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 사자 성어 - wilo saja seong-eo

고양이 ‘묘’, 쥐 ‘서’, 함께 또는 함께할 ‘동’, 있을 또는 곳 ‘처’라는 네 자로 조어되어 있다. 풀이하면 ‘고양이와 쥐가 자리(處)를 함께 한다(同)’, 또는 ‘고양이와 쥐가 함께(同) 있다(處)’는 뜻이 된다.

당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중국의 『구당서(舊唐書)』(후진(後晉) 때 지음)와 『신당서(新唐書)』(북송 때 지음. 구당서를 수정)에 ‘고양이와 쥐가 같은 젖을 빤다’는 묘서동유(猫鼠同乳)라는 말과 함께 나온다.

보통 쥐는 굴을 파고 들어와 곡식을 훔쳐 먹는 놈이고 고양이는 쥐를 잡는 놈이다. 이렇게 사이가 원수이어도 위아래 벼슬아치들이 부정 결탁하여 나쁜 짓을 함께 저지르는 것을 지적한 것이다.

묘서동처는 <교수신문> ‘올해의 사자성어’ 추천위원단 중 최재목 영남대 교수(철학과)가 추천한 사자성어다.

최 교수는 “각처에서, 또는 여야 간에 입법, 사법, 행정의 잣대를 의심하며 불공정하다는 시비가 끊이질 않았다”라며, “국정을 엄정하게 책임지거나 공정하게 법을 집행하고 시행하는 데 감시할 사람들이 이권을 노리는 사람들과 한통속이 돼 이권에 개입하거나 연루된 상황을 수시로 봤다”라고 추천 이유를 밝혔다.

묘서동처를 지지한 교수들의 선정 이유는 다양했으나, 여야 가릴 것 없이 “권력자들이 한패가 되어 부정을 저지르고 있다(60대·사회)”와 같은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 70대 인문학 교수는 다산 정약용의 우화시 「이노행(狸奴行)」을 인용하며 “단속하는 자와 단속받는 자가 야합하면 못 할 짓이 없다”라고 지적했다.

내년 대선을 걱정하는 의미로 묘서동처를 선택한 교수들도 있었다. 이들은 “누가 덜 썩었는가 경쟁하듯, 리더로 나서는 이들의 도덕성에 의구심이 가득하다”라거나 “상대적으로 덜 나쁜 후보를 선택해 국운을 맡겨야 하는 상황”이라고 평했다.

한편 올해의 사자성어 2위에는 인곤마핍(人困馬乏), 3위 이전투구(泥田鬪狗), 4위 각주구검(刻舟求劍), 5위 백척간두(百尺竿頭), 6위 유자입정(孺子入井)이 뒤를 이었다.

인곤마핍을 추천한 서혁 이화여대 교수(국어교육과)는 코로나19 팬데믹을 유비의 피난길에 비유하며, 올해를 “코로나19를 피해 다니느라 온 국민도 나라도 피곤한 한 해”로 정의했다.

인곤마핍을 뽑은 교수들은 “코로나로 힘든 시국에 정치판도 비상식적인 모습을 보인다(40대·인문)”, “덕과 인을 상실한 지도자들의 말과 행동을 본 많은 국민이 깊은 피로감과 실망감을 느끼며 살아간다(60대·인문)” 등 지친 국민을 위로하지 못하는 정치권을 비판했다.

3위를 차지한 ‘진흙탕에서 싸우는 개’라는 뜻의 이전투구(泥田鬪狗)는 자기의 이익을 위해 비열하게 다툰다는 말이다.

정태연 중앙대 교수(심리학과)는 “국민은 코로나19, 높은 물가와 집값으로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정치인들은 권력에 눈이 멀어 저속한 욕설로 서로 비방하면서 싸우고 있다”라며, “그 비열한 모습이 우리 국민 눈에는 한심하고 혐오스럽게 보이지 않을 수 없다”라고 현 사회를 비판했다.

4위 각주구검(刻舟求劍)은 ‘칼을 강물에 떨어뜨리자 뱃전에 그 자리를 표시했다가 나중에 그 칼을 찾으려 한다’로, 판단력이 둔해 융통성이 없고 세상일에 어둡고 어리석다는 뜻이다.

김윤철 경희대 교수(후마니타스칼리지)는 “부동산, 청년 문제 등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한 현실 정치권을 빗대어 표현”하기 위해 이 사자성어를 추천했다고 말했다.

