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c드라이브에는 윈도우 10을 설치해서 기본적으로 사용했고, d드라이브에는 리눅스의 하나인 우분투 데스크탑 버전을 설치했습니다. 별도의 멀티부트 설정을 할 필요없이 후에 설치한 우분투에서 grub으로 설정해서 윈도우로 부팅할것인지 우분투로 설치할것인지 구분해 주더군요.

그런데 멀티부트를 할 경우 결국 윈도우만 사용하게 된다고 하는 글들을 본거같아서 윈도우10으로 부팅을 한 다음 virtual box로 리눅스 우분투를 설치한 다음 푸티로 가지고 노는게 좋을것이라는 의견이 많더군요.

제 피씨 사양이 그렇게 좋지는 않지만 그정도는 충분히 가능할거같아서 과감히 d드라이브에 있는 우분투를 삭제했습니다. 그리고 한참 프로그래밍하고 놀다가 컴퓨터를 껏습니다. 그리고는 다시 부팅을 하는데...

해당 스크린샷은 인터넷에서 퍼온 것입니다. 위와 동일한 에러가 났습니다.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안타깝게도 제 폰으로 찍지를 못했네요.

여튼 막막한 상황이었습니다. ls 명령어는 먹히는거같은데, 아이폰으로 다급히 구글링해봤습니다.


1.첫번째 삽질. grub에서 윈도우로 접속해 보자.


구글링해본 정보론 ls로 윈도우가 설치된 hd를 찾으라고 합니다.

그리서 만약 (hd0,msdos1)에 윈도우가 설치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면

GRUB > rootnoverify (hd0,msdos1)

GRUB > chainloader  +1

GRUB > boot


이렇게 윈도우로 접속한 다음에, 윈도우에서 bootsect.exe 라는 파일을 받고 어쩌고 복구하라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그러나...

제 경우는 무슨이유인지 몰라도 rootnoverify가 unkown 이라고 뜨기에  애초에 실행이 불가능했습니다.

스택오버플로우에도 rootnoverify 라고 설명이 되어있었지만... 제 컴퓨터에서는 아에 실행이 안됩니다.

그냥 윈도우 10 usb 설치 씨디로 c와 d 다 포멧하고 c에 새로 설치하면 해결될법한 문제였습니다만 안타깝게도 윈도우10usb가 안보입니다.

우분투 부팅 usb로 d드라이브에 다시 우분투를 설치했습니다.

다행히도 d드라이브로 우분투로만은 잘 부팅되었습니다.


2. 우분투에서 윈도우의 grub을 복구해보자.


저 뿐만 아니라 멀티부팅으로 윈도우 우분투를 사용하다가 우분투만 삭제하게 될경우, 부팅이 되지 않는 문제를 가진 사람들이 제법 있었습니다.

그분들의 경험을 토대로 해결책을 마련하려 했습니다.


우선 우분투에서 


sudo add-apt-repository ppa:yannubuntu/boot-repair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boot-repair


로 boot-repair를 설치해봅니다. 그러면 망가진 grub을 제대로 잡아줄수도 있다고 하더군요.


sudo boot-repair로 실행합니다.


그러면 친절하게 한글말로 설명도 나오고 쭉쭉쭉 진행했습니다.

예 예 누르고 진행하다가 완료후 부팅해봅니다.

그럼 grub 표시가 뜨는걸 확인할수 있습니다. 단 예제 작성하신분들은 윈도우와 우분투가 같이 떳었는데 우분투 하나만 있더군요. 사실 복구한 의미가 없어집니다.


grub 창에 내용들도 vi 편집기로 들어가서 수정하면 뭔가 될거같기는했습니다만 머리가 아파오더군요.


그냥 외장하드에 있는 윈도우10 iso파일을 usb로 부팅디스크를 만들어서 다 밀고 새로 깔아보자 라는 생각이들더군요.


3. 우분투에서 윈도우10 부팅 디스크를 만들어보자.

사실 저에게 윈도우 10 부팅 디스크만 있었다면 아무 문제가 안되는 일이었습니다.

아님 세컨드로 회사에 짱박아둔 노트북만 있었어도 쉽게 처리할수 있는 일이었을겁니다.


리눅스는 학부생시절에 임베디드 수업시간에 커널 수업시간때 잠깐 써본게 다고, 컨테이너 내리고 올리는 정도, 에러 로그 읽는정도 밖에 안썻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리눅스에서 윈도우10 부팅 디스크를 만드는것도 쉽지는 않더군요.


