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폰 적외선 카메라 만들기 - seumateu pon jeog-oeseon kamela mandeulgi


먼저 법적인 부분은 전문가가 아닌 관계로 틀린 내용이 있을수가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오늘은 현대 문명이 진화를 하면서 생기고 있는 문제중 하나인 특히 성범죄 문제인 몰카중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간단한 적외선 몰카 탐지기 만들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예전에는 90년대를 살아오신분들은 몰래카메라를 통해서 재미를 주었지만 이 몰래카메라는 시간이 가면서 점점 작아지고 그것이 성범죄를 이어지고 있습니다.이런 몰카 성범죄는 기본적으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촬영이 되고 있어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다만 예전에 양심냉장고 같은 경우에는 좋은 취지로 사용이 되었지만 지금은 몰카라는 단어만 들어도 소름이 끼치고 있고 요즈음 초등학교들도 엄마몰카로 해서 올리고 있어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일단 나이가 어리고 많고 간에 해당 몰카는 범죄라는것이라는 것입니다.그리고 이런 몰카의 종류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을것입니다.

예를들어서 spycam(스파이캠) 즉 첩보영화에서 나오만한 물건들 모자 내장 카메라, 볼펜 카메라,자동차 카메라등 물건들이 많으며 촬영 및 기타 이유로 소음이 나지 않는것은 기본적이고 조작도 매우 간편하고 이런 몰래카메라를 찍는 사람덕분에 이제는 한국에서 생산되는 카메라에는 기본적으로 셔터음이 나오게 되고 그리고 이를 무력화 하는 앱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적외선카메라도 있으면 그리고 무선방식등 다양한 방식이 있습니다.일단 적외선 방식으로 동작을 하는 것 적외선몰카를 간단하게 스마트폰을 활용해서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먼저 준비물은 스마트폰(손전등 기능 반드시 있어야함),셀로판지(빨간색)입니다.셀로판지는 문방구에 가면 1000원도 안하니 구매를 하면 됩니다.

스마트 폰 적외선 카메라 만들기 - seumateu pon jeog-oeseon kamela mandeulgi

일단 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먼저 셀로판지 빨간색을 렌즈 크기에 맞게 잘라주고 나서 스마트폰에 있는 카메라와 손전등 부분을 셀로판지로 덮어줍니다.그리고 나서 카메라 앱을 실행을 시켜서 그리고 제일 중요한것은 후레쉬는 반드시 항상켜짐으로 해주면 됩니다.그리고 나서 사진모드가 아닌 동영상 모드로 해서 동영상을 녹화 해주면 손전등 기능이 작동을 할것이고 해당 몰카가 있을거라고 의심장소를 보면 물체에서 이상하게 반짝거리는것을 볼수가 있습니다.

예전에 글을 적은 스마트폰으로 리모컨 작동하는지 보는 방법과 비슷한 원리입니다.일단 요즈음 몰카범죄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으므로 해당 방법을 이용하는 방법과 그리고 옷걸이에는 반드시 코트나 모자로 걸어두거나 의심스러운 구멍이 있으면 휴지같은걸로 막는것도 좋은 방법일것 같습니다.그리고 우리가 생각을 하는 몰카범죄가 가장 자주 이루어지는 장소는목욕탕, 탈의실, 모텔등이 아닌 길거리라고 이기에 주의를 해야 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도 몰카범죄입니다.

[생활] - 카메라로 간단하게 리모콘 고장(リモコンの故障) 유무 확인하기

예를들어서 다음과 같습니다.해변가에서 수영복을 입은 남자나 여자를 몰래 도촬하고 아무렇지 않게 얼굴도 가리지 않고 블로그나 SNS에 공유하거나 각종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남동생, 오빠, 여동생, 누나 등도 도촬에 해당 이 되며 노출 상태가 아니더라도 오늘 보니 옆자리에 잘 생긴 남자나 여자가 있어서 사진촬영한 경우가 대표적입니다.즉 마음에 드는 남자 또는 여자가 지나간다고 찍으면 도촬이 됩니다.

