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잠금화면 cmd - windou10 jamgeumhwamyeon cmd

컴퓨터를 사용함에 있어서 중요한 2가지를 꼽으라면 성능과 보안일 것입니다. 사실 이 2가지가 컴퓨터를 판단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죠. 그래서 윈도우10에는 자체적인 보안 시스템이 몇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 한 가지가 바로 잠금화면 기능입니다. 컴퓨터를 내가 아닌 타인이 훔쳐보면서 자신의 개인 사생활을 들여다보는 것은 상당히 기분 나쁜 일일 것입니다. 그래서 화면을 잠그고 비밀번호를 걸어놓는 것이죠. 보안 때문에 잠금화면을 설정하긴 했지만 

 

사용하다 보면 불편할 때도 있고 매번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게 귀찮아질 때도 있습니다. 아니면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잠금화면이 걸림돌이 되는 경우도 있겠죠.. 그래서 오늘은 잠금화면 비밀번호를 해제하는 3가지 방법을 가지고 포스팅을 진행해 나가려고 합니다. 몰라서 어려운 거지 막상 알면 그리 어렵지가 않습니다. 그럼 저와 함께 비밀번호를 해제해보도록 할까요!?

 

포스팅 목차

1. 계정에 대한 이해
2. 로그인 옵션을 활용한 방법
3. netplwiz를 활용한 방법
4. gpedit.msc(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활용한 방법

 

윈도우10 잠금화면 cmd - windou10 jamgeumhwamyeon cmd

1. 계정에 대한 이해

 

윈도우를 사용하려면 사용자 계정이 꼭 필요합니다. 여기서 계정의 종류는 로컬 계정과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나뉩니다. 그럼 각각 어떤 기능이 있는지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죠.

 

1. 로컬 계정(Local Account) (필수)

 

로컬 계정은 윈도우 OS가 설치된 각각의 컴퓨터에 부여된 기본적인 계정입니다. 계정은 최소 1개 이상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환경에 맞춰서 추가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로컬 계정은 임의로 삭제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 microsoft 계정 (선택사항)

 

흔히 MS, 마소 계정이라고 불리는 이 계정은 MS에서 제공하는 X box, 원노트, 아웃룩, 원 드라이브, MS 스토어 등등 MS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이용하기 위한 인증용 ID입니다. MS 계정으로 화면을 잠그고 싶다면 로컬 계정을 먼저 사용하셔야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2. 로그인 옵션을 활용한 방법

 

오늘 포스팅에서 3가지의 방법을 소개해 드리는 이유는 컴퓨터마다 되는 방법이 있고 안 되는 방법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3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먼저 로그인 옵션을 활용하여 비밀번호를 해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Windows+i 키를 눌러서 설정창을 띄운 다음 계정 탭을 클릭합니다.

아무래도 내 마음을 힐링해 주는 고퀄리티 사진이 많이 나오다 보니 가끔 한번쯤 이런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있으실 텐데 오늘은 이런 고민을 가진 분들을 위해 윈도우10 잠금화면 저장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탐색기를 열고 상단의 주소 창에 아래의 경로를 복사 및 붙여넣기한 다음 Enter 키를 눌러 윈도우10 잠금화면이 있는 파일까지 이동하면 된답니다 어때요 간단하죠?

위 링크로 이동하게 되면 정체를 알 수 없는 파일들이 보일 텐데 이 파일들이 윈도우10 잠금화면에 나오는 이미지 파일들입니다.

현재 파일 확장자 가 저희가 알고 있는 이미지 파일 확장자가 아니다 보니 그림으로 보이지 않고 있는데 이걸 .jpg의 그림 파일 확장자로 바꿔주는 작업을 한 번 더 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안전한 작업을 위해 현재 창에 보이는 파일들을 모두 복사한 다음 다른 폴더 안에 집어넣습니다. 

