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미놀 반응 실험 느낀점 - luminol ban-eung silheom neukkinjeom

실험 제목
루미놀 반응 실험
실험 과정
1. 루미놀용액스프레이의 뚜껑을 모두 연다.
2. 일회용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5%과산화수소 2ml(루미놀용액의 1/10만큼)를 루미놀 용액에 넣고 뚜껑을 닫은 뒤 흔들어 섞는다.
3. A4용지 1장, 란셋, 알코올 솜, 루미놀용액, 면봉을 준비한다.
4. 헤모글로빈이 들어있는 병에 정제수를 20ml 채운다.
5. 병을 잘 흔들어 헤모글로빈을 물에 녹여준다.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녹게 되므로 완전히 녹지 않아도 된다.)
6. 혈흔을 채취할 부분을 알코올 솜으로 잘 닦아 소독한다.
7. 란셋(채혈침)의 뚜껑 부분을 분리하여 뾰족한 침 부분으로 소독한 부분을 찔러 준다.
8. A5용지에 혈액을 몇 군데 묻힌다.
9. 과정4~5에 물에 녹여 놓은 헤모글로빈 용액의 뚜껑을 열고 면봉을 이용하여 A5용지에 글씨나 그림을 그린다. (*용액을 많이 묻혀서 그림이나 글씨를 써주어야 형광반응이 더욱 밝게 나타난다.)
10. 루미놀용액스프레이와 작업한 A5용지를 준비해 어두운 곳으로 옮기거나 빛을 완전히 차단시켜준 상태에서 A5용지에 루미놀용액을 분사한다.
실험 원리
1. 루미놀 반응은 혈흔의 유무가 불분명할 때, 혹은 혈흔과 혼동하기 쉬운 반흔이 다수 있을 때 혈흔의 반흔을 신속하게 골라내기 위해 행하며 화학발광 검사법이라고도 한다.
2. 루미놀과 과산화수소, 알칼리 혼합액에 혈액 중 헤모글로빈의 핵심인 헤민이 작용하면 헤민의 촉매반응에 의해 루미놀이 화학 발광을 하며 루미놀 반응은 혈액을 1~2만 배로 희석해도 발광한다.
3. 루미놀이 화학발광을 일으키려면 산화제와 반응해야하는데 주로 과산화수소 용액과 물에 녹인 수산화나트륨이 활성제로 작용한다. 철 화합물 등의 촉매가 있으면 과산화수소는 산소와 물로 분해된다. 2H2O2 -> 02 + 2H2O
실험실에서는 페리시안화칼륨이나 과요오드산염칼륨이 주로 촉매로 사용된다. 법의학에서 혈흔 감식에 쓰일 때는 효소나 헤모글로빈 내 포함된 철 이온이 촉매로 사용된다. 
 루미놀이 수산화 이온과 반응하면 2가 음이온이 형성된다. 과산화수소에서 산소가 발생하고 루미놀이온과 반응하게 된다. 이 반응의 생성물인 유기 과산화물은 질소가 빠짐으로써 만들어지는데 매우 불안정한 상태이다. 전자가 들뜬 상태에 있다가 바닥 상태로 전이되며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이 에너지의 방출이 파란색으로 보인다.
4. 헤모글로빈은 피 속에 들어있으며 몸 곳곳에 산소 운반 역할을 하는데 핵심 부분은 헤민이며 가운데 부분에 철이 위치하고 있다. 철분이 부족하면 빈혈이 생기는 이유는 헤모글로빈의 부족으로 몸 곳곳에 산소를 운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알게 된 점
느낀 점
 이때까지 해왔던 대부분의 소규모 실험들은 우리들이 원하는 결과가 나왔었고 또한 실패한적이 거의 없었다. 그렇지만 이번 실험에서는 우리가 생각한 결과와는 다른 결과가 나와서 당황했었다. 완전히 마르지 않는 상태에서 스프레이를 분사했기 때문에 우리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이번 실험을 하면서 느낀점은. 실험결과가 잘 나오지 않았다고 해서 실망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느꼈다. 그 이유는 우리가 비록 실험에 실패했지만 실패한 원인을 찾음으로써 더욱 성장할수 있었기 때문이다. 다음에 루미놀반응실험을 또 하게 된다면 실패한 원인을 보완하여 성공할 것이다.

루미놀 반응 실험 느낀점 - luminol ban-eung silheom neukkinjeom

안녕하세요~

오늘은 재미있는 주제를 들고 찾아왔습니다 :)

보통 화학실험이라고 하면 화학재료들을 쉽게 구할 수 없기 때문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생소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요.

실제로도 위험한 화학성분들도 많기 때문에 함부로 실험을 진행하게 되면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죠!

