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 가족 위로 - amhwanja gajog wilo

가장 약되는 말 “다른 사람처럼 나을 수 있을 거예요”

가장 독되는 말 “원래 아프고 그런 거니까 당연히 여기세요”

암환자 가족 위로 - amhwanja gajog wilo
암환자에게 가장 약이 되는 말은 ‘치료를 받으면 나을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고, 가장 독이 되는 말은 ‘원래 아프고 그런 거니까 당연하게 받아들이라’는 말인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미시간주립대 박희선 교수 연구팀과 헬스커뮤니케이션 전문 컨설팅업체 더 커뮤니케이션즈 엔자임은 유방암 환자 200여명을 대상으로 투병 기간 중 가족이나 주변인들로부터 많이 듣는 위로의 말이 환자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조사하고 최근 그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다른 사람들처럼 당신도 나을 수 있을 거예요”와 같은 암 극복 사례를 제시하며 희망을 주는 말이 7점 만점에 5.9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힘든 치료 과정을 잘 견뎌 내는 당신이 자랑스러워요”(5.7점), “**증상이 나타나면 **하세요”(5.6점), “치료가 가능하고 희망이 있으니 다행이예요”(5.5점), “치료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제가 도울께요”(5.5점), “수술 받으면 좋아질 거예요”(5.3점) 등의 말도 환자에게 큰 위로가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원래 아프고 그런 거니까 당연하게 여기세요”(2.9점)라는 표현처럼 환자의 고통을 무시하거나 “괜찮아요? 힘들어 보여요”(3.4점)와 같이 환자 취급을 하는 말은 오히려 상처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얼마나 힘들 지, 어떤 기분일 지 알 것 같아요”(5.3점)처럼 환자의 아픔에 공감하는 말은 유방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지만 실제 가족이나 주변인들로부터 많이 듣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대로 “유방암 치료가 힘들다고 하던데 어떡해요”(3.5점)와 같은 회의적인 말은 많이 듣지만 환자에게는 오히려 상처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희선 교수는 “사회적 지지를 충분히 받는 암 환자일 수록 삶의 질이 높을 뿐만 아니라 질환 극복에도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면서 “환자의 정서를 보듬는 주변인들의 지지가 적극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 커뮤니케이션즈 엔자임의 이혜규 대표는 “언어는 인류가 사용해 온 가장 좋은 약”이라면서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있는 암 환자들에게는 말 한마디가 약이 될 수도 있지만 독이 될 수도 있는 만큼 환자들이 실제로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말을 잘 살펴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자료="하이닥, ⓒ(주)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사전에 협의한 이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암 환자에게 어떤 말이 위로가 될까?

유방암 환자의 경우 ‘희망’을 주는 말이 가장 도움이 되는 반면, 환자의 고통을 가볍게 여기는 말이나 환자 취급을 하는 말은 상처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헬스커뮤니케이션 전문 컨설팅사인 더 커뮤니케이션즈 엔자임(대표 이혜규, 김동석)이 22일 전해왔다.

더 커뮤니케이션즈 엔자임은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의 박희선 교수 연구팀과 함께 유방암 환자 200 여명을 대상으로 투병 기간 중 많이 듣는 위로 메시지를 조사하고, 이에 대해 환자들이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조사했다.

암환자 가족 위로 - amhwanja gajog wilo
 
암환자 가족 위로 - amhwanja gajog wilo
 
암환자 가족 위로 - amhwanja gajog wilo
▲ 헬스커뮤니케이션 전문 컨설팅사인 더 커뮤니케이션즈 엔자임은 유방암 환자에게 '희망'을 주는 말이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암환자 가족 위로 - amhwanja gajog wilo

그 결과 '다른 사람들처럼 당신도 나을 수 있을 거예요' 와 같은 암 극복 사례를 제시하며 희망을 주는 말이 7점 만점에 6 점 정도로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힘든 치료 과정을 잘 견뎌 내는 당신이 자랑스러워요' (5.7점) 와 같은 격려의 말이나 '00 증상이 나타나면 00 하세요'(5.55점) 같이 질병과 관련된 정보를 주는 말이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반면, '원래 아프고 그런 거니까 당연하게 여기세요'(2.94점) 와 같이 환자의 고통을 무시하는 말이나 '괜찮아요? 힘들어 보여요' (3.35점) 와 같이 환자 취급을 하는 말은 오히려 상처가 된다고 응답했다.

