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bs사업부 - lgjeonja bssa-eobbu

Lg전자 bs사업부 - lgjeonja bssa-eobbu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모습. 2022.07.07.

[서울=뉴시스]동효정 기자 = LG전자가 3분기(7월~9월)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전화회의)를 통해 "BS(비즈니스솔루션) 사업 부문에서 신사업인 로봇과 전기차 충전 사업을 신규 포트폴리오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박충현 BS경영관리담당 상무는 "BS 사업 부문은 현재 IT사업을 중심으로 B2B(기업간거래) 버티컬(Vertical·특정 고객군)별 솔루션 사업 중점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사업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상무는 "여기에 신사업인 로봇과 전기차 충전사업을 신규 포트폴리오로 육성해 버티컬별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솔루션 사업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사가 강점이 있는 게이밍 모니터와 노트북을 중심으로 하이엔드 시장 수요에 맞는 제품을 계속 제공하고 기존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영역에서 확보된 역량을 기반으로 B2B 영역으로 확장을 시도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g전자 bs사업부 - lgjeonja bssa-eobbu
viewer

LG전자(066570) B2B 사업 부문 ‘BS사업본부’가 화려하게 부활했다.

한때 사업본부가 없어질 정도로 존재감이 약했으나 2년 전 부활한 후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영업이익률 등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 BS사업본부는 지난해 매출 2조6,726억원, 영업이익 2,468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2.2%포인트 상승한 9.2%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만 보면 전체 5개 사업 부문 중 9.3%로 1위에 오른 H&A사업본부(생활가전)와 별 차이가 없다. 또 전년인 지난 2018년에 B2B사업본부보다 영업이익률이 높았던 HE사업본부(TV·6.1%)를 3%포인트가량 앞지르며 큰 격차로 제쳤다. 이 추세대로라면 올해 영업이익률 부문에서는 LG전자 전체 사업 부문 중 최고에 오를 가능성도 있다. &amp;lt;br /&amp;gt;&amp;lt;br /&amp;gt;LG전자의 BS사업본부의 부활은 드라마 같다. BS사업본부는 2009년 신설된 후 사업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2011년 HE사업본부로 이관됐다. LG전자는 2018년 미래 먹거리 개발을 위해 BS사업본부를 부활시켰다. 부활 2년 만에 실적이 크게 성장하면서 ‘효자’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amp;lt;br /&amp;gt;&amp;lt;br /&amp;gt;&amp;lt;div class="art_rel"&amp;gt;&amp;lt;div class="rel_tit"&amp;gt;관련기사&amp;lt;/div&amp;gt;&amp;lt;ul&amp;gt;&amp;lt;li id="relationNews_1"&amp;gt;&amp;lt;a href="https://www.sedaily.com/NewsView/1YYUU7C5HN/GD01"&amp;gt;LG전자, 에티오피아 서비스 인재 육성&amp;lt;/a&amp;gt;&amp;lt;/li&amp;gt;&amp;lt;li id="relationNews_2"&amp;gt;&amp;lt;a href="https://www.sedaily.com/NewsView/1YYTGIS7YP/GD01"&amp;gt;LG전자 ‘디지털 콕핏‘ 캐딜락에 첫 공급&amp;lt;/a&amp;gt;&amp;lt;/li&amp;gt;&amp;lt;li id="relationNews_3"&amp;gt;&amp;lt;a href="https://www.sedaily.com/NewsView/1YYTGY8FVN/GD01"&amp;gt;LG전자, 美서 ‘최고의 세탁기‘ 싹쓸이&amp;lt;/a&amp;gt;&amp;lt;/li&amp;gt;&amp;lt;li id="relationNews_4"&amp;gt;&amp;lt;a href="https://www.sedaily.com/NewsView/1YYT0TR9IB/GD01"&amp;gt;‘한국판 CES‘ 무기한 연기…LG전자, MWC 불참 결정&amp;lt;/a&amp;gt;&amp;lt;/li&amp;gt;&amp;lt;/ul&amp;gt;&amp;lt;/div&amp;gt;&amp;lt;br /&amp;gt;&amp;lt;br /&amp;gt;&amp;lt;figure class="art_photo"&amp;gt; &amp;lt;p class="link_figure"&amp;gt; &amp;lt;img src="https://newsimg.sedaily.com/2020/02/09/1YYUUZ53UX_10.jpg" alt="LG전자가 호주 시드니에 위치한 ‘무어뱅크 물류단지’에 공급한 태양광 모듈 /사진제공=LG전자" /&amp;gt; &amp;lt;a href="/News/NewsView/PhotoViewer?Nid=1YYUUZ53UX&amp;amp;amp;Page=2" class="btn_viewer"&amp;gt;viewer&amp;lt;/a&amp;gt; &amp;lt;/p&amp;gt; &amp;lt;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amp;gt;LG전자가 호주 시드니에 위치한 ‘무어뱅크 물류단지’에 공급한 태양광 모듈 /사진제공=LG전자&amp;lt;/figcaption&amp;gt;&amp;lt;/figure&amp;gt;&amp;lt;br /&amp;gt;&amp;lt;br /&amp;gt;BS사업본부는 올해도 성장세가 기대된다. 태양광모듈과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사업 부문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는데다 지난해 말 조직 개편을 통해 TV 사업을 담당하는 HE사업본부로부터 정보기술(IT) 사업을 이관받았기 때문이다. &amp;lt;br /&amp;gt;&amp;lt;br /&amp;gt;올해도 깜짝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amp;lt;br /&amp;gt;&amp;lt;br /&amp;gt;한편 업계에서는 LG전자가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여섯번째 사업본부를 신설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LG전자는 2013년 신사업 육성을 위해 전장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를 신설했고 2018년 BS사업본부를 부활시켰다. /고병기기자 &amp;lt;div class="article_copy"&amp;gt; &amp;amp;lt;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mp;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 id="div_addition"&amp;gt;&amp;lt;/div&amp;gt; &amp;lt;div id="div_additionV2"&amp;gt;&amp;lt;/div&amp;gt; &amp;lt;link href="/Inc/Css/Design/stock_main.css" rel="stylesheet" /&amp;gt; &amp;lt;div id="StockInfo"&amp;gt;&amp;lt;/div&amp;gt; &amp;lt;div class="stock_notice read" style="display:none"&amp;gt;&amp;lt;p&amp;gt;&amp;lt;span&amp;gt;※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amp;lt;/span&amp;gt;&amp;lt;span&amp;gt;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amp;lt;/span&amp;gt;&amp;lt;/p&amp;gt;&amp;lt;/div&amp;gt; &amp;lt;div class="sub_ad_banner7"&amp;gt; &amp;lt;div id="div-gpt-ad-1587367161370-0"&amp;gt; &amp;lt;script&amp;gt; googletag.cmd.push(function () { googletag.display('div-gpt-ad-1587367161370-0'); }); &lt;/div&gt; &lt;/div&gt; &lt;div id="dablewidget_QXeAmNXe" data-widget_id="QXeAmNXe"&gt; &lt;script&gt; (function (d, a) { d[a] = d[a] || function () { (d[a].q = d[a].q || []).push(arguments) }; }(window, 'dable')); dable('setService', 'sedaily.com'); dable('sendLogOnce'); dable('renderWidget', 'dablewidget_QXeAmNXe'); </div> <div class="sub_ad_banner_wid"> <div id="div-gpt-ad-1640329249644-0"> <script> googletag.cmd.push(function () { googletag.display('div-gpt-ad-164032924964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