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국가 가사 - yeong-gug gugga gasa

영국 국가 가사 - yeong-gug gugga gasa

1745년에 발행된 The Gentleman's Magazine에 수록된 버전으로, 해당 페이지에는 "God Save our Lord the King: A new song set for two voices"이란 설명이 첨부되어있다.

하느님, 국왕(여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God Save the King 또는 God Save the Queen [갓 세이브 더 킹] 또는 [갓 세이브 더 퀸][*])는 영국을 비롯한 영국 연방의 여러 나라가 쓰고 있는 국가로서, 뉴질랜드에서 쓰이는 두 국가 중 하나이며, 오스트레일리아, 자메이카, 캐나다, 투발루, 지브롤터, 맨섬 등에서도 왕실 찬가로 쓰이고 있다. 2022년 9월 8일까지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재위하고 있기 때문에 여왕(Queen)을 썼으나, 여왕이 사망하여 장남인 찰스 3세가 즉위함에 따라 왕(King)으로 제목과 가사가 바뀌었다.

1797년에 제정된 신성 로마 제국의 첫 번째 국가인 《하느님, 좋은 프란츠 황제 폐하를 보우하소서》(Gott erhalte Franz, den Kaiser)는 이 노래의 영향을 받았다.

상세[편집]

영국의 국가이지만, 잉글랜드만의 비공식 국가로 《예루살렘》(Jerusalem)과 엘가가 작곡한 《희망과 영광의 땅》(Land of Hope and Glory)이 존재하며 이 곡의 가락은 위풍당당 행진곡 제1번에 사용되었다. 이외에 영국 찬가이자 국가에 준하는 것으로 취급되기도 하는 《룰 브리타니아》(Rule Britannia)도 있다.

스코틀랜드는 공식 국가가 없지만, 통상 국가를 《스코틀랜드의 꽃》(Flower of Scotland)과 행진곡인 《용감한 스코틀랜드》(Scotland the Brave)로 통용한다.

웨일스의 공식 국가는《우리 아버지의 땅》(Hen Wlad Fy Nhadau)이다.

북아일랜드는 공식 국가가 없지만, 통상 국가를 《런던데리의 노래》(Londonderry Air)로 통용한다.

영국을 이루는 구성국인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에서는 축구 등의 스포츠 경기가 열릴 때는 각 국가들의 단독 국가를 연주한다. 다만 위 4개국이 영국으로 통용이 되지 않는 행사를 제외하고, 평상시에는 영국 국가를 부른다. 웨일스 왕자가 영국 군대를 사열하기 전에도 웨일스의 국가가 아닌 영국 국가가 연주될 정도이다.

군주를 찬양하는 노래이기에, 일반적으로 영국의 군주는 국가를 부를 때 함께 부르지 않고, 침묵한다.

영어 가사[편집]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는 현재 1~3절만 표준으로 정해져 있는데 통상 1절 단독, 혹은 1절과 3절만을 통상 부른다. 2절은 가사에서 호전적인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거의 부르지 않는다.

/ 뒤는 여성 국왕일 때 쓰이는 단어이다.

1. God save our gracious King/Queen,Long live our noble King/Queen,God save the King/Queen!Send him/her victorious,Happy and glorious,Long to reign over us;God save the King/Queen!2. O Lord our God arise,Scatter his/her enemiesAnd make them fall;Confound their politics,Frustrate their knavish tricks,On Thee our hopes we fix,God save us all!3. Thy choicest gifts in storeOn him/her be pleased to pour;Long may she/he reign;May he/she defend our laws,And ever give us causeWith heart and voice to sing†,God save the King/Queen!†여성 국왕일 때는 구(句)의 순서를 바꾸어 To sing with heart and voice이라고 부르도록 되어 있다.4. Not in this land alone,But be God's mercies known,From shore to shore!Lord make the nations see,That men should brothers be,And form one family,The wide world over.5. From every latent foe,From the assassins blow,God save the King/Queen!O'er him/her thine arm extend,For Britain's sake defend,Our mother, prince, and friend,God save the King/Queen!6. Lord grant that Marshal WadeMay by thy mighty aidVictory bring.May he sedition hush,And like a torrent rush,Rebellious Scots to crush.God save the King/Queen!

해석[편집]

1하느님, 저희의 자비로우신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고귀하신 저희의 국왕(왕) 폐하 만수무강케 하사,하느님,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국왕(왕) 폐하께 승리와복(福)과 영광을 주소서.저희 위에 길이 군림케 하소서.하느님, 폐하를 지켜 주소서.2오, 지도자이신 주님, 일어나시어국왕/여왕 폐하의 적들을 변방으로 흩으사패배하도록 하소서.그들의 정치에 혼란을,그들의 간교한 계략에 좌절을.당신께 저희의 희망을 거노니저희 모두를 보우하소서.3그대의 최상의 선물을 기뻐하사국왕(왕) 폐하께 부어주소서.국왕(왕) 폐하를 길이 군림케 하소서!국왕(왕) 폐하께서 우리 법을 수호케 하시길,항상 우리가 마음과 목소리로 찬양할 수 있도록선정을 베풀게 하소서.하느님,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4이 땅뿐만 아니라널리 하느님의 은혜가 알려지도록 하소서.해안으로부터 해안까지이 세계의 전 인류가 형제되어야 함을,한 가족이 되어야 함을,만국이 보게 하소서.하느님,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5보이지 않는 모든 적들로부터,모든 암살자의 습격으로부터우리 국왕(여왕) 폐하를 구하소서!그 팔을 국왕(왕) 폐하 위에 펼치사브리튼을 위하여 지키소셔.우리 국모와 황태자와 벗을 지키시길!하느님,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6주님, 저 원수(元帥)로 하여금당신의 가호와 함께그의 승리를 허락하소서반역을 퇴치하여,그분이 성난 노도처럼,모반하는 스코틀랜드인들을 부수기를!하느님,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해석 주