한편 '얼마나 힘들 지, 어떤 기분일 지 알 것 같아요' (5.26점) 와 같이 환자의 아픔에 공감하는 말은 유방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지만, 실제 가족이나 주변인들로부터 많이 듣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대로 '유방암 치료가 힘들다고 하던데 어떡해요' (3.46점) 와 같은 회의적인 말은 많이 듣지만 환자에게는 오히려 상처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간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의 박희선 교수는 “사회적 지지를 충분히 받는 암 환자일 수록 삶의 질이 높을 뿐만 아니라 질환 극복에도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며 "환자의 정서를 보듬는 주변인들의 지지가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고 강조했다.

공동연구를 진행한 더 커뮤니케이션즈 엔자임의 이혜규 대표는 “언어는 인류가 사용해 온 가장 좋은 약이라고 한다"면서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있는 암 환자들에게는 말 한마디가 약이 될 수도 있지만 독이 될 수도 있는 만큼 환자들이 실제로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말을 잘 살펴 전달할 필요가 있고”고 말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22일부터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2010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와 11월에 개최되는 제96회 미국커뮤니케이션학회에서 발표된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암환자에게 건네는 말 한마디는 藥이자 毒이다

  • 암환자 가족 위로 - amhwanja gajog wilo
    기자명 청년의사
  • 입력 2010.06.25 01:12
  • 댓글 0

[청년의사 신문 김상기] 가장 위로되는 말 “다른 사람처럼 나을 거예요”가장 상처되는 말 “원래 아프면 그래요” 암 환자에게 가장 위로가 되는 말은 "치료를 받으면 나을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은 말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박희선 교수구팀과 헬스커뮤니케이션 전문 컨설팅업체 더 커뮤니케이션즈 엔자임은 최근 유방암 환자 200여명을 대상으로 투병 기간 중 가족이나 주변인들로부터 많이 듣는 위로의 말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다른 사람들처럼 당신도 나을 수 있을 거예요"와 같은 암 극복 사례를 제시하며 희망을 주는 말이 7점 만점에 5.93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힘든 치료 과정을 잘 견뎌 내는 당신이 자랑스러워요"(5.7점), "치료가 가능하고 희망이 있으니 다행이예요"(5.46점), "수술 받으면 좋아질 거예요"(5.31점) 등의 말도 환자에게 큰 위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원래 아프고 그런 거니까 당연하게 여기세요"(2.94점)라는 표현처럼 환자의 고통을 무시하거나 "괜찮아요? 힘들어 보여요"(3.35점)와 같이 환자 취급을 하는 말은 오히려 상처가 된다고 응답했다.


암환자 가족 위로 - amhwanja gajog wilo

한편 "얼마나 힘들 지, 어떤 기분일 지 알 것 같아요"(5.26점)처럼 환자의 아픔에 공감하는 말은 유방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지만 실제 가족이나 주변인들로부터 많이 듣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대로 "유방암 치료가 힘들다고 하던데 어떡해요"(3.46점)와 같은 회의적인 말은 많이 듣지만 환자에게는 오히려 상처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를 진행한 박희선 교수는 "사회적 지지를 충분히 받는 암 환자일 수록 삶의 질이 높을 뿐만 아니라 질환 극복에도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며 "환자의 정서를 보듬는 주변인들의 지지가 적극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 커뮤니케이션즈 엔자임의 이혜규 대표는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있는 암 환자들에게는 말 한마디가 약이 될 수도 있지만 독이 될 수도 있는 만큼 환자들이 실제로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말을 잘 살펴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 22일부터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2010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에서 발표됐으며, 오는 11월에 개최되는 '미국커뮤니케이션학회'에서도 발표될 예정이다.

김상기 기자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