하지만 이번 시간에는 안전하게 실험할 수 있고, 재밌는 결과를 볼 수 있는 루미놀 반응 실험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아마 '루미놀'이란 말이 다소 어색하실꺼예요.

루미놀은 산화하면 화학발광(형광 발생)하는 특징이 있는 백색 결정의 유기화합물을 말합니다.

화학식으로는 [C8H7N3O2]로 나타내며 분자량은 [177.16]랍니다!

녹는점이 319~320℃이기 때문에 굉장히 높은 고열에서 녹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루미놀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구리나 철 등의 검출 또는 과산화수소(활성산소), 시안이온을 정량할 수 있어요!

또한, 재료만 있다면 쉽게 반응 실험도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분들도 한번씩 진행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루미놀 반응 실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까요?

루미놀 반응 실험 느낀점 - luminol ban-eung silheom neukkinjeom

[루미놀 반응 실험방법]

실험 재료 : 스프레이 병 1개, 루미놀용액, 과산화수소용액, 헤모글로민용액, 면봉, 종이, 탈지면, 체혈침

1. 스프레이 병에 과산화수소용액과 루미놀용액을 섞어 넣고 뚜껑으로 닫아줍니다.

2. 헤모글로빈용액을 면봉에 묻혀 종이에 원하는 그림을 그린 후 주위를 어둡게 하고 루미놀용액을 뿌려 관찰합니다.

3. 헤모글로민 용액을 탈지면에 몇 방울 떨어뜨린 후 주위를 어둡게 하고 루미놀용액을 뿌려 관찰합니다.

4. 손가락 끝에서 피를 내어 탈지면에 묻힌 후 주위를 어둡게 하고 루미놀용액을 뿌려 관찰합니다.

루미놀용액 자체는 굉장히 투명한 색입니다.

그래서 단순히 실험을 진행할 때에는 어떤 결과가 나올지 예측하기 어려운데요.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게 되면 파란 형광빛이 나는 결과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마치, 어릴 때 종이에 레몬즙을 뿌리고서 촛불 위로 가져다 대면 글씨가 나타나는 것 처럼요.

가능하다면 사랑하는 사람에게 루미놀 반응을 통해 고백을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네요~!

그렇다면 어떻게 이러한 결과가 나올 수 있는걸까요?

루미놀 용액은 루미놀 가루와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이 용액이 혈액과 만나게 되면 혈액 속에 있는 헤모글로빈의 철 성분이 촉매로 작용하게 되면서

과산화수소를 분해하고 산소를 발생시키게 됩니다.

이때, 이 산소가 루미놀을 산화시키면서 파란색 발광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랍니다 :)

이러한 루미놀 반응은 '과학수사'에서 정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어요.

우리나라는 루미놀 국산화에 성공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루미놀 반응을 통해 많은 범인을 잡기도 했습니다.

최근에는 방탈출카페에서도 활용되고 있기에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루미놀 반응 실험 느낀점 - luminol ban-eung silheom neukkinjeom

1. Chemicals & Apparatus

1) Chemicals

루미놀 반응 실험 느낀점 - luminol ban-eung silheom neukkinjeom

2) Apparatus

피펫(pipett), spatula, culture tube, 100mL 눈금 실린더, beaker, funnel, test tube, 분무기, 면봉, 종이, 채혈기, 뷰렛 또는 유리관

2. Procedure

실험 1 화학 발광 (Chemiluminescent Oscillation)

1) 용액 A, B, C 그리고 D를 각각 15mL씩 100mL 비커에 넣고 물 중탕으로 가열한다.

2) 실험실의 빛을 모두 소멸시킨 뒤 beaker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찰한다.

<준비 용액>

용액 A: 0.50M H2O2 (15% H2O2)

용액 B: 0.15M KSCN

용액 C: 6.00810-4M CuSO4

용액 D: 0.100M NaOH + 3.7*10-3M luminol

실험 2 루미놀을 이용한 혈흔 검사법

1) 10mg의 루미놀(luminol), 0.5g의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를 100mL 비커에 넣고 10mL 증류수에 녹인 후 15% H2O2 5mL를 넣고 잘 섞는다.

2) 위에서 만든 용액을 스프레이식 분무기에 넣는다.

3) 채혈기를 이용해 미량의 혈액을 작은 test tube에 취한 후 1~2mL의 증류수로 묽히고 모세관을 이용해 종이 위에 묽힌 혈액으로 그림, 글씨 등을 그리고 잘 말린다.

* 농도가 너무 묽으면 확인이 어려우므로 약간 진하게 표시한다.