그리고 남성 몰카로는 동서울터미널 화장실에서 자위행위를 하던 군인들을 도촬한 영상이 P2P 에 동영상이 유포된 적이 있고 2012년에는 한 공익근무요원이 종로구청,광화문 교보문고 화장실 등에서 용변을 보고 있는 남성을 도촬하다가 경찰에 입건된적이 있으면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몰카범죄는 모텔에서 가방같은 곳에 카메라를 집어놓고 성관계를 하는 장면을 찍어서 자신의 얼굴만 모자이크 처리해서 올리는 경우,몰카를 신발에 설치해서 여자 치마속을 몰래 찍거나 이런거다 범죄입니다.만약 이런 범죄에 노출이 되었다고 하면 정부에서 이런 몰카를 삭제를 해주는 서비스도 있습니다.예를들어서 여가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내 마련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는 앞으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에 대해 상담,불법촬영물 삭제 지원,수사 지원,소송 지원,사후 모니터링(점검)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화(02-735-8994)나 비공개 온라인게시판(www.women1366.kr/stopds)을 통해 상담을 접수하면 피해 양상에 따라 맞춤형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하면 그리고 경찰청:112,여성긴급전화
:1366,방송통신심의위원회 2018년 4월부터 디지털성범죄대응팀 을 신설해 불법 촬영 된 사진 및 영상에 대한 신속한 삭제 및 접속차단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용시간은 평일 09:00~18:00에 (국번없이) 1377로 전화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그리고 자신이 몰카피해를 입었다고 하면 해당 기관의 도움을 받을수가 있으면 그리고 참고로 개정성폭력특례법에 따르면 신상정보등록및 공개대상에까지 포함되어져 있기 떄문에 이런 범죄 생각도 하지 마시길 바라며 그리고 가해자는 해당 영상삭제비용을 내게 되어져 있으니까 이런것은 생각조차 하지 말아야 하면 그리고 이런 상황이 발생을 할수가 있는 상황을 만들지 말것이면 그렇다고 무분별하게 신고를 하는것은 자제해야 함
범죄 성립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자의 허락 없이 촬영하는 것은 모두 도촬 그러나 모든 도촬이 무조건 범죄인 건 아님 범죄가 아닌 대표적인 예로는 길거리에서 사진 촬영을 하다가 우연히 찍힌 수많은 사람들의 얼굴이 범죄 성립 요건이 아니라는것임 길거리에서 우연히 찍힌 사진일 경우 다른 사람의 얼굴이 찍힌 사진을 인터넷이나 기타 정보통신망매체에 공공연하게 올리는 경우 에 초상권 침해 와 정보통신법 위반이 적용이 되며 단순히 촬영 자체를 한 것은 불법이 아니고 합니다. 만약 이것을 인터넷에 올리면 초상권 침해에 해당됨
행동 자체만으로도 성폭력범죄법 위반인 데다가 인터넷에 올릴 경우 초상권 침해+정보통신망 위반법에 의해 죄질이 높아짐
그러니 법은 정말 복잡한것 같습니다.일단 이런 몰카에서 전문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문장비들이 필요할것입니다.일단 몰카는 범죄이다는것을 명심하기 바랍니다.

TAG : it, spycam, spycam(스파이캠), 내장 카메라, 도촬, 디지털성범죄대응팀, 몰카, 몰카예방, 블로그, 생활, 성적 수치심, 스마트폰, 스파이캠, 여성긴급전화, 인터넷, 일상, 적외선 몰카 탐지기

KR20160103466A -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 Google Patents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KR20160103466A KR20160103466A KR1020150026065A KR20150026065A KR20160103466A KR 20160103466 A KR20160103466 A KR 20160103466A KR 1020150026065 A KR1020150026065 A KR 1020150026065A KR 20150026065 A KR20150026065 A KR 20150026065A KR 20160103466 A KR20160103466 A KR 20160103466AAuthorityKRSouth KoreaPrior art keywordssmart devicethermalcameraimagesensorPrior art date2015-02-24Application numberKR1020150026065A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김정훈Original Assignee김정훈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2015-02-24Filing date2015-02-24Publication date2016-09-01 2015-02-24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2015-02-24 Priority to KR102015002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3466A/ko 2016-09-01 Publication of KR2016010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466A/ko

