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파일 공유 서버 - linugseu pail gong-yu seobeo

우분투 리눅스를 활용하여 사무실 파일서버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컴퓨터에 비하여 좀 빠르게 느껴짐니다

본 설치는 우분투 14.10 server 버전을 사용했습니다. 리눅스 버전에따라 설정

방법이 조금씩 다르니 버전별 검색하여 공부하셔야 할수 있습니다.

순서,

1, ip 주소가 바뀌지 않도록 고정 ip로 설정 합니다.

2, 하드 디스크 추가 리눅스를 설치한 HDD 작아도 무관함, 추가 디스크 는 용량을

저장을 많이할수있도록 좀 넉넉하게... 장착하고 마운트및 포멧.

3, samba 설정 완료.

1, 리눅스 설치를 마친 컴퓨터에 고정 ip를 할당합니다. 고정 ip 라고 공인ip 가 ㅡ 아닌 사설 ip 주소로 사무실 의 라우터(공유기,방화벽,기타)에서 나오는 사설 ip를

활용하는 방법이 보안상 좋습니다.(아무포트나 포트포워딩 하지 마세요.)

리눅스 파일 공유 서버 - linugseu pail gong-yu seobeo

우분투의 sudo 또는 root 로 로그인하여 ifconfig 로 dhcp로 잡혀있는 ip주소를 확인합니다.

nano /etc/network/interfaces 를 수정합니다.

설정에 들어가면 dhcp로 설정 되어 있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각자의 네트워크 환경에 맞도록 설정 합니다.

설정에 맞도록 입력하고 Ctrl+x를 누르면 저장 여부를 확인합니다 y를 누르고 빠져 나옵니다.

저장후 빠저나오면 reboot 를 입력하여 시스템을 재시작 합니다.

다시 root로 로그인 하여 ip주소를 확인 합니다. 변경된 ip를 볼수있습니다.

이제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apt-get update

apt-get upgrade

apt-get install samba samba-common python-glade2 system-config-samba

2, HDD 추가후 마운트 합니다.

리눅스는 디스크를 추가하면 윈도우처럼 바로 사용할수 있는것이 아니고

기본시스템에 폴더를 생성하고 이폴더에 추가한 디스크를 마운트해야 사용할수 있습니다.

ls /dev/sd* 로 설치한 디스크 를 확인합니다. /dev/sdb 가 생겨난것을 확인 합니다. hda 같이 다른이름으로나오는경우도 있습니다.

fdisk /dev/sdb 로 fdisk 를 실행합니다.

m 을 누르면 옵션 메뉴가 나옴니다.

n 을 눌러 add new partition(새파티션) 을 만듭니다.

p 를 누르고 다음다음 눌러 파티션 설정을 마침니다.

w을 눌러 섲정을 저장하고 빠져 나옴니다.

fdisk -l 로 fdisk 를 확인합니다.

mkfs.ext4 /dev/sdb1 로 ext4로 포멧 합니다.(ext4는 리눅스용 포멧방식 입니다.)

blkid 로 포멧된 디스크를 확인 합니다.

마운트를할 폴더를 home 폴더 아래에 생성합니다. mkdir /home/data data 라는 폴더를 만들었습니다. 일반 폴더도 생성 합니다. mkdir /home/user1 user1 폴더 생성

mount /dev/sdb1 /home/data 로 data 폴더에 sdb1 을 마운트 합니다.

컴퓨터를 껏다 키더라도 마운트를 유지할수있도록 nano /etc/fstab 의 내용을 수정 합니다. 에디터 내 아래쪽에 /dev/sdb1 /home/data ext4 defaults 00 를 넣고 Ctrl+x y 로 저장

df -h 로 마운트 확인 /dev/sdb1 이 마운트 된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3,samba 설정

시작 하기전 mv /etc/samba/smb.conf /etc/samba/smb.conf.bak 으로

/etc/samba/smb.conf 를 복사하여 smb.conf.bak 를 만들어 저장합니다.

nano /etc/samba/smb.conf 를 실행 합니다.

[global] 아래에 다음 내용을 추가 합니다.

netbios name = ubuntu

security = user

map to guest = bad user

내용을 추가 합니다. Ctrl+x y 를 눌러 저장 합니다.

[data] (공유폴더 이름)

comment = ALLuser Directories (공유폴더 설명)

path = /home/data (폴더절대경로)

browsable =yes

writable = yes

guest ok = yes

read only = no

[user1] (공유폴더 이름)

comment = user1 Directories (공유폴더 설명)

path = /home/user1 (폴더절대경로)

valid users = user1 (공유폴더를 사용할 유저)

browsable =yes

writable = yes

guest ok = yes

read only = no

다음으로 리눅스 계정을 생성합니다.

useradd -m user1 (-m 홈 디렉토리 생성) user1 은 유저명

passwd 계정이름 으로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cat /etc/passwd 로 생성한 계정을 확인합니다.

smbpasswd -a 계정이름 으로 smb 계정과 비밀번호를 생성 합니다.

pdbedit -L 로 smb 계정을 확인합니다.

삼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리눅스 계정과 삼바 계정이 서로 매핑하여 사용됨으로 동일하게 설정 합니다.

service smbd restart 으로 삼바를 재시작 합니다.

공유폴더에 읽고 쓸수 있도록 권한을 설정 합니다. chmod 777 /( 경로) chmod 777 /home/data chmod 777 /home/user1

이제 윈도우 컴퓨터에서 \\컴퓨터이름 또는 \\ip 주소 를 입력 합니다.

폴더 생성해서 쓰기 가능한지 테스트 합니다. 위의 lost+found 폴더가 지워지지 않네요..

user1폴더를 사용할 컴퓨터에서 user1의 자격 증명에 로그인 합니다. 먼저 생성한 user1의 아이디 user1과 비밀번호를 넣고 로그인 합니다.

자격증명 로그인 마치면 폴더 생성을 하여 읽고 쓰기를 테스트 합니다.

먼저 data 를 마운트하면 서 생겨난 거슬리는 이폴더를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냥 않지워져서 서버의 root 계정으로 삭제 합니다. rm-rf lost+found 를 입력.

삭제된 내용을 확인 합니다.

이제 모든 설정을 마쳤습니다.

본 설정은 제가 직접 실험 하면서 작성하였지만 제가 리눅스 전문가가 아니다보니

조금 조잡할수있음을 이해해 주세요.

제가 설정한 컴퓨터는 제 컴퓨터에 vm웨어를 활용하여 HDD 추가 등은 모두

vm웨어의 가상 디스크 등을 활용하였습니다...

용량에는 차이가 있지만 기능상으로는 차이가 없으니 이대로 사용해도 될듯 합니다. 삼바서버로 검색하면 많이나오는데 그데로 설정 해도 않되는경우가 너무 많아서 이것이 정답이라고 말하기가 힘들꺼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