백척간두(百尺竿頭)와 유자입정(孺子入井)은 내년에는 밝은 사회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추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백척간두는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올라섰다’라는 뜻으로, 몹시 어렵고 위태로운 지경이라는 말이다.

송혁기 고려대 교수(한문학과)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지혜를 모아 산적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에도 숨 가쁜 현실인데, 대선을 둘러싼 정치판을 보면 아무런 희망도 찾을 수 없다”라며, “하지만, 백척간두에서 한 걸음 더 내디뎌야 진정한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불교의 깨달음에서 비롯되었듯, 우리가 다시 내딛는 한 발에 21세기 대한민국의 명운이 걸려있다”라고 추천 이유를 밝혔다.

‘아이가 우물에 빠지려 한다’라는 뜻의 유자입정을 추천한 전호근 경희대 교수(후마니타스칼리지)도 “물에 빠진 아이를 구하는 절박한 심정으로 (정치권이) 모든 노력을 기울여 서민들의 삶을 보살피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한 50대 공학 교수는 “유자입정은 맹자의 성선설에 기인한다.

아이가 우물에 빠지려 할 때, 모든 사람이 자신의 이해타산을 따지지 않고 아이를 걱정하는 마음이 우선한다는 순수한 마음을 표현한 것”이라며, “작금의 코로나19로 힘들어하는 모든 사람을 위하는 마음이 순수하게 나의 이익보다 남을 먼저 생각했으면 하는 마음”이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목차

읽기에 앞서

一字千金(일자천금, y? zi qian jin)

1장 교훈
亡羊補牢(망양보뢰, wang yang bu lao)
三人成虎(삼인성호, san ren cheng hu)
塞翁失馬(새옹실마, sai weng shi ma)
宴安?毒(연안짐독, yan an zhen du)
迎刃而解(영인이해, y?ng ren er jie)
以貌取人(이모취인, yi mao qu ren)
一飯千金(일반천금, y? fan qian jin)
自知之明(자지지명, zi zhi zhi m?ng)
滄海桑田(창해상전, cang hai sang t?an)
天道是非(천도시비, tian dao shi fei)
胸有成竹(흉유성죽, xiong you cheng zhu)

2장 재능
刮目相待(괄목상대, gua mu xiang dai)
鷄鳴狗盜(계명구도, ji m?ng gou dao)
洛陽紙貴(낙양지귀, luo yang zhi gui)
老馬識途(노마식도, lao ma shi tu)
累卵之危(누란지위, lei luan zhi wei)
大器晩成(대기만성, da qi wan cheng)
??逼人(돌돌핍인, duo duo bi ren)
先聲奪人(선성탈인, xian sheng duo ren)
一鳴驚人(일명경인, yi ming jing ren)
一箭雙雕(일전쌍조, y? jian shuang diao)

3장 재치
名落孫山(명락손산, m?ng luo sun shan)
比肩接踵(비견접종, bi jian jie zhong)
1. 小時了了(소시료료, xiao sh? liao liao)
千金市骨(천금시골, qian jin shi gu)

4장 노력
孤注一擲(고주일척, gu zhu yi zh?)
騎虎之勢(기호지세, q? hu zhi shi)
毛遂自薦(모수자천, mao sui zi jian)
不入虎穴 焉得虎子(불입호혈 언득호자, bu ru hu xue yan de hu zi)
臥薪嘗膽(와신상담, wo xin chang dan)
愚公移山(우공이산, yu gong y? shan)
一鼓作氣(일고작기, yi gu zuo qi)
鐵杵磨針(철저마침, tie chu mo zhen)
破釜沈舟(파부침주, po fu chen zhou)
虎口餘生(호구여생, hu kou yu sheng)

5장 교제
管鮑之交(관포지교, guan bao zhi jiao)
橘化爲枳(귤화위지, ju hua wei zhi)
刎頸之交(문경지교, wen jing zhi jiao)
市道之交(시도지교, shi dao zhi jiao)

6장 처세
鷄口牛後(계구우후, ji kou n?u hou)
狡?三窟(교토삼굴, jiao tu san ku)
木人石心(목인석심, mu ren sh? xin)
脣亡齒寒(순망치한, chun wang chi han)
人心如面(인심여면, ren xin ru mian)
從善如流(종선여류, cong shan ru liu)
指鹿爲馬(지록위마, zhi lu wei ma)
?若木鷄(태약목계, dai ruo mu ji)
兎死狗烹(토사구팽, tu si gou peng)
退避三舍(퇴피삼사, tui bi san she)

