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작년에 작업실에 쓰려고 샀던 이동식 에어컨.


알고보니 외부에서 흡기, 배기가 둘 다 되어야 제대로 된 냉방 성능이 나옵니다.

순정상태의 배기 호스 1개만 사용할 경우, 배기만 작동 되고

흡기가 내부(실내)에서 이루어 집니다.

방 안의 시원한 공기를 같이 빨아들여 외부로 뿜어 버리고,

공기가 밖으로 나간만큼 실외의 더운 공기가 실내로 꾸준히 들어옵니다.

엄청 시끄러운데 비해 중요한 냉방 성능이 별로였던 이유중 하나가 이것 때문이라는걸 알았습니다
창문 밖으로 내보내는 공기만큼 방 안으로 외부의 더운 공기의 유입이 계속 이루어 지니 냉방이 잘 안되는 느낌인거죠

이 처럼 외부로 배기만 되는 순정상태로 사용하면
문틈, 창틀같은 틈새를 아무리 열심히 막아 봤자
기압차이로 인해 외부의 더운 공기가 무조건 빨려들어옵니다. 아무리 잘 틀어막아도 못 막습니다.

문틀, 창틀 심지어 하수구등 온갖 잡다한 틈으로 외부의 더운 공기가 빨려 들어오고
더운 바람이 계속 유입되니 그렇잖아도 낮은 성능의 에어컨이 냉풍기 수준밖에 성능이 안됩니다


국내 판매되는 (배기만 되는)단일 호스 이동식 에어컨들은
근본적으로 뭔가 아니다 싶은 생각이 듭니다. 작년에 고생을 했는데 올해도 더위가;;

외부에서 흡기, 배기가 다 되게 해 주면 냉방 성능이 조금 더 좋아지니
일부 사용자들은 흡기용 호스를 따로 만들어 주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만

이게 생각보다 복잡해 보이기 때문에 섣불리 도전하기 어려워 보이죠

폼보드, 스티로폼등으로 거창하게 박스를 만들고 테이프로 열심히 땜질해서 호스를 연결하는 귀찮은 번거로움 없이

비용을 조-금 들여 기성품들을 응용하면, 쉽게 개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작업실에서 쓰는 캐리어 이동식 에어컨입니다.
기본 작업의 원리는, 패널에 호스용 마운트(플랜지)를 고정하고 남는 흡기구를 테이프로 막으면 됩니다.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이 경우는 기성품을 사용하여.....

웰템이라는 국내 이동식 에어컨 제작업체의 별매 옵션 제품을 구매하였습니다.
이러라고 만든건 아닐테지만, 고마운 제품 ㅎㅎ;;

비슷한 덕트용 부속들을 써도 됩니다.
덕트 호스 고정용 마운트(플랜지)는 다른 기성품들도 있습니다

덕트 플랜지, 후랜지 등을 검색하면 됩니다.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포맥스 조각을 뒤에 끼우고 피스로 고정해줍니다.
나중에 분해하거나 위치를 옮기고 떼어도 흔적이 안 남습니다.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고정이 된 모습입니다.
배기호스보다 직경이 좀 작은데, 큰 문제 없이 돌아갑니다.
작년에 문 닫고 틈새 열심히 막아 돌렸을때 문틈 창틈으로 미친듯이 빨아들이던 부하에 비하면
이 정도 직경 차이는 문제가 되지 않을듯 합니다.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나머지 흡기 공간은 막아야 되니 (나중에 쉽게 제거 가능한)마스킹 테이프로 막아줍니다.
가지고 있는게 녹색 테이프네요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사이즈에 맞는 호스를 연결해주면 마무리 됩니다.,

사진은 없지만, 같은 원리로 플랜지를 하나 더 이용하면 창틀쪽도 호스 고정하기가 쉽죠 (-응용편-)


이런 방법의 장점이라면, 박스를 재단해 만들고 테이프로 마감하는 금손급? 능력 이 불필요하며

기성품을 사용하여 쉽게 작업 가능하고, 탈 부착이 쉽습니다.

작년에 찌는듯한 폭염에 에어컨 설치 일자도 너무 오래걸리고 울산 물가탓인지 비싸고..ㅠ.ㅠ

기다리다 못해 구입했던 이동식 에어컨 입니다.

왠만한 이동식 및 창문형은 중국 oem제조가 대부분이고 작년엔 가로형 창문형도 일본꺼 하나 뿐인데다

가격도 비싸고 젤 중요한 냉방력이 너무 부족 했어요.