일단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두개 정도 추려냈습니다.


winusb라는 프로그램과 unetbootin라는 프로그램이 있더군요.


다른 사람들은 잘만 쓰는거 같던데 제 피씨에서는 죽어도 winusb는 설치가 안됩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이런걸 다 했지만


sudo apt-get install winusb

제 노트북에서는 winusb 절대 설치가 안됩니다.


그래서 하는수없이


sudo apt-get install unetbootin

명령어로 unetbootin을 설치해봅니다.


여기서 제가 삽질하게 된것이 unetbootin의 경우 usb가 fat32인 경우만 인식합니다.

이게 왜문제인가 하니, 윈도우10은 4기가가 넘어가는데 이럴경우 제대로 설치가 안됩니다.

부팅 디스크를 만든줄 알았지만 몇차례 시도해도 전혀 윈도우10을 읽지를 못합니다.


ntfs로 usb를 포멧한 경우에만 설치가 됩니다.


그래서 구글링해본결과 unetbootin-linux-506 버전을 설치하면 Show All Drives 옵션이 있어서 가능하다는 이야기였습니다.


링크


하지만... 이미 설치되 있어서 그런지 


sudo ./unetbootin-linux-506


이렇게 해봐도 아무반응이 없더군요.

그래서 꼼수를 부려봤는데, 

1. 처음에 usb를 fat로 포멧합니다. 

2. 그러면 unetbootin을 실행시키면 드라이브를 잡습니다.

3. 이때 다시 usb를 ntfs로 포멧합니다. 그리고 설치 디스크를 만듭니다.

그러니깐 성공하네요.

말로는 엄청 짧은거같은데 주말 내내 고생해서 마무리했습니다.


요약하자면

1.c드라이브에 윈도우10 설치. d드라이브에 우분투 설치. 멀티부팅으로 운영

2.윈도우10으로 부팅후 d드라이브 포멧.

3.종료후 다시 부팅하면 윈도우로도 부팅이 안되는 문제 발생

4.우분투를 d드라이브에 새로 깔면 우분투로만 접속 가능

5.우분투에서 윈도우 10 부팅 usb를 만들어서 부팅한다음 c, d드라이브 싹 다 포멧하고 c에 윈도우 설치.


윈도우가 없는 상태라서 스크린샷은 별로 남기지를 못했네요.

만약 윈도우와 리눅스를 같이 쓰시는 분이라면 윈도우로 부팅해서 컴퓨터 관리자에서 리눅스가 설치된 하드를 삭제할경우, 종료하시기전에 grub 멀티부팅 설정도 반드시 제거해 주셔야 좋으실겁니다.

▲ Master Boot Record 대화창이 뜹니다. Current MBR Type에 GRUB 어쩌고 뜨면 제대로 찾아온 거예요. Windows NT 5.x / 6.x MBR을 선택하고 Install/Config 버튼을 누릅니다.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대화창이 뜰 겁니다. Windows XP라면 "Windows NT 5.x MBR"을, Windows 7, 8.1, 10이라면 "Windows NT 6.x MBR"을 선택해줍니다. 그리고 계속 진행~ (저는 윈도우10이라 Windows NT 6.x MBR을 골랐습니다.)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조금 기다리면 완료창이 뜹니다.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Current MBR Type을 보면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ose 버튼을 눌러 빠져나오고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컴퓨터를 재부팅해보세요. GRUB이 안뜨고 바로 윈도우로 진입한다면 성공입니다.



1-2. UEFI 바이오스+듀얼부팅에서 GRUB을 제거하기


BOOTICE로 EFI용 GRUB이 제거된다면 제일 간편합니다. http://www.ipauly.com/2015/11/15/bootice/ 에서 BOOTICE를 받습니다. 최신버전이 있다면 최신버전으로 받으세요. 링크 깨졌으면 1-1로 올라가서 받으세요. 그리고 실행.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우선 UEFI용 GRUB이 깔렸는지부터 확인해보죠. Destination Disk에서 C드라이브가 잡히는 디스크를 선택 후 Process MBR 버튼을 눌러봅니다.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레거시 바이오스 때와는 달리 Unknown MBR처럼 명확하지 않게 나온다면 EFI용 GRUB이라고 판단하면 됩니다.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그럼 UEFI 탭에서 Edit boot entries 버튼을 눌러 들어가세요.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GRUB 비스무리한 항목이 뜨죠? 마우스로 클릭해보면 우측 Media file 항목에 \EFI\ubuntu\블라블라~~ 하고 적혀있을 겁니다. Del 버튼을 눌러 항목을 삭제하고 빠져나옵니다.


