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엑스포츠뉴스 최지영 기자] '롤 황제' 페이커 이상혁이 감동 가득한 한 아버지의 사연에 폭풍 눈물을 쏟았다.

4일 '어바웃타임' 노승호 PD는 이상혁의 눈물에 대해 "현장에서 제작진도 놀랄 정도의 반전 스토리가 나왔기 때문"이라고 털어놨다.

최근 이상혁은 공개된 웨이브 오리지널 예능 '어바웃타임(포맷기획 김희수 연출 노승호)'에서 하염없이 눈물을 쏟았다. 냉혹한 승부사, 전 세계 롤(LoL)을 평정한 포커페이스가 '어바웃타임'의 시간 경매에서 오열하고 말았다.  

이상혁의 눈물을 쏟게 만든 한 신청자는 프로게이머가 꿈인 아들을 둔, 직장암 말기의 아버지였다. 이상혁과 만나 아들의 진로를 상담하고, 건강이 더 나빠지기 전에 아들에게 좋은 추억을 선물하고픈 마음이었다.  

제작진은 "가슴을 울리는 사연이었지만 안타깝게도 너무 적은 금액이라서 낙찰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며 "그런데 아들을 위해 마지막 60분 경매에서 끝까지 참여해 결국 최고 경매가로 낙찰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완벽한 반전이었다. 아들을 위한 아버지의 마음을 보고, 감정 표출을 잘 안하는 것으로 유명한 페이커가 폭풍 눈물을 쏟은 배경"이라고 덧붙였다.

제작진은 "페이커는 워낙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강한 인물이라서 섭외부터 용기가 필요했다. '자신보다 어리지만 존경한다' '인성과 실력을 모두 갖춘 멋진 남자'라는 김희철의 이야기가 불씨로 작용됐다"며 "다행히 시간 경매 취지에 페이커가 공감해줬고, 기부를 통해 좋은 일에 동참하는 일에 큰 의미를 둔 것 같다"고 레전드로 참여해준 페이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

한편, '어바웃타임'은 방송 사상 최초로 시간 경매를 진행하는 프로그램. 페이커의 시간을 사려는 경매에는 2400여 명이 몰려 '롤 황제'의 위력을 입증했다. 최종 경매 참여는 페이커의 시간을 꼭 사야되는 사연과 예상 금액을 신청서에 제출해 선별된다.

레전드의 시간 경매를 통한 낙찰금은 모두 기부된다. 하지만 제작진은 기획 초반 우려의 마음도 컸다. 시간을 돈으로 산다는 것에 대한 거부감과 왜곡된 참가자들이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다. 막상 촬영을 시작하자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우려와 달리, 첫회 유노윤호부터 페이커까지 진정서 있는 사연들이 감동 스토리를 이어가고 있다.

엑스포츠뉴스 최지영 기자 [email protected] / 사진= 비타민티브이 제공

 

????아들을 위해 페이커의 50분을 낙찰한 아버지

631 0 02.01 07:00

다음 페이지

이전 페이지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출처 : https://m.bboom.naver.com/best/get?boardNo=9&postNo=3561960&entrance=

  • 이전글티모시와 젠데이아 화보촬영 중에....gif
  • 다음글여기 싸움 났어요.jp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댓글[0]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

네이버 뿜 댓글[]

네이버 뿜 댓글 쓰기



(2013 시즌 · 2014 시즌 · 2015 시즌 · 2016 시즌 · 2017 시즌 · 2018 시즌 · 2019 시즌 · 2020 시즌 · 2021 시즌 · 2022 시즌 · 2023 시즌)

기타

플레이 스타일 · 개인 방송 · 별명 · 여담 · 역체 · 역체롤 · 역체미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LCK
주장

[ 펼치기 · 접기 ]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공석

이상혁
Faker

공석

허수
ShowMaker

공석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우승자

[ 펼치기 · 접기 ]

시즌

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TOP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JGL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MID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BOT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PT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UB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COACH

시즌1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xPeke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CyanideFI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hushei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LamiaZealot


Mellisan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wewillfailer

-

시즌2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tanley


Lilballz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Toyz


bebe


MiSTakE

x

-

시즌3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Impact


Bengi


Faker


Piglet


PoohManDu

x


cCarter


kkOma

2014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Looper


DanDy


PawN


imp


Mata


Skatch


Choi


DoGGi


Homme

2015


MaRin


Bengi


Faker


Bang


Wolf


Easyhoon


cCarter


kkOma

2016


Duke


Bengi


Faker


Bang


Wolf


Blank


cCarter


kkOma


PoohManDu

2017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CuVee


Ambition


Crown


Ruler


CoreJJ


Haru


Edgar


oDin


TrAce

2018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TheShy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Ning