구입한 녀석은 작년 및 올해 출시된 이동식 에어컨중 가장 높은 냉방력으로 12000btu 이며 난방도 가능한 이동식 에어컨 입니다.

하지만......작년 너무 더워 문제점을 알면서도 대충 설치해서 썼다는건데요..ㅠㅠ

올해는 미리 이동식 에어컨의 설계적 오류인 흡기 부분을 보완 하고 좀더 단열에 신경 써서 재 설치 했습니다.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이부분이 문제네요. 모든 이동식에어컨의 고질적 문제죠.

실내 공기가 저기로 흡입되서 냉매를 식혀주고 배기호스로

토출되다보니 실내에 음압이 걸려 아무리 단열과 틈을 잘막아도

뜨거운 외기가 다시 들어와 버린다는거..ㅜㅜ (올해 출시한 이동식 에어컨과 미국쪽 메이커중엔 저부분을 보완한 듀얼 덕트 제품이 존재는 합니다. 또한 악세사리 키트로 나온 제품도 있지요.. 이노크 아든도 그렇게 해주었으면 좋겠네요 ㅠㅠ)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그래서 요런식으로 흡기쪽에 200mm자바라를 설치해서

외부로 빼서 음압 원인을 차단해버리기~~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하드보드지로 외기쪽 커버를 만들고 딱히 단열처리는 필요없지만..

양면 은박 단열지로 감싸고 자바라 꼽고 흡기쪽에 실리콘테이프로

빈틈없이 막아줍니다.

실내 공기가 흡입안되게 꼼꼼히 해주시는게 포인트..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기존 같이주는 창문가림막은 이동식 사보신분이면 아시죠?

허접한거...ㅡㅡ

그래서 20t 에바스펀지를 재단해서 200mm타공 했어요.

젤힘든 작업 ㅜㅜ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스펀지만으로 단열효과는 크지만 열반사 단열작업 한번더

해주고..

문틈은 빈틈없이 막아주고 한쪽은 실리콘 테이프 처리해줍니다.

완벽히 틈새 없애기~~ 토출구쪽 바람이 엄청 뜨거워요. 이게 틈새로

안들어오게 잘막아주세요.

이동식 에어컨 흡기, 배기 - idongsig eeokeon heubgi, baegi

설치완료~~

토출 자바라는 열반사 단열재로 틈없이 꼼꼼히 감아주세요

저 자바라 엄청 뜨겁거든요.

그리고 짧게 설치할수록 효율은 업 됩니다~~

흡기쪽은 꼭 아래쪽에 자리잡아주세요.

토출구의 바람이 다시 흡입안되게요~~

설치이후 음압도 안걸리고 작년과는 다른 시원함~~

이동식이라기엔 방마다 저렇게 셋팅하지 않으면

이동은 힘들지만..ㅜㅜ

벽걸이 보다 시원하네요.ㅎㅎ

그냥 막 팔아재끼는 쇼핑몰이 젤 문제네요.ㅜㅜ

몇몇곳에선 이 문제점을 해결해 듀얼덕트방식이나 흡기킷이 따로

나오는데..아직 대부분의 쇼핑몰에선 이동식 에어컨은

이동 설치는 쉽고 무작정 시원해진다고 과장광고만 해대네요.ㅜㅜ

혹시 이동식은 있는데 온도가 너무 안내려 간다 느껴서 치워두셨다면

번거롭지만 한번 시도해보심이~~

3일 사용후기.

30도 였던 방이 20도까지 내려가는데 걸린시간은 25분...

한가지 더 보완할점은 제품 및면의 틈새도 막아야 합니다.

실외기쪽 토출구의 팬으로 인해 음압이 걸려 그 음압으로 흡기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구조인데

아래 틈새가 존재 하여 내부 실내공기를 미약하게 빨아 들이는 현상이 있어요.

물론 그 양은 미미하지만 이왕 하는거 다 막아주면 좋겠죠??

대부분의 이동식 에어컨은 같은 구조이니 한번 시도해 보시는걸 추천 합니다~ 굳이 저렇게 힘들게 할필요없어요~

일단 이녀석은 안방으로 옮기고 제방엔 어제 구입한 창문형 에어컨을 설치 할 예정입니다!!

이녀석도 설치후 리뷰 한번 해볼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