Links

  • Espacenet
  • Global Dossier
  • Discuss
  • 238000001931 thermograph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2005/0077Imaging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열센서로 피사체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열화상 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구성요소를 스마트기기로 구현하여 저렴하고 간편하게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열화상 이미지를 스마트기기의 카메라 영상에 매칭시켜 피사체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온도 분포를 볼 수 있게 하는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기기(2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110)를 갖추며, 통신모듈(123)을 통해 스마트기기(200)와의 통신이 개시되면 복수의 적외선 열센서를 2차원 매트릭스로 배열한 열센서모듈(121)로 화각 범위의 센싱 신호를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는 열감지기(100); 실행시에 열감지기(100)와의 통신을 개시하여 전송받는 열센서모듈(121)의 센싱 신호로부터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스마트기기(200)에 구비된 카메라(210)의 영상에 열화상 이미지를 겹쳐 스마트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기기(2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THERMAL IMAGE CAMERA USING INFRARED SENSOR AND SMART DEVICE}

본 발명은 적외선 열센서로 피사체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열화상 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구성요소를 스마트기기로 구현하여 저렴하고 간편하게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열화상 이미지를 스마트기기의 카메라 영상에 매칭시켜 피사체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온도 분포를 볼 수 있게 하는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열화상 카메라는 피사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비접촉식 열감지 장치로서, 적외선을 감지하는 열센서, 열센서의 센싱값으로부터 온도 분포를 획득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기 및 열화상 이미지를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열화상 카메라는 야간, 안개가 낀 상황 또는 연기가 자욱한 상황에서 적군을 찾아내기 위한 군사용으로 개발된 이후, 발전설비, 송배전설비, 기계실 전기설비 등에서 설비 이상 상태를 감시하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화재감시 시스템으로 확대 도입되어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열화상 카메라는 열센서, 이미지 생성기 및 디스플레이어를 갖추어야 하는 고가의 별도 기기로 구성 판매되고 있으므로, 일상생활 속에서는 가격적 부담으로 활용이 잘 되고 있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체온 측정, 가전기기 고장 확인, 가정 내 방범 등처럼 다양한 활용 방법이 있지만, 이러한 활용 범위로 확대되는 데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입 사용할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로서, 공개특허 제10-2013-0142810는 열센서 및 이미지 생성기를 구비한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스마트폰에 장착하여서 스마트폰으로 열화상 이미지를 볼 수 있게 하였다. 이에,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입하여 열화상 카메라를 구성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공개특허 제10-2013-0142810에 개시한 열화상 카메라 모듈은 자에세 열화상 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구성요소를 갖고 있어서, 가격적인 면에서 여전히 부담스럽고, 부피도 증가한다. 또한,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의 영상을 활용하지 아니하여서, 고가의 고해상도 열센서 어레이를 갖추지 아니하면 열화상이 보여주는 피사체를 구분하기도 어렵다.

KR 10-2013-0142810 A 2013.12.30.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에 탈착하는 열감지기에 열센서를 구비하고 열화상 이미지의 생성 및 출력을 위한 신호처리를 스마트기기에서 담당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열화상 카메라를 구현하고, 피사체의 가시광 영역 영상에 열화상 이미지를 표출하여 피사체를 확인하며 온도를 볼 수 있는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에 있어서, 스마트기기(2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110)를 갖추며, 통신모듈(123)을 통해 스마트기기(200)와의 통신이 개시되면 복수의 적외선 열센서를 2차원 매트릭스로 배열한 열센서모듈(121)로 화각 범위의 적외선 센싱값을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는 열감지기(100); 실행시에 열감지기(100)와의 통신을 개시하여 전송받는 열센서모듈(121)의 적외선 센싱값으로부터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스마트기기(200)에 구비된 카메라(210)의 영상에 열화상 이미지를 겹쳐 스마트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기기(2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스마트기기(200)의 카메라(210) 위치에 개방홀(114)이 조성되어 있고, 열센서모듈(121)을 개방홀(114)에 인접하게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열센서모듈(121)과 개방홀(114) 간의 간격에 따라 열화상 이미지의 출력 위치를 보정한 후 카메라(210) 영상에 겹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감지기(100)는 열센서모듈(121)의 화각 범위 내에 있는 열감지 대상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122)를 구비하여 거리센서(122)의 센싱값을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거리센서(122)의 센싱값을 초점 거리로 하도록 카메라(210)의 줌(zoom)을 조절하고, 조절한 줌(zoom)에 맞춰 열화상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카메라(210) 영상에 겹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카메라(210)의 화각 정보와 열센서모듈(121)의 화각 정보에 따라 열화상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카메라(210)의 영상에 겹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에 탑재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열센서모듈의 센싱값으로부터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게 하여 열감지기의 구성을 단순화하며, 이에, 열감지기를 휴대성이 우수한 제품으로 구성하기에 용이하고, 가격적으로 부담을 크게 덜어주며, 애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램적으로 변경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기기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카메라 영상에 열화상 이미지를 중접하여 표출하므로, 피사체를 확인하며 온도를 감시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카메라가 갖는 화각과 열센서모듈의 화각에 차이가 있더라도 열화상 이미지를 부분영상으로서 카메라 영상에 중첩하여 보여줌으로써, 피사체의 화면 상에서 관심영역을 변경하며 온도 분포를 감시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의 분리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의 분리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의 결합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의 블록 구성도.