그런 다음 원래대로라면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 창을 이용해 파일 확장자를 .jpg로 변경을 해야 하지만 여러분의 소중한 시간을 위해 제가 보다 빠른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cmd /c "ren *.* *.jpg"

잠금화면 파일을 복사한 폴더 주소창에 cmd /c "ren *.* *.jpg"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파일 확장자가 .jpg로 변경되며 사람이 볼 수 있는 이미지 파일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이제 여기서 내가 원하는 잠금화면을 저장하면 됩니다.

어때요 간단하죠?

짜잔! 어때요 이런 방식을 이용하면 내가 원하는 윈도우10 잠금화면을 손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답니다.

이 꿀팁을 이용해 지금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이나 데스크톱의 잠금 화면을 한번 재미 삼아 다운로드해보는 건 어떨까요?

다만 각 이미지에 이미지 저작권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업적이 아닌 개인 소장용으로만 사용하시는 걸 추천드리며 파일 확장자 변환 작업은 꼭 복사본을 만든 다음 작업을 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윈도우10 잠금화면 cmd - windou10 jamgeumhwamyeon cmd

rundll32 user32.dll, LockWorkStation 명령어를 이용하여 단축아이콘을 만들어 필요할때마다 윈도우를 잠글 수 있습니다.

 

 

 

 

 

 

 

 

 

 

 

 

 

 

 

 

 

 

 


1. 바탕화면에서 우측마우스를 클릭하여 새로만들기 → 바로가기 선택

 

rundll32 user32.dll, LockWorkStation

출처: http://reslee.tistory.com/64 [ResLee 8L09]

 

rundll32 user32.dll, LockWorkStation

출처: http://reslee.tistory.com/64 [ResLee 8L09]

rundll32 user32.dll, LockWorkStation

출처: http://reslee.tistory.com/64 [ResLee 8L09]

rundll32 user32.dll, LockWorkStation

출처: http://reslee.tistory.com/64 [ResLee 8L09]

rundll32 user32.dll, LockWorkStation

출처: http://reslee.tistory.com/64 [ResLee 8L09]

rundll32 user32.dll, LockWorkStation

출처: http://reslee.tistory.com/64 [ResLee 8L09]

rundll32 user32.dll, LockWorkStation

출처: http://reslee.tistory.com/64 [ResLee 8L09]

rundll32 user32.dll, LockWorkStation

출처: http://reslee.tistory.com/64 [ResLee 8L09]

rundll32 user32.dll, LockWorkStation

출처: http://reslee.tistory.com/64 [ResLee 8L09]

rundll32 user32.dll, LockWorkStation

출처: http://reslee.tistory.com/64 [ResLee 8L09]

rundll32 user32.dll, LockWorkStation

출처: http://reslee.tistory.com/64 [ResLee 8L09]

윈도우10 잠금화면 cmd - windou10 jamgeumhwamyeon cmd

 

 

 

 

 

 

 

 

 

 

 

 

 

 

 

 

 

 

 

 

 

 

 

 

2. rundll32 user32.dll, LockWorkStation  입력 후 '다음' 클릭

 

윈도우10 잠금화면 cmd - windou10 jamgeumhwamyeon cmd

 

 

 

 

 

 

 

 

 

 

 

 

 

 

 

 

 

 

 

 

 

 

 

 

3. 바로가기에 사용할 임의의 이름을 입력 후 '마침' 클릭

 

 

윈도우10 잠금화면 cmd - windou10 jamgeumhwamyeon cmd

 

 

 

 

 

 

 

 

 

 

 

 

 

 

 

 

 

 

 

 

 

 

 

4. 단축아이콘 완성

 

윈도우10 잠금화면 cmd - windou10 jamgeumhwamyeon cmd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타시의 IT 블로그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Comp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Xcopy 명령어( CMD )를 이용해서 간편하게 데이터 백업하기  (0)2017.05.16윈도우 컴퓨터 예약종료 프로그램 없이 간단히 해보자 (shutdown 명령어)  (0)2016.01.20"호스트된 네트워크를 시작할 수 없습니다" 오류 해결 방법  (7)2015.12.26윈도우10 전원 안꺼짐 & 종료 오류 해결 방법 (Windows10)  (19)2015.12.17Internet Explorer 검색공급자 구글 한국어로 변경하는 방법  (0)2015.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