컴퓨터를 재부팅해보세요. GRUB이 안뜨고 바로 윈도우로 진입한다면 성공입니다.(찌꺼기는 조금 남습니다만...)


만약 GRUB이 계속해서 뜬다면 아래처럼 처리하셔서 그럴 수 있는데,

Acer ES1-131 리눅스(우분투) UEFI 듀얼부팅 바이오스 설정법

그렇다면 위 포스팅 마지막 부분을 참고해서 생성했던 부팅 옵션을 삭제하고,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EFI용 GRUB 찌꺼기를 제거해봅시다. BOOTICE로 UEFI GRUB을 제거하신 분도 찌꺼기 제거 작업을 따라하면 좋습니다.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우선 명령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다음(Win키+X 누르면 나옵니다) bcdedit /enum all 이라고 입력합니다.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그럼 뭐가 복잡하게 좌라락~ 나올텐데 path에 \EFI\ubuntu\ 라고 적혀있는 부분을 모조리 찾습니다. 윈10에서는 Ctrl+F로 찾으면 쉽습니다. 저는 여러번 재설치했더니 3개가 나왔네요. identifier 라는 항목에 대괄호로 묶여있는 값(UUID라고 합니다)을 대괄호 포함해서 전부 메모장 같은 곳에 복사해두세요. 윈10에선 Ctrl+X, Ctrl+V가 먹히니까 쉽게 되죠.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그리고 위 스샷처럼 bcdedit /delete {UUID} 형식으로 입력해서 우분투 UUID들을 전부 삭제합니다. 잘 지워졌는지 확인하려면 명령프롬프트(관리자) 창을 새로 띄워서 bcdedit /enum all 쳐보세요.


이제 \EFI\ubuntu\ 경로의 내용을 지우는 작업을 할 겁니다.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명령프롬프트(관리자)에서 diskpart 라고 치고 list vol 넣어보세요.

FAT3 / 100MB / 시스템 이라고 표시되는 볼륨 넘버를 확인하고 sel vol X 형식으로 입력하세요(저는 5네요.).

저는 Ltr에 C드라이브/D드라이브/E/Z드라이브가 할당된 게 보이는데, vol X에 할당되지 않은 드라이브명을 임의로 할당하기 위해 assign letter = Y: 정도로 입력했습니다.

그리고 exit 를 쳐서 diskpart를 빠져나옵니다.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이제 이런 식으로 명령어를 넣어봅시다.

Y드라이브로 이동해서 / 디렉토리 리스트를 확인하고 / 확인된 EFI 디렉토리로 진입 / 다시 디렉토리 리스트를 확인 / 조회된 ubuntu 디렉토리를 내용까지 전부 삭제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삭제됐는지 확인하려면 다시 dir 쳐보면 되겠죠. 잘 됐네요.


이제 Y드라이브 할당했던 것을 풀어주는 작업을 할 겁니다.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드라이브명 할당 과정과 유사합니다. 생성하는 명령어 대신 제거하는 명령어가 들어간 것만 다를 뿐.


GRUB 제거 작업은 이것으로 끝입니다.



2. 우분투 리눅스 파티션 제거


이제 우분투 데이터가 들어갔던 파티션을 제거하면 됩니다. 파티션 제어 툴은 어떤 것을 써도 상관없으나, 이 글에서는 윈도우 내장 디스크 관리자를 활용할 겁니다. 우분투 설치 포스팅을 쭉 따라오셨다면 한 번 접했으니까 익숙하실 것 같네요.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Win키+R을 누르고 diskmgmt.msc 를 입력 후 확인버튼을 누릅니다(아니면 엔터).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볼륨 란에 드라이브명이 할당되지 않은 파티션들이 보일 겁니다. 스왑 파티션/우분투 파티션으로 나눴던 용량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해당 파티션을 마우스 우클릭 → 볼륨 삭제를 선택합니다.


우분투 삭제 후 윈도우10 설치 - ubuntu sagje hu windou10 seolchi

▲ 삭제한 파티션들이 합쳐지면서 “사용 가능한 공간”으로 바뀌었네요? “할당되지 않음”으로 떠야 할 듯한데. 어쨌든 저는 C드라이브를 확장해서 24.41GB영역을 전부 쓰도록 만들 거라, 사용 가능한 공간 영역에서 다시 마우스 우클릭 → 파티션 삭제를 선택했습니다.(만약 D드라이브/E드라이브 등의 별도 파티션으로 나누고 싶다면 “새 단순 볼륨”을 선택해서 진행하면 될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