(1절-6절)그대(Thou, on thee)는 기독교의 하느님을 가리킨다.(3절) 의역으로 두 줄연결 해석: And ever give us cause/ To sing with heart and voice(직역-그리고 언제나 우리가 여왕 폐하를 찬양할 수 있는 이유를 제공해 주소서)(1절-6절) God save the Queen은 포괄적인 뜻을 가진다,(예-여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여왕 폐하를 보호하소서[5절 참고])문맥상의 이유로 '여왕 폐하 만세'로 번역)(6절) 여기의 Scot은 영어에서 스코틀랜드인을 가리키는 단수 명사로서, 구체적으로는 스코틀랜드의 재커바이트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1745년 당시 재커바이트는 스코틀랜드에 많았기 때문에 이 절이 지어졌다. 그러나 곧 유행에서 멀어져 더 이상 불리지 않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국가로 채택된 적이 없다.

캐나다[편집]

캐나다에서는 영어 1절이 프랑스어로 번역되어 있다.[1]

Dieu protège la reineDe sa main souveraine!Vive la reine!Qu'un règne glorieuxLong et victorieux,Rende son peuple heureux.Vive la reine!

그리고 캐나다 전용 가사가 추가로 있다.[2]

Our loved Dominion blessWith peace and happinessFrom shore to shore;And let our Empire beLoyal, united, free,True to himself and TheeFor evermore.

사용[편집]

  • 웨일스는 공식 국가로 ‘우리 아버지의 땅’이 있다.
  • 잉글랜드는 일반적으로 God Save the Queen을 사용한다. 그러나 잉글랜드만을 상징하고자 할 때는 ‘예루살렘’이나 ‘희망과 영광의 땅(Land of Hope and Glory)’ 등을 사용한다.
  • 영국의 또 다른 비공식 국가, ‘룰 브리타니아는 토마스 아니(Thomas Arne)의 오페라, "알프레드 대왕"으로부터 나왔다.
  • 북아일랜드는 영국 전통 행사에서는 God Save the Queen을, 아일랜드 전통 행사에서는 ‘전사의 노래(Amhrán na bhFiann)’를 사용한다. 또 ‘런던데리의 노래(Londonderry Air)’도 사용된다.
  • 스코틀랜드에서는 ‘스코틀랜드의 꽃(Flower of Scotland)’이나 ‘Scotland the Brave’, 또는 전통적으로 ‘Scots Wha Hae’를 사용한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지정된 국가는 God Save the Queen 뿐이다.
  • 과거 독일 제국에서 사용된 국가는 영국의 국가(God save the Queen)과 같은 곡조를 지녔다. (1871년~1918년까지 불림.)
  • 리히텐슈타인의 국가 《젊은 라인 강 위에》는 영국의 국가와 같은 곡조를 사용한다.
  • 국제 축구 경기에서는 잉글랜드와 북아일랜드는 God Save the Queen을, 스코틀랜드는 Flower of Scotland를, 웨일스는 Hen Wlad Fy Nhadau를 쓴다.
  • 국제 테스트 크리켓 경기에서 잉글랜드는 2004년부터 Jerusalem을 국가로 사용한다.
  • 국제 럭비 리그 대회에서 잉글랜드는 Land of Hope and Glory를 써왔으나 2005년부터 God Save the Queen으로 변경하였다. 스코틀랜드는 Flower of Scotland를, 웨일스는 Hen Wlad Fy Nhadau를 쓴다. 그레이트브리튼 매치에서는 God Save the Queen이 연주된다.
  • 국제 럭비 유니언 대회에서 잉글랜드는 God Save the Queen을, 스코틀랜드는 Flower of Scotland를 사용한다. 아일랜드(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공화국을 모두 대표하는 팀)는 홈과 어웨이 경기에서 Ireland’s Call을 사용하되, 아일랜드 공화국 내의 경기장에서 경기가 열릴 때에는 아일랜드 공화국 국가Amhrán na bhFiann을 이 곡과 함께 연주한다.
  • 근래에 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 럭비 유니언 투어에서는 라이언스 팀의 국가로 ‘The Power of Four’를 사용하나 대부분의 선수들이 이 곡을 모른다.
  • The Song of the Western Men’(또한 ‘Trelawny’로 알려져 있음)은 일반적으로 콘월의 주가(州歌)로 여겨진다. 그러나 몇몇 콘월 민족주의자들은 콘월어로 된 ‘Bro Goth Agan Tasow’를 채택할 것을 주장한다.
  • 베토벤은 이 곡을 주제로 한 변주곡(피아노 곡)을 작곡하고 있다. 또한 교향곡 "웰링턴의 승전"에서도 인용하고있다.

각주[편집]

  1. “Hymne royal « Dieu protège la Reine » - Hymnes et symboles - Sujets”. 2011년 6월 15일. 2011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1일에 확인함.
  2. Bélanger, Claude. “Quebec History”. 2021년 3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영어) 영국 국가에 대한 영국 왕실 홈페이지의 설명
  • (영어) :God Save Great George our King: - 가사의 다른 버전에 대한 토론에 대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