 만드는 데 들인 화자의 정성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③ ㉢은 화자와 임 사이에 장애물이 놓여 있음을 암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④ ㉣은 독수공방하는 화자 자신의 처지를 부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⑤ ㉤은 죽음을 가정하여 임과의 사랑을 이루려는 소망을 담은 것으로 볼 수 있다.

03 <보기>를 참고하여 윗글을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정철은 사미인곡에서 임에게 버림받은 여성 화자를 설정하였다. 여기에는 신하가 임금에 대한 울분을 직접 토로하는 것이 불가능한 현실 속에서 자신의 심정을 돌려서 말하면서 동시에 정치적으로 불우한 처지에 대해 임금의 연민을 자극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었다. 또한 정철은 정치적인 실패와 좌절을 겪으면서도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임금의 선정(善政)을 기대하며 신하로서의 책무를 잃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였는데, 이것은 사대부로서의 사명감과 연결할 수 있다.

녹음은 정치적으로 불우한 작가의 처지를 상징하는 것이다.

위루를 통해 화자가 여성으로 설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쳥광은 임금에게 버림받은 작가의 울분이 함축된 것이다.

졈낫그쇼셔는 임금이 선정을 베풀기를 소망하는 것이다.

져근덧 각마라는 사대부로서의 사명감을 드러낸 것이다.

도움자료

[2015 EBS 인터넷 수능] 문학(B)

05 정철, 사미인곡

01 02 03

작가인 정철이 당쟁으로 인해 조정에서 물러나 은거할 때 지은 가사로 충신연주지사의 대표작 중의 하나이다. 임금과 자신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임금을 임으로, 자신을 임을 그리워하는 여인으로 설정해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절실하게 나타내고 있다. 사계절의 풍경의 변화와 함께 이별한 임을 그리워하는 전개 방식도 인상적이며, 다양한 표현 기법과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린 언어 구사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임금에 대한 충성과 그리움

본사 1 () : 임을 향한 변함 없는 충정을 알리고 싶음.

본사 2 (여름) : 자신의 외로운 심정과 임에 대한 정성을 알리고 싶음.

본사 3 (가을) : 임을 그리워하며 임의 선정(善政)을 바람.

본사 4 (겨울) : 임의 안부를 염려하며 독수공방의 처지를 탄식함.

결사 : 죽어서도 임을 따르겠다는 애절한 소망

01 작품의 종합적 이해

[C]에 반어적 표현은 나타나지 않는다.

[A][D]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 변화를 중심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A]암향은 그윽이 풍기는 매화의 향기를 말한다. ‘암향은 후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매화의 속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은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담은 소재로 주제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더욱 닐너 므같은 설의적 표현을 사용하여 상황을 강조하고 있다.

02 세부 정보의 이해

은 황혼에 달이 쫓아와 (화자의) 베갯머리에 비치는 것으로 달을 임처럼 인식하는 상황이다. 임에 대한 그리움과 관련이 있는 것이지, 임의 평안을 바라는 내용은 아니다.

자신이 임을 위해 만든 옷이 솜씨와 격식을 아울러 갖추었음을 밝히며 임에 대한 정성을 드러낸 것이다.

’, ‘구롬은 화자와 임 사이를 가로막는 장애물, 혹은 간신이나 정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라는 촉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독수공방의 처지를 부각하고 있다.

죽어서 호랑나비가 되어서 임의 옷에 옮겨 가겠다는 것은 임과의 사랑을 이루려는 소망을 담은 것으로 볼 수 있다.

03 외적 준거에 의한 작품의 감상

졈낫그쇼셔는 온 세상의 깊은 산골짜기까지 대낮같이 환하게 만들어 달라는 의미로, 임금의 선정을 기원하는 상징적 표현이다.

녹음은 여름이라는 계절감을 나타내는 소재이다.

위루는 높은 누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화자의 성별을 알려주는 소재는 아니다.

쳥광은 임금에 대한 화자의 정성과 기원이 담긴 소재이다.

져근덧 각마라는 시름을 잊기 위해 임에 대한 생각을 잠시라도 하지 않으려는 심리를 드러낸 것이다. 사명감과는 관련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