먼저, 용어를 정의한다.

스마트기기는 가시광 영역의 광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외부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외부기기와 유선으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기기이다. 이러한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카메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기기는 영상을 화면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의 분리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상태를 배면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분리된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정면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정면이라 함은 스마트기기(200)에서 카메라(210)가 설치된 면이며, 카메라(210)에 근접하게 열센서모듈(121) 및 거리센서(122)가 배치되도록 열감지기(100)를 스마트기기(200)에 장착하므로, 열감지기(100)에서 열센서모듈(121) 및 거리센서(122)가 구비된 면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 열센서의 센싱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기기(200)에 설치한 후 적외선 열센서를 구비한 열감지기(100)를 스마트기기(200)에 장착함으로써 구성되는 열화상 카메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기기(200)에 적외선 열센서를 구비한 열감지기를 결합함으로써, 열감지기(100)는 적외선 열센서의 센싱 신호로부터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갖추지 아니하여도 되어서 간소화된 구조 및 구성으로 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 가능하며, 이에, 고가의 열화상 카메라를 구입하지 아니하더라도 누구나 사용중인 스마트기기(200)를 이용하여 저렴한 열화상 카메라를 구성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열감지기(100) 및 스마트기기(2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열감지기(100)는 스마트기기(2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에 고정설치하는 회로기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로기판(120)에는 복수의 적외선 열센서를 2차원 매트릭스로 배열한 열센서모듈(121), 열센서모듈(121)의 화각 범위 내에 있는 열감지 대상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122), 스마트기기(2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123), 시각적으로 정보를 보여주는 표시부(124), 청각적으로 정보를 들려주는 부저(125), 열센서모듈(121)의 센싱 신호와 거리센서(122)의 센싱 신호를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126), 및 회로기판(120) 상의 구성요소에서 소요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27)가 실장 또는 장착되어 전기 신호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적어도 열센서모듈(121) 및 거리센서(122)는 회로기판(120)의 정면에 실장 또는 장착된다.

열센서모듈(121)은 복수의 적외선 열센서로 구성된 어레이 센서로서 직사각형의 면적을 열감지 대상의 화각으로 하여 화각 범위 내의 각 방향으로부타 입사되는 적외선의 센싱값, 즉, 열감지 대상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의 센싱값을 출력한다. 이에, 각각의 적외선 열센서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배치하여 화각 범위 내의 열화상을 얻기 위한 픽셀 역할을 하게 된다.

거리센서(122)는 가능하면 열센서모듈(121)에 근접하게 구비하여서, 열센서모듈(121)에 의한 화각의 중심에 가까운 방향을 향하게 한다. 이에, 화각의 중심에 출현하는 열감지 대상물의 거리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거리센서(122)는 예를 들면 초음파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통신모듈(123)은 스마트기기(200)와의 통신을 위한 것이므로, 스마트기기(200)에 구비된 통신모듈과 동일한 종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기기(200)는 블루투스 모듈을 기본으로 구비하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므로,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하였다. 한편, 스마트기기에 잭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경우에, 동일하게 잭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상기 통신모듈(123)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열감지기(100)와 스마트기기(200) 사이를 테이터케이블로 연결하거나 또는 열감지기(100)를 스마트기기(200)에 장착하거나 또는 열감지기(100)로 스마트기기(200)를 감싸는 방식으로 장착할 시에 양자의 인터테이스가 상호 연결되게 하는 구조로 케이스(110)를 제작하여도 좋다.

표시부(124)는 스마트기기(200)와의 통신 연결 상태와, 열센서모듈(121)로 검출한 값으로 판단하는 온도의 크기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예를 들면 RGB LED로 구성할 수 있다.

부저(125)는 알람을 울리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케이스(110)에 POWER ON 스위치를 설치하고, POWER ON 스위치가 온조작되었을 시에 전원부(127)로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하여 동작되게 하는 것이 좋다.

