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헤는 밤 내용 - byeol heneun bam naeyong

별헤는 밤

별 헤는 밤 내용 - byeol heneun bam naeyong
별 헤는 밤 내용 - byeol heneun bam naeyong
정의

별 헤는 밤 내용 - byeol heneun bam naeyong
별 헤는 밤 내용 - byeol heneun bam naeyong
개설

10연 30행의 자유시이다. 1941년 11월 5일 지은 유작으로 친구 정병욱과 아우 윤일주가 1948년 정리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초간본 31편 중 앞부분에 실렸으며, 1955년정음사에서 나온 증보판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 정리되어 실렸다.

별 헤는 밤 내용 - byeol heneun bam naeyong
별 헤는 밤 내용 - byeol heneun bam naeyong
내용

담화체 형식으로 어머니에게 이야기하듯 애틋한 서정을 담고 있다. 특히 ‘∼ㅂ니다’의 종결어미가 정겨운 감성을 불러일으킨다. 전체적으로 회상과 기억, 그리움의 정조를 따라 전개되는데 1∼3연은 시를 쓰고 있는 시인의 현재를 드러내고 있다. 타향에서 시인은 현재 가을로 이미지화된 침잠된 분위기에 싸여 있으며 청춘을 제대로 구가하지 못하는 소회가 깊게 묻어있다.

고독한 현재와 대비되는 시간은 과거로 설정된다. 그 시절을 상기시키는 매개체는 ‘별’이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동시에 존재하는 별의 상징성과 구원의 이미지를 통해 시인은 과거를 구체화한다. 추억, 사랑, 쓸쓸함, 동경, 시, 어머니 등은 고향을 떠올릴 수 있는 가장 밀착된 모티브이다. 이 중 가장 실감 있게 고향을 환기시키는 시적 상관물은 ‘어머니’이다. 5연과 7연에서 ‘어머니’를 호명하며 전개되는 시적 정황은 떠도는 자로서 고독과 그리움의 극한을 보여준다.

시인은 타향에 있고 어머니는 고향 북간도에 있다. 이 거리감을 극복하게 해주는 것은 별빛이다. 시인이 있는 타향에도 고향 어머니에게도 동시에 비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인은 현재 자신의 존재성을 상실했다. 8연에서 ‘덮어 버린 자신의 이름’에서 잘 드러난다. 그의 슬픔의 근원이며 망국의 알레고리로 읽을 수 있는 지점이다.

마지막 연에서 시인의 면모가 드러난다. 그는 시인이면서도 별을 통해 운명을 읽는 점성술사처럼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의 언술은 갑자기 정겨운 말투에서 ‘∼외다’ 식으로 변하여 복화술을 쓰는 듯하다. 시인은 예언자로서 엄중히 말한다. 지금은 가을이고, 곧 겨울이 올 것이며, 다시 봄이 오리라 굳게 믿으며 스스로를 자랑스러운 존재로 높이 확인하고 있다.

별 헤는 밤 내용 - byeol heneun bam naeyong
별 헤는 밤 내용 - byeol heneun bam naeyong
의의와 평가

이 시는 유랑하듯 떠도는 일제하 한국인의 회한을 잘 대변하고 있다. 타향에서 겪는 극한 고독과 자기모멸을 순열한 시심으로 견뎌내며 새날을 기약하는 시인의 면모가 빛난다.

별 헤는 밤 내용 - byeol heneun bam naeyong
별 헤는 밤 내용 - byeol heneun bam naeyong
참고문헌

  • 『윤동주 시 깊이 읽기』(권오만,소명출판,2009)

  • 『윤동주』(김학동편,서강대출판부,1997)

  • 『윤동주연구』(권영민편,문학사상사,1995)

별 헤는 밤 내용 - byeol heneun bam naeyong
별 헤는 밤 내용 - byeol heneun bam naeyong
집필자


1. 시 본문+분석

별 헤는 밤

윤동주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 계절적 배경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헤일 듯합니다.