7장 관가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ke zheng meng yu hu)
車水馬龍(거수마룡, ju shui ma long)
門可羅雀(문가라작, men ke luo que)
尾大不掉(미대불도, wei da bu diao)
死灰復燃(사회복연, si hui fu ran)
上行下效(상행하효, shang x?ng xia xiao)
尸位素餐(시위소찬, shi wei su can)
五日京兆(오일경조, wu ri jing zhao)
外擧不避讐(외거불피수, wai ju bu bi chou)
二桃殺三士(이도살삼사, er tao sha san shi)
一木難支(일목난지, y? mu nan zhi)
一敗塗地(일패도지, y? bai tu di)
七縱七擒(칠종칠금, qi zong qi q?n)
後來居上(후래거상, hou lai ju shang)

8장 즐거움
樂此不疲(낙차불피, le ci bu p?)
??來遲(산산래지, shan shan lai ch?)
野人獻曝(야인헌폭, ye ren xian pu)
破鏡重圓(파경중원, po jing chong yuan)

9장 겁쟁이
驚弓之鳥(경궁지조, jing gong zhi niao)
杞人憂天(기인우천, qi ren you tian)
杯弓蛇影(배궁사영, bei gong she ying)

10장 나쁜 자
巧取豪奪(교취호탈, qiao qu hao duo)
君子豹變(군자표변, jun zi bao bian)
每多??(매다체주, mei duo che zhou)
上下其手(상하기수, shang xia q? shou)
一丘之?(일구지학, yi qiu zhi he)

11장 어리석음
刻舟求劍(각주구검, ke zhou q?u jian)
口尙乳臭(구상유취, kou shang ru chou)
盲人摸象(맹인모상, mang ren mo xiang)
三令五申(삼령오신, san ling wu shen)
守株待兎(수주대토, shou zhu dai tu)
按圖索驥(안도색기, an tu suo ji)
?苗助長(알묘조장, ya m?ao zhu zhang)
掩耳盜鈴(엄이도령, yan er dao l?ng)
與狐謀皮(여호모피, yu hu mou p?)
五十步笑百步(오십보소백보, wu sh? bu xiao bai bu)
一葉障目(일엽장목, y? ye zhang mu)
作法自斃(작법자폐, zuo fa zi bi)
千金一笑(천금일소, qian jin yi xiao)
鷸蚌相爭(휼방상쟁, yu bang xiang zheng)

12장 탐욕
曲學阿世(곡학아세, qu xue e shi)
螳螂捕蟬(당랑포선, tang lang pu chan)
東施效?(동시효빈, dong shi xiao p?n)
東食西宿(동식서숙, dong sh? xi su)
玩物喪志(완물상지, wan wu sang zhi)
疑心生暗鬼(의심생암귀, y? xin sheng an gui)
亢龍有悔(항룡유회, kang long you hui)
畵蛇添足(화사첨족, hua she tian zu)

13장 허세
濫?充數(남우충수, lan yu chong shu)
妄自尊大(망자존대, wang zi zun da)
葉公好龍(섭공호룡, she gong hao long)
外强中乾(외강중건, wai qiang zhong gan)
自相矛盾(자상모순, zi xiang mao dun)
趾高氣揚(지고기양, zhi gao qi yang)
暴虎馮河(포호빙하, bao hu p?ng he)
匹夫之勇(필부지용, p? fu zhi yong)
邯鄲學步(한단학보, han dan xue bu)
虛有其表(허유기표, xu you q? biao)
狐假虎威(호가호위, hu jia hu wei)

14장 허무
黔驪技窮(검려기궁, q?an lu ji qiong)
望洋興嘆(망양흥탄, wang yang xing tan)
病人膏?(병인고황, bing ren gao huang)
四面楚歌(사면초가, si mian chu ge)
殃及池魚(앙급지어, yang j? ch? yu)
衆叛親離(중반친리, zhong pan qin l?)
嗟來之食(차래지식, jie lai zhi sh?)
債臺高築(채대고축, zhai tai gao zhu)
?轍?魚(학철부어, he che fu yu)
黃梁一夢(황량일몽, huang liang y? meng)

부록
부록 1. 올해의 사자성어
부록 2. 중국의 역사의 요약
부록 3. 중국 고사성어의 원전(原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