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 - baechudosa mudosa eunbikkabi

�����θ� ���� ���ߵ��� �����簡 �ƴұ��??

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 - baechudosa mudosa eunbikkabi
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 - baechudosa mudosa eunbikkabi
������ �۾���
2021.06.01 17:02

�׷������� ������ �� ����Ƽ�׿�

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 - baechudosa mudosa eunbikkabi
�˻��� 2021.06.01 17:24

���ߵ��� ������� 1990�⵵��

������� 1991�⵵�� ���Գ׿�

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 - baechudosa mudosa eunbikkabi
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 - baechudosa mudosa eunbikkabi
������ �۾���
2021.06.01 17:30

����� �ñ⿡ ���Գ׿�

���Ҹ����ڸ� ������� �Ϻ� �ִ� �ȵ����� �̾߱⸦ �������ϴ� �� ��;;;

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 - baechudosa mudosa eunbikkabi

�ȵ����� �̾߱� ����ǫ뫻��ڪ��, 1971

1981��� 88�⿡ MBC�� �濵�� �ƴϸ� �ȵ����� �̾߱�(���� �濵��ÿ��� '�ȵ���').���� �ݹ߸Ӹ� ������ ĵƼ(����� �۵���, �ѱ� ������ �̸��� ������),�ڿ� ������� ������ ����(�ѱ��� ������ �̸��� �������̸� ����� �칮��). ���⼭�� ���ΰ��� ������ �ؼ� ����ī�带 100�� ��ƾ� �����б����� ���ַ� �����ϴ� ����� ��� �� �ֱ⿡ �ȵ����� ��ȭ �ӿ� ���� ������ ���� �̾߱��Դϴ�

�� ������ �״�� ������ �� ��..������

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 - baechudosa mudosa eunbikkabi
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 - baechudosa mudosa eunbikkabi
������ �۾���
2021.06.01 18:52

�̷��� ��� �� �ƽð� �����ϼ̴���;;

����Ͻɵ�...

�ݻ� ������ ���� ������ ������Ű���� �̰� ���ٿ��ŵ��

�׸��� �������ٵ� �� �� ��� ������ ���鼭 ����? �ȵ��� ������ ���ݾ�?

������� Ȯ���� ���� �� �˾Ҵ�ϴ�
88�� �Ͽ��� ��ħ���� �� �ȵ����� �̾߱� Ʋ����µ� �ܿ� 3�� �ڿ� ������ �������ϱ��

--�ٸ� �̾߱����� ��...�� ���� �ѱ� ��󸶵� �ؿ� �� ������ �̷���;;;

�������� ��ȭ�� ����� ���� õdz����� �ѱ� ��� ��󸶰� 1988�� 8�� 21�� �Ͽ��� ����
9��30�п� �濵�� �� ����...���� ǥ���� Ȯ �巯���� �ɺ��� �� �������� �������� �̰����Ͽ� ��� �ϳ� ���ϱ⵵ ����

��� �����񺸴� �� ���� ����
��ȭ���� ABC�� �ֽ��ϴٸ�..�̰͵� ���ٽ�½ �̷� ������ ��������....�Ϻ� ���Ͽ� ���� ij���� �� ��
https://blog.naver.com/kbrkjs/50115734073

�������� �� �ִ� ���� �뷡�� �θ� ���� ȫ���� ���� ���뺸�뿡�� ���θ� ����;;

������ �� �ִϴ� ������ ��ġ(1987�� ��̳� �濵)�� �̾� 2��° �ѱ� ��ۿ� �ִ�

������ 2020 ���� ����Ű�� �����̴� �����(1945~2017)�̾��׿�

�ٵ� ���θ��� ������ ���ڶ�°� ų������Ʈ

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 - baechudosa mudosa eunbikkabi
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 - baechudosa mudosa eunbikkabi
������ �۾���
2021.06.01 18:58

��?? ���θ� ���� �ƴѰ���??

���ۿ��� �����ε� �ѱ��� �������� ���ڷ� �������

�ٸ� 2016���� �ִϿ��� �ѱ��� ������ ���ڶ�� ���ɴϴ� �׷��� ���θ� ��ϰ� �ƴ� ����
��� ���

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 - baechudosa mudosa eunbikkabi
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 - baechudosa mudosa eunbikkabi
������ �۾���
2021.06.01 18:57

���θ� ����...����

���뺸��� ���θ���~

�������� ��Ҹ�

���θ� �� �������� ��Ҹ��� �޸�

��ī�� �����̵忡�� �׾߸��� Į������ �㽺Ű�� �����ΰ� ��Ҹ��� ������

Animation

[KBS 만화] 추억의 3대 고전만화 (은비까비, 배추도사 무도사, 초롱이의 역사기행)

#1

 오늘은 국산 고전 애니메이션에 대한 추억을 꺼내보고자 합니다.

제가 어렸을 때인 1990년대만해도 KBS에서 자주 볼 수 있었던 <옛날 옛적에> 시리즈는 <은비까비의 옛날 옛적에><배추도사 무도사의 옛날 옛적에>가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었죠. 대한민국 20,30대라면 잊을 수 없는 양대 시리즈의 오프닝 음악부터 감상해보시죠~ 


 뭐 너무나 익숙한 음악이죠. 

 참고로 <은비까비 시리즈>의 오프닝 음악은 가수 조갑경 씨가, <배추도사 무도사 시리즈>의 오프닝 음악은 개그맨 김정식씨가 불러 주셨네요. 두분 다 당시에는 잘나가는 방송인이셨고, 이 때만해도 연예인이 만화 주제가를 부르는 일이 많았죠.