신호처리부(126)는 통신모듈(123)을 통해 스마트기기(200)와의 통신이 개시되면 열센서모듈(121)의 센싱값과 거리센서(122)의 센싱값을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통신모듈(123)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신호처리부(126)는 POWER ON 상태에서 스마트기기(200)와의 통신이 개시되기 이전까지, 즉, 통신으로 연결되지 아니할 시에 이를 알리는 색상으로 표시부(124)를 점등시키고, 열센서모듈(121)의 센싱값이 예를 들면 사람이 접촉할 시에 뜨겁게 느낄 수 있는 미리 설정된 온도 또는 체온보다 높은 센싱값을 나타낼 시에 표시부(124)를 점등시키고 부저(125)를 울리게 한다.

케이스(110)는 열센서모듈(121) 및 거리센서(122)가 전방을 향하도록 회로기판(120)을 삽입 장착하는 기판 안착홈(111)이 배면측에 구비되며, 회로기판(120)을 기판 안착홈(111)에 삽입 장착할 시에 열센서모듈(121)의 위치에 조성되는 제1 관통홀(112) 및 거리센서(122)의 위치에 조성되는 제2 관통홀(113)이 전면에 구비되어서, 열센서모듈(121) 및 거리센서(122)를 전방으로 노출시켜 열 및 거리 감지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기기(200)의 테두리를 에워싸는 방식으로 스마트기기(200)에 장착되지만, 점착재로 케이스(110)를 스마트기기(200)에 부착하는 구조, 스마트기기(200)의 테두리 일부를 파지하는 구조, 스마트기기(200)가 스마트 카메라일 경우에 렌즈 부위의 테두리를 파지하는 구조, 등의 다양한 구조로 케이스(1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케이스(110)를 스마트기기(200)에 장착할 시에, 스마트기기(200)의 카메라(210) 위치에 개방홀(114)이 조성되어 있도록 케이스(110)를 제작하여서, 카메라(210)의 화각을 가리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메라(210)의 주변에 부가적으로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스마트기기(200)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개방홀(114)에서 상부 테두리까지 절개하여 제거한 형태로 케이스(110)를 제작하였다.

여기서, 열센서모듈(121)의 위치(또는 제1 관통홀(112)의 위치)는 열감지기(100)를 스마트기기(200)에 장착할 시에 카메라(210)의 화각을 가리지 않게 조성하는 개방홀(114)에 가능하면 근접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이는, 가능하면 열센서모듈(121)의 화각 중심을 카메라(210)의 화각 중심에 가깝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관통홀(112)에는 전방으로 노출되는 열센서모듈(121)의 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테(121a)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마찬가지로 제2 관통홀(113)에도 거리센서(122)의 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테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110) 및 회로기판(120)으로 구성되는 열감지기(100)는 열센서모듈(121)의 센싱으로부터 열화상 이미지를 얻기 위한 디지털 신호처리 없이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므로, 회로기판(120)에 실장되는 구성을 간소화하여 저렴한 가격 및 작은 부피로 제작 가능하다.

스마트기기(200)는 카메라(210), 통신모듈(230) 및 디스플레이부(220)를 구비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230)를 구비하는 기기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부(230)에 설치 및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된다.

상기 스마트기기(200)에 설치 및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실행부(240)에서 실행될 시에 통신모듈(230)을 통해 열감지기(100)와의 통신을 개시하며, 이후 열감지기(100)로부터 전송받는 열센서모듈(121)의 적외선 센싱값으로부터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애플리케이션은 열센서모듈(121)에 의한 적외선 센싱값의 레벨별로 미리 설정한 온도 보정 함수를 통해 열센서모듈(121)의 각 픽셀(또는 적외선 열센서)에 대한 온도값을 획득하고, 각 필섹에 대해 온도값에 따라 미리 설정한 밝기값을 부여하여 얻는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온도 보정 함수는 열센서모듈(121)의 센싱값에 대응되는 온도값을 생성하기 위한 함수로서, 피사체의 온도에 따라 나타나는 열센서모듈(121)의 센싱값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즉, 열감지기(100)의 열센서모듈(121)은 수광되는 적외선의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비접촉식 적외선 열센서의 어레이이고,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 적외선 열센서를 픽셀로 하여 각 픽셀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다.

동시에,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기기(200)에 구비된 카메라(210)를 가동시켜 카메라(210)를 촬영동작시키며, 열화상 이미지를 카메라(210)의 영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출력한다.