Rookie


JackeyLove


Baolan


Duke


Kim


Mafa

2019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GimGoon


Tian


Doinb


Lwx


Crisp


Xinyi


WarHorse


Despa1r

2020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Nuguri


Canyon


ShowMaker


Ghost


BeryL


Nuclear


Zefa


Hoit


Daeny

2021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Flandre


JieJie


Scout


Viper


Meiko


JunJia


KenZhu


MaoKai


CorGi

2022


Kingen


Pyosik


Zeka


Deft


BeryL


Juhan


Ssong


Shine


Mowgli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준우승자

[ 펼치기 · 접기 ]

시즌

준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TOP


JGL


MID


BOT


SPT


SUB


COACH

시즌1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OAZ


Linak


MoMa


YellOwStaR


kujaa

x

-

시즌2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hy


CloudTemplar


RapidStar


Woong


MadLife

x


OnAir


Kezman

시즌3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GoDlike


Lucky


Wh1t3zZ


Uzi


Tabe

x

-

2014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Cola


InSec


corn


Uzi


Zero


LaoPi


VicaL

2015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meb


Hojin


Kuro


PraY


GorillA


Wisdom


NoFe


SSONG

2016


CuVee


Ambition


Crown


Ruler


CoreJJ


Wraith


Edgar


Kim


oDin

2017


Huni


Peanut


Faker


Bang


Wolf


Blank


cCarter


kkOma


RapidStar

2018


Bwipo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Broxah


Caps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Rekkles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Hylissang


sOAZ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YoungBuck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Dylan Falco

2019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Wunder


Jankos


Caps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Perkz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Mikyx


promisq


GrabbZ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Duffman

2020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Bin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ofM


Angel


huanfeng


SwordArt


View


Chashao


owo


Dian

2021


Khan


Canyon


ShowMaker


Ghost


BeryL


Rahel


kkOma


PoohManDu


Daeny

2022


Zeus


Oner


Faker


Gumayusi


Keria


Asper


Bengi


Moment


Sky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MVP

[ 펼치기 · 접기 ]

시즌

구분

이름

국적

ID

포지션

소속팀

시즌1

통합

마치에이
라투시니아크

Shushei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2014

통합

조세형

Mata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2015

통합

장경환

MaRin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2016

통합

이상혁

Faker

2017

결승

박재혁

Ruler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2018

결승

가오전닝

Nin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2019

결승

가오톈량

Tian

2020

결승

김건부

Canyon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2021

결승

이예찬

Scout

2022

결승

황성훈

Kingen

시즌2, 시즌3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MVP 미선정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우승자

[ 펼치기 · 접기 ]

시즌

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TOP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JGL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MID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BOT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PT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UB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COACH

2015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Koro1


Clearlove


PawN


Deft


Meiko


U


Aaron


Reapered

2016


Duke


Blank


Faker


Bang


Wolf


Bengi


cCarter


kkOma


PoohManDu

2017


Huni


Peanut


Faker


Bang


Wolf


Blank


cCarter


kkOma


Rapidstar

2018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Letme


Mlxg


Xiaohu


Uzi


Ming


Karsa


Kezman


Heart

2019


Wunder


Jankos


Caps


Perkz


Mikyx


promisq


GrabbZ


Duffman

2021


Xiaohu


Wei


Cryin


GALA


Ming


Xiaobai


Tabe


Lele


Poppy

2022


Bin


Wei


Xiaohu


GALA


Ming


Bunny


KenZhu


Tabe


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준우승자

[ 펼치기 · 접기 ]

시즌

준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TOP


JGL


MID


BOT


SPT


SUB


COACH

2015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MaRin


Bengi


Faker


Bang


Wolf


Easyhoon


cCarter


kkOma

2016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Darshan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Xmithie


Huhi


Stixxay


aphromoo


YoonA


Zikzlol

2017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Expect


Trick


Perkz


Zven


Mithy


Upset


YoungBuck

2018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Khan


Peanut


Bdd


PraY


GorillA


Cuzz


Hirai


Supreme


ActScene

2019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Impact


Xmithie


Jensen


Doublelift


CoreJJ


MikeYeung


Cain

2021


Khan


Canyon


ShowMaker


Ghost


BeryL


Malrang


kkOma


PoohManDu


Ares

2022


Zeus


Oner


Faker


Gumayusi


Keria


Asper


Polt


Moment


Bengi


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MVP

[ 펼치기 · 접기 ]

시즌

구분

이름

국적

ID

포지션

소속팀

2015

통합

밍카이

Clearlove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JGL

2016

결승

이상혁

Faker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MID

2017

결승

이재완

Wolf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PT

2018

결승

젠쯔하오

Uzi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ADC

2019

결승

라스무스 뷘터

Caps


MID

2021

결승

천웨이

GALA


BOT

2022

결승

옌양웨이

Wei


JGL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우승 선수

[ 펼치기 · 접기 ]

구분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2012

스프링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FantasyStar · Helios · Ambition · Jack Sparrow · Lustboy

서머

Shy · Templar · Rapidstar · Woong · MadLife

2013

윈터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MakNooN · Watch · SSONG · PraY · Cain

스프링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Homme · DanDy · Dade · imp · Mata