4) 실험실의 빛을 모두 소멸시킨 뒤 luminol 용액이 담긴 분무기로 용액을 뿌린 다음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한다.

3. Data & Result

루미놀 반응 실험 느낀점 - luminol ban-eung silheom neukkinjeom

4. Discussion

실험 1 루미놀 반응 실험 진행 및 결과 분석

대표적인 화학 발광 반응을 관찰하기 위해서 루미놀 반응을 이용했다. 제공받은 실험 순서에서는 루미놀 용액을 직접 만들고 채혈기를 이용해서 실험을 진행하지만, 실제 실험에서는 만들어져 있는 루미놀 용액을 사용했으며, 이미 추출된 돼지 혈액을 사용했다. 혈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철 이온은 루미놀 반응이 더 빨리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뿐만 아니라 루미놀 용액을 제조할 때 같이 섞어주는 시료들이 왜 사용이 되어야 하는지 등을 루미놀 반응 메커니즘을 살펴보자.

루미놀 반응 실험 느낀점 - luminol ban-eung silheom neukkinjeom

① 루미놀 용액을 만들기 위해 넣어준 탄산나트륨(Na2CO3)은 이온결합 물질이기 때문에 나트륨 이온과 탄산 이온으로 쉽게 분해된다. 하지만, 탄산 이온이 약산인 탄산에서 유래한 이온이므로, 염의 가수분해 현상에 따라 탄산 이온이 물과 반응하여 해당 용액은 염기성이 된다.

루미놀 반응 실험 느낀점 - luminol ban-eung silheom neukkinjeom

염기성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수산화이온과 루미놀을 구성하는 수소원자가 반응하여 루미놀은 두 개의 수소원자를 잃어버리게 된다. 그 결과 질소 원자들은 전기적으로 음성을 띠는 중간체가 형성된다. ② 산소의 전기음성도가 질소가 보이는 수치보다 더 크다. 그래서 질소 원자에 분포되어 있던 전자가 양 끝에 놓여있는 산소로 이동한다. ③ 과산화수소는 물과 산소를 합쳐 제조한 것이기 때문에 분해 반응이 진행되면 물과 산소를 생성물로 갖는다. 하지만, 과산화수소의 분해 반응은 실온에서 잘 진행되지 않으며 이 현상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촉매가 필요하다. 혈흔 검사에서는 혈액 속 헴 구조에 포함된 철 이온이 촉매로 작용을 하여 과산화수소 분해 반응이 진행된다. 그 결과 생성된 산소가 루미놀 중간체와 반응하며 산화-환원 반응이 진행된다. 그 결과 질소 원자에 산소가 결합한 중간체가 형성되는 데 이 물질은 매우 불안정하다. 그래서 질소 원자를 기체의 형태로 내보내며 비교적 안정한 형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그 결과 완전히 안정하지는 않지만 산소가 삼중항 상태에 놓인 중간물을 얻게 된다. ④ 이 과정에서는 계간 교차가 발생하여 물질의 에너지 준위 상태가 변한다. 산소는 상온에서 삼중항 상태($T_1$)로 놓일 수 있으며, 이는 금지 전이를 통해서 단일항 들뜬 상태($S_1$) 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이 반응은 금지전이이므로 발생할 확률이 적을 수 있으나, 이는 완전히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삼중항 상태가 단일항 들뜬 상태보다 더 낮은 에너지 준위를 가지므로 이 과정에서 스핀 다중도가 변하는 전자 전이가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방출되는 빛을 관찰할 수는 없다. 만약 흡수 스펙트럼을 관찰한다면 해당 에너지 차이만큼의 빛이 흡수되는 것을 관찰할 수는 있을 것이다. ⑤ 단일항 들뜬 상태에 놓여있는 물질은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바닥 상태로 내려오게 되며, 이때 에너지를 방출한다. 들뜬 루미놀이 방출하는 에너지의 형태는 빛이며 $S_1$에서 $S_0$으로 에너지 준위가 변화는 과정을 수반하므로 형광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얻은 실험 결과 에서 확인할 수 있듯 청백색의 파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형광을 방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 그림을 자세하게 보면 혈액으로 모양을 만든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서도 형광이 관찰된다. 즉 루미놀 반응은 몇 가지 한계점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루미놀 용액을 사용 직전에 만들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번 실험에 한정하여 루미놀 반응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산소 등 산화-환원 반응이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이 필요하다. 이번 실험에서는 이를 위해서 과산화수소의 분해 반응을 이용하나, 과산화수소 분해반응이 느리다는 것과 자발적이라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루미놀 용액이 오래전에 만들어졌다면, 혈액 등 촉매와 반응하지 않더라도 내부에서 산화 환원 반응이 진행되어 혈흔의 유무와 관계없이 루미놀 용액 그 자체만으로도 화학 발광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루미놀 반응을 통해 얻은 형광이 무조건 혈액에 의해서 진행되지 않으며, 과산화수소 분해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가 포함된 물질에 의한 결과일 수 있다. 루미놀 반응이 혈흔 검사에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혈액에 들어있는 헴 구조 중 철 이온이 과산화수소 분해 촉매로 작용하여 충분한 산화 환원 반응을 진행시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철 이온이 아닌 과산화수소 분해의 촉매인 아이오딘화 칼륨(KI) 용액, 과망가니즈산(MnO2) 용액 등에 루미놀 용액을 넣는다면 마찬가지로 과산화수소 분해 반응이 촉진되어 형광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두가지 한계 때문에 루미놀 반응은 혈액의 유무를 따지는 필요조건이며, 이것이 실제 혈액인지는 추가적인 검사를 요구한다.