그런데, 스마트기기(200)에 구비된 카메라(210)의 화각과 열감지기(100)에 구비되는 열센서모듈(121)의 화각은 일치하지 아니하고 크기에도 차이가 있고 카메라(210)의 1개 픽셀에 표현되는 화각이 열센모듈(121)의 1개 픽셀에 표현되는 화각과 상이할 수 있으며, 카메라(210)의 줌(zoom)을 변경하면 카메라(210)의 화각도 변경되고, 비록, 열센서모듈(121)을 가능하면 카메라(210)에 근접시키더라도 양자의 화각 중심이 일치하지 아니한다. 또한, 실제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할 시에는 주로 관심이 되는 열감지 대상물을 확대하여 그 대상물의 온도 분포를 관찰하므로, 이러한 점도 고려해야 한다.

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열센서모듈(121)과 개방홀(114) 간의 간격이 저장되어 있어서, 그 간격에 따라 열화상 이미지의 출력 위치를 보정한 후 카메라(210) 영상에 겹쳐 출력하며, 이에 따라 카메라(210)의 화각 중심과 열센서모듈(121)의 화각 중심이 상호 일치된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카메라(210)의 화각 정보와 열센서모듈(121)의 화각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서, 카메라(210) 화각에 대한 열센서모듈(121) 화각의 비율만큼 열화상 이미지를 축소한 후 카메라(210) 영상에 겹쳐 출력한다. 여기서, 이미지의 축소라 함은 디스플레이부(220)의 전체 화면 크기에 맞춰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하지 아니하고 전체 화면 중의 일부분 면적에 열화상 이미지를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스마트기기(200)에 구비되는 카메라(210)는 줌(zoom) 기능이 갖추어져 있으므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카메라(210)의 줌(zoom) 기능에 의한 화각 변경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카메라(210) 영상의 화각 변경에 따라 열화상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한다. 즉, 카메라(210)를 줌 인(zoom in)하여 피사체를 확대 촬영하면 줌 비(zoom ratio)만큼 열화상 이미지를 확대하고, 카메라(210)를 줌 아웃(zoom out)하여 피사체를 축소 촬영하면 줌 비(zoom ratio)만큼 열화상 이미지를 축소한다.

이와 같이 열화상 이미지의 위치 보정 및 크기 보정에 의해서 카메라(210) 영상으로 보이는 피사체 상에 온도를 나타내는 열화상 이미지를 겹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열감지하려는 대상물인 피사체를 확대하여 피사체의 온도 분포를 잘 보이게 하기 위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열감지기(100)로부터 전송받는 거리센서(122)의 센싱값을 초점 거리로 하도록 카메라(210)의 줌(zoom)을 조절하고, 이때 조절한 줌(zoom)을 반영하여 열화상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한다. 즉,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조절할 화각의 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어서, 거리센서(122)의 센싱값에 대응되는 화각으로 카메라(210)의 줌(zoom)을 조절하고, 그 줌 조절에 맞춰 열화상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는 피사체의 영상이 선명하게 확대 출력되고, 확대 출력한 피사체의 각 부위별 온도 분포를 세밀하게 보여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열감지기
110 : 케이스 111 : 기판 안착홈 112 : 제1 관통홀
113 : 제2 관통홀 114 : 개방홀
120 : 회로기판 121 : 열센서모듈 122 : 거리센서
123 : 통신모듈 124 : 표시부 125 : 부저
126 : 신호처리부 127 : 전원부
200 : 스마트기기
210 : 카메라 220 : 디스플레이부 230 : 통신모듈
240 :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Claims (5)