               ↳ 과거 회상의 매개체

가슴속에 하나둘 새겨지는 별을

 ↳ 애틋한 그리움의 대상, 과거의 대상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요,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요,

아직 나의 청춘이 다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아버지

어머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마디씩 불러 봅니다. 소학교 때 책상을 같이했던 아이들의 이름과, 패, 경, 옥 이런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 벌써 애기 어머니된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잠, 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봅니다.

이네들은 너무나 멀리 있습니다.

                          가혹한 현실, 거리감 강조

별이 아슬히 멀듯이,

어머님,

그리고 당신은 멀리 북간도에 계십니다.

                              ↳ 그리움의 원천(고향)

나는 무엇인지 그리워

이 많은 별빛이 내린 언덕 위에

내 이름자를 써 보고,

흙으로 덮어 버리었습니다.

 ↳ 자아성찰의 행위(부끄러움, 반성)

딴은 밤을 새워 우는 벌레는

         ↳ 어두운 현실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

            ↱ 암울한 현실                      ↱ 희망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 시상의 전환              ↳ 화자가 지향하는 세계

무덤 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 절망        ↳ 희망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위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게외다.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2. 구성

1~3연, 현재: 타향에서 밤하늘의 별을 바라봄(그리움, 희망)

4~7연, 과거: 과거에 대한 상념과 그리움(아름다움, 그리움)

8~9연, 현재: 현재의 삶에 대한 부끄러움과 자기성찰(부끄러움, 반성)

 10연, 미래 : 새로운 미래에 대한 희망과 소생의지(자랑스러움, 희망)

3. 별의 의미

1. 과거 회상의 매개체

 - 추억, 사랑, 쓸쓸함, 동경, 시, 어머니 등을 떠올려 시작 화자가 지향하는 세계를 인지함

2. 자아성찰의 매개체

 - 화자가 지향하는 이상적 가치를 상기시켜 무기력한 자신을 반성하게 함

4. 시어의 의미

밤, 겨울: 암울한 현실(일제강점기)

무덤,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죽음, 절망, 자기 희생

봄: 이상적인 공간, 희망, 생명, 조국의 광복

파란 잔디, 풀: 부활, 재생, 생명

5. 갈래

시대: 현대시

형식: 자유시

6. 성격

회상적, 사색적, 성찰적, 의지적

7. 주제

아름다운 과거에 대한 그리움, 자기 성찰

8. 특징

1. 과거(그리움) - 현재(부끄러움) - 미래(희망) 순으로 시상 전개됨.

2. 산문적 리듬을 가진 연을 삽입하여 운율의 변화를 줌.

3. 담화체 형식을 사용하여 애틋한 서정을 섬세하게 드러냄.


9. 문학적 표현방식

- 열거법(나열법): 의마상 연관이 있는 단어들을 늘어놓아 전체 내용을 표현하는 방법

               효과: 구체적으로 형상화, 운율 형성

- 반복법: 같거나 비슷한 말을 반복

     효과: 내용을 강조, 운율 형성

- 객관적 상관물: 강점을 객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찾아낸 물체

- 감정이입: 어떤 대상에 자신의 감정을 불어넣거나, 감정이 통한다고 느낀 일

       '벌레'는 화자가 슬픈 감정을 이입한 객관적 상관물

10. 문체: 문장의 말투

- 담화체: 평소에 대화하는 말투 ≒ 구어체

      ⟷ 문어체

- 산문체: 특별한 운율이 없는 일반적인 문장

      ⟷ 운문체: 일정한 운율이 겉으로 드러날 경우

- 만연체: 길고 자세하게 늘어놓는 문체

      ⟷ 간결체

11. 문학작품 감상 4가지 관점
  시대
 ↓
 
     작가 ➝
표현론적 관점
     작품 ➝
내재론적 관점
절대론적 관점
독자
효용론적 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