 애니메이션 제작사 이름에서도 세월의 흔적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제작사가 각각 세영동화(주), 한호흥업(주)라는 요즘같아서는 도저히 용납이 안되는 애니메이션 회사이름으로 이 만화들이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지레 짐작할 수 있죠 ㅋㅋ

여기서 생기는 의문점!!!

도대체 <은비까비 시리즈>와 <배추도사 무도사 시리즈>의 차이가 무엇일까? 이야기를 전달하는 주체가 '은비까비 VS 배추도사 무도사'라는 것

빼고는 그 내용이 그 내용같은데 말이죠. 사실 우리나라 전래동화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은 유사하지만, 여러가지 면에서 차이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프닝 영상에서부터 이 두 개의 시리즈의 분명한 차이를 알 수 있는데요. <은비까비> 오프닝 영상을 보시면 '심술쟁이 혼내주고, 어려운 이 도와주는'이라는 가사가 있습니다. 이처럼 은비와 까비는 직접 전래동화 속에 관여하면서 적극적인 역할을 합니다. 주로 은비가 명령을 하면 까비가 직접 극 속으로 들어가 미션을 수행하죠. 반면에 <배추도사 무도사> 시리즈는 배추도사나 무도사 자기들끼리 치고받고 싸우거나 극 중 인물들에 대해 평하는 장면이 중간중간에 삽입되긴 하지만, 막상 극에는 끼어들지 않습니다. 상대적으로 차분한 오프닝 음악의 분위기처럼 그저 느긋하게 지켜보죠.

 또 전하는 이야기에도 미묘한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이건 좀 주관적인 견해입니다 ㅋㅋ) <은비까비 시리즈>가 철저한 권선징악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전래동화를 소재로 한 아기자기한 그림체의 착한 어린이를 위한 시리즈였다면, <배추도사 무도사 시리즈>는 상대적으로 권선징악적인 내용이 약한 구전설화 그대로의 내용이 바탕이고, 일부 하드코어한 그림체가 있어 어린이가 보기에는 다소 무서울 수 있는 귀신의 모습이 자주 등장하죠. (여기에서 무서운 귀신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ㅋㅋ제가 봐도 무섭더군요) 

 제가 가장 똑똑하게 기억하고 있는 <은비까비 시리즈>는 바로 <도둑의 눈물>편입니다. 하늘 높은 줄 모르는 천재 도둑이 가난하지만 뜻이 곧은 선비의 성품에 눈물을 흘리는 내용인데요, 아주 감동적인 에피소드였죠. 궁금하신 분은 아래 영상을 감상해 보시길....

 한편 <배추도사 무도사 시리즈>에서는 <여우각시와 바우소년>이라는 에피소드가 기억에 남는데, 멀쩡한 처녀가 여우로 변하는 장면은 지금 봐도 오싹하군요 ㅋㅋ

 아.... 갑자기 그 때의 추억들이 밀려오네요 ㅋㅋ 어린시절, 오래 볼수록 혼나는 일반 만화와는 달리 오히려 보는 것이 권장되었던 추억의 고전 만화.... 이런 옛 전래동화 만화들을 정말 별생각없이 보던 그 시절이 그립네요. 

#2

 이제부터는 초레어한 추억을 꺼내볼까 합니다. 바로 1990년대 중반 KBS에서 방영한 <초롱이의 역사기행>이라는 시리즈에 대한 추억인데요, 이 시리즈는 어린 시절 '위인전 매니아'(어감이 이상하군요)였던 저에게는 최고의 고전만화 시리즈였습니다. 아쉽게도 10화만에 종영된 비운의 시리즈이기도 하죠.

1. 민족의 시조 단군
2. 훈민정음과 세종대왕
3. 호국의 명장 을지문덕
4. 장영실
5. 한의학의 선구자 허준
6. 바다의 제왕 장보고
7. 대륙의 정복자 광개토대왕
8. 발로 그린 대동여지도 김정호
9. 목민심서와 정약용
10. 북벌의 높은 기상 효종과 이완

 이 중에 김정호 편과 효종과 이완 시리즈가 아직까지도 기억에 남네요. 사실 제가 생각해도 시청률이 안나왔을 것 같지만, 아무리 방송도 자본의 논리에 지배된다고 하지만, 이런 훌륭한 학습만화는 공중파에서 방영되도록 국가 차원에서 지원해야 하는 게 옳지 않은가 싶네요. 10편에서 끝난 것도 안타깝지만, 방영된 10편 중에서도 똑같은 장면이 다른 편에서 재탕되는 슬픈 제작환경(가령 천재지변으로 괴로워하는 백성들의 모습을 표현한 장면이 각각 다른 편에서 여러 번 재탕되었죠)을 어린 나이에도 걱정했을 정도니까요.

 그럼에도 저에게 있어서는 가장 인상적인 고전만화 시리즈입니다. 가수 이상우 씨가 불러서 화제가 된 오프닝 음악도 정말 추억을 부르네요. 민요

[아리랑]을 모티브로 한 오프닝 음악을 배경으로 메인 캐릭터인 귀여운 초롱이와 우리나라 위인, 문화재들의 모습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영상은 이대로 많은 사람들의 추억 저편에 묻히기엔 너무나 안타깝더군요. 그래서 정말 고생고생해서 오프닝 영상을 구했습니다! 직접 감상해보시길~ 

▲ 문맥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의 괴리를 보여주는 적절한 예시

-문맥적 의미 : 전국을 직접 발로 돌아다니며 그린 대동여지도

-사회적 의미 : 발(足)로 그린 것같이 대충 그린 대동여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