  1. 스마트기기(2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110)를 갖추며, 통신모듈(123)을 통해 스마트기기(200)와의 통신이 개시되면 복수의 적외선 열센서를 2차원 매트릭스로 배열한 열센서모듈(121)로 화각 범위의 적외선 센싱값을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는 열감지기(100);
    실행시에 열감지기(100)와의 통신을 개시하여 전송받는 열센서모듈(121)의 적외선 센싱값으로부터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스마트기기(200)에 구비된 카메라(210)의 영상에 열화상 이미지를 겹쳐 스마트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기기(2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스마트기기(200)의 카메라(210) 위치에 개방홀(114)이 조성되어 있고, 열센서모듈(121)을 개방홀(114)에 인접하게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열센서모듈(121)과 개방홀(114) 간의 간격에 따라 열화상 이미지의 출력 위치를 보정한 후 카메라(210) 영상에 겹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에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기(100)는 열센서모듈(121)의 화각 범위 내에 있는 열감지 대상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122)를 구비하여 거리센서(122)의 센싱값을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거리센서(122)의 센싱값을 초점 거리로 하도록 카메라(210)의 줌(zoom)을 조절하고, 조절한 줌(zoom)에 맞춰 열화상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카메라(210) 영상에 겹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카메라(210)의 화각 정보와 열센서모듈(121)의 화각 정보에 따라 열화상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카메라(210)의 영상에 겹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KR1020150026065A 2015-02-24 2015-02-24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KR20160103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50026065A KR20160103466A (ko) 2015-02-24 2015-02-24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50026065A KR20160103466A (ko) 2015-02-24 2015-02-24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60103466A true KR20160103466A (ko) 2016-09-01

Family

ID=5694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50026065A KR20160103466A (ko) 2015-02-24 2015-02-24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 KR201601034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19182355A1 (ko) * 2018-03-20 2019-09-26 주식회사 엠테이크 열화상센서를 갖는 스마트폰, 차량,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및 감지 방법
WO2021015318A1 (ko) * 2019-07-22 2021-01-28 신동균 해상도가 개선된 열화상 생성 방법 및 장치
JPWO2020085303A1 (ja) * 2018-10-22 2021-09-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13447132A (zh) * 2020-03-27 2021-09-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30142810A (ko) 2012-06-20 2013-12-30 엘시스템 주식회사 열화상 카메라 모듈 및 스마트폰
  • 2015
    • 2015-02-24 KR KR1020150026065A patent/KR2016010346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30142810A (ko) 2012-06-20 2013-12-30 엘시스템 주식회사 열화상 카메라 모듈 및 스마트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19182355A1 (ko) * 2018-03-20 2019-09-26 주식회사 엠테이크 열화상센서를 갖는 스마트폰, 차량,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및 감지 방법
KR20190110476A (ko) * 2018-03-20 2019-09-30 조용호 열화상센서를 갖는 스마트폰, 차량,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및 감지 방법
JPWO2020085303A1 (ja) * 2018-10-22 2021-09-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21015318A1 (ko) * 2019-07-22 2021-01-28 신동균 해상도가 개선된 열화상 생성 방법 및 장치
CN113447132A (zh) * 2020-03-27 2021-09-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20190279430A1 (en) 2019-09-12 Augmented reality lighting effects
(ko)
KR20160103466A (ko) 2016-09-01 적외선 열센서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US20060249679A1 (en) 2006-11-09 Visible light and ir combined image camera
JP2010181324A (ja) 2010-08-19 温度計測表示装置および携帯情報通信端末
KR101499081B1 (ko) 2015-03-05 열화상 카메라 모듈 및 스마트폰
KR101883090B1 (ko) 2018-07-27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EP3365717A1 (en) 2018-08-29 Camera assembly with filter providing different effective entrance pupil sizes based on light type
WO2007055943B1 (en) 2008-02-21 Multi-user stereoscopic 3-d panoramic vision system and method
CA2599821A1 (en) 2006-10-19 Digitally enhanced night vision device
JP5329480B2 (ja) 2013-10-30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160898A (ja) 2012-08-23 画像処理装置
WO2016044526A1 (en) 2016-03-24 Display of images from an imaging tool embedded or attached to a test and measurement tool
US20140152772A1 (en) 2014-06-05 Methods to combine radiation-based temperature sensor and inertial sensor and/or camera output in a handheld/mobile device
JP2010194074A (ja) 2010-09-09 赤外線サーモグラフィ装置
CN105744257A (zh) 2016-07-06 一种光学隐形装置
GB2590114A (en) 2021-06-23 Weld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with function of sensing environment
JP5399737B2 (ja) 2014-01-29 赤外線サーモグラフィ装置
KR101747022B1 (ko) 2017-06-14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
(ko)
JP6904836B2 (ja) 2021-07-21 撮像装置
KR20180054285A (ko) 2018-05-24 헤드 마운트 가상현실 장치
US20190208145A1 (en) 2019-07-04 Wearable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Object Temperature
JP2013115701A (ja) 2013-06-10 撮像システム
KR20180013196A (ko) 2018-02-07 뷰 모드를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DateCodeTitleDescription
2015-02-2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2016-01-29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6-08-31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