실험 2 화학발광 실험의 이해 및 원리

진동 반응은 완전히 평형에 도달하지 않고, 반응지수가 평형 상수보다 크고 작은 상태를 계속해서 반복하는 주기적 반응을 뜻한다. 이번 실험에서 진행한 실험에 대한 현상을 먼저 이해하기 전, 루미놀이 제외된 H2O2-KSCN-CuSO4-NaOH의 진동 반응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해당 진동 반응은 NaOH에 의한 염기 상태 하에서 H2O2-KSCN와 H2O2-CuSO4 사이의 피드백 네트워크에 의하여 진동 반응이 발생한다. 그 결과로 용액의 색 변화, 과산소이온(O2-)의 용해도 변화, 그리고 전위 사이의 변화가 수반된다. 다만, 루미놀이 이 진동계에 첨가되면 보이는 현상이 약간 변화한다. 우선 루미놀의 화학 발광에 의해서 빛이 주기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루미놀 반응 메커니즘을 이용해서 설명해보도록 하자. 루미놀이 염기성 용액에 놓이면 전하를 갖게 된다. 그리고 산화-환원 반응을 거쳐서 발광을 하게 된다. 해당 진동계에서 과산화수소 분해가 촉매인 황산 구리에 의해서 분해될 때 형성되는 중간체 HO2-Cu(Ⅰ)와 과산소이온 O2-이 해당 산화 환원 반응에 기인한다.

루미놀 반응 실험 느낀점 - luminol ban-eung silheom neukkinjeom

그림 9를 살펴보면 산화-환원 반응에 기인하는 물질들이 서로 증감이 반대로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주기적으로 산화 환원 반응이 진행되어 발광 형태도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뜻한다. 발광의 주기성 뿐만 아니라 용액 자체의 색 변화에도 변화가 생기는 데, 루미놀이 추가되면 루미놀이 수산화이온과 반응하여 어두운 보라빛을 띠는 중간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용액의 색변화가 노란색-무색 관계에서 노란색-어두운 보라색 관계로 변화한다. 한편, 진동 반응이 계속 진행되면서 루미놀이 계속 반응에 참여하기 때문에 진동이 진행될수록 관찰되는 빛의 세기는 약해지고, 반응도 점점 평형에 다다른다. 이 과정을 보다 정확하게 관찰하려고 했으면, 결과 사진으로 형광을 보이는 사진이 아닌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도움이 더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발광 현상 말고, 용액 자체의 색 변화도 관찰하기 위해서 빛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는 것도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그리로 반응계의 농도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stirring bar를 이용해서 혼합한 용액을 섞는 것이 더 나은 실험 결과를 얻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5. Reference

1. 박종진 외 2인, 광화학의 이해, 자유아카데미, 2011, pp. 3~10, 19~33, 35~40, 45~46, 61~67

2. 대한화학회, 표준 일반화학실험 제 7판, 천문각, 2011, pp. 89~95

3. Simeen Stattar 외 1인, Interaction of Luminol with the Oscillating system H2O2-KSCN-CuSO4-NaOH, 1990, 275~277

4. Supavadee Kiatisevi 외 1인, Study of the oscillation and luminol chemiluminescence in the H2O2-KSCN-CuSO4-NaOH system, 2010, 173~177

5. Hernan E. Prypsztein, Chemiluminescent Oscillating Demonstrations: The Chemical Buoy, the Lighting Wave, and the Ghostly Cylinder, 2005, 53~54


실험 결과 해석을 위해 필요한 개념

분자 오비탈

전자 배치

바닥 상태와 들뜬 상태의 스핀 다중도

화학 발광과 화학 진동

복사 과정과 비복사 과정

혈액의 조성과 루미놀 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