서머

Impact · Bengi · Faker · Piglet · PoohManDu

2014

윈터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스프링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Acorn · Spirit · Dade · Deft · Heart

서머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sumday · KaKAO · Rookie · Arrow · Hachani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2015

스프링

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 Piccaboo

서머

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2016

스프링

Duke · Blank · Bengi · Faker · Bang · Wolf

서머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meb · Peanut · Kuro · Cry · PraY · GorilIA

2017

스프링

Huni · Profit · Peanut · Blank · Faker · Sky · Bang · Wolf

서머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Khan · Rascal · Cuzz · Bdd · Justice · PraY · Lucy · GorilIA · Zzus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2018

스프링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Khan · Peanut · Cuzz · Bdd · PraY · GorilIA

서머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meb · Kingen · Score · Rush · Ucal · PawN · Deft · Mata · Mia

2019

스프링

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Teddy · Leo · Mata · Effort

서머

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Gori · Teddy · Leo · Effort · Mata

2020

스프링

Canna · Roach · Cuzz · Ellim · Faker · Gori · Teddy · Gumayusi · Effort · Kuri

서머

Nuguri · Flame · Canyon · ShowMaker · Ghost · Nuclear · BeryL · Hoit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2021

스프링

Khan · Canyon · ShowMaker · RangJun · Ghost · BeryL

서머

Khan · Canyon · Malrang · ShowMaker · Ghost · Rahel · BeryL

2022

스프링

Zeus · Oner · Faker · Gumayusi · Keria · Asper

서머

Doran · Peanut · YoungJae · Chovy · Ruler · Lehends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포스트시즌 MVP

[ 펼치기 · 접기 ]

← 역대 구 롤챔스 MVP

2015 Spring

2015 Summer

2016 Spring

2016 Summer

2017 Spring

Easyhoon
이지훈
SKT | MID

Faker
이상혁
SKT | MID

Duke
이호성
SKT | TOP

Kuro
이서행
ROX | MID

Peanut
한왕호
SKT | JGL

2017 Summer

2018 Spring

2018 Summer

2019 Spring

2019 Summer

Khan
김동하
LZ | TOP

PraY
김종인
KZ | ADC

Score
고동빈
KT | JGL

Teddy
박진성
SKT | BOT

Clid
김태민
SKT | JGL

역대 LCK 파이널 MVP →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역대 통합 MVP

[ 펼치기 · 접기 ]

2012-2013 Winter

2013 Spring

2013 Summer

MaKNooN
윤하운
NaJin Sword | TOP

Dade
배어진
MVP Ozone | MID

Faker
이상혁
SK telecom T1 | MID

2013-2014 Winter

2014 Spring

2014 Summer

Faker
이상혁
SK telecom T1 K | MID

Dade
배어진
Samsung Galaxy Blue | MID

KaKAO
이병권
kt Rolster Arrows | JGL

역대 LCK 정규시즌 MVP →

역대 LCK 포스트시즌 MVP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1st All-Pro Team

[ 펼치기 · 접기 ]

시즌

대회


TOP


JGL


MID


BOT


SPT

2020

스프링

Nuguri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Clid

Bdd

Teddy

Keria

서머

Nuguri

Canyon

ShowMaker

Ruler

BeryL

2021

스프링

Khan

Canyon

ShowMaker

Ruler

Keria

서머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Kiin

Peanut

ShowMaker

deokdam

Keria

2022

스프링

Zeus

Canyon

Faker

Gumayusi

Keria

서머

Zeus

Peanut

Chovy

Ruler

Lehends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nd All-Pro Team

[ 펼치기 · 접기 ]

시즌

대회


TOP


JGL


MID


BOT


SPT

2020

스프링

Rascal

Cuzz

Chovy

Aiming

Effort

서머

Canna

Clid

Chovy

Ghost

Keria

2021

스프링

Rascal

Pyosik

Chovy

Teddy

BeryL

서머

Khan

Canyon

Bdd

Ruler

Kellin

2022

스프링

Rascal

Oner

Chovy

Ruler

BeryL

서머

Doran

Oner

Faker

Prince

Keria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3rd All-Pro Team

[ 펼치기 · 접기 ]

시즌

대회


TOP


JGL


MID


BOT


SPT

2020

스프링

Doran

bonO

Faker

Deft

Life

서머

Rascal

Cuzz

Bdd

Deft

Life

2021

스프링

Kingen

Clid

Bdd

Ghost

Life

서머

Summit

Croco

Chovy

Prince

Effort

2022

스프링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Kiin

Peanut

ShowMaker

Deft

Lehends

서머

Rascal

Croco

Clozer

Aiming

Kael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KDA 챔피언

[ 펼치기 · 접기 ]

시즌

대회


TOP


JGL


MID


BOT


SPT

2013

윈터

Shy

Watch

SSON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core

Cain

스프링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Flame

DanDy

dade

imp

Mata

서머

inSec

Bengi

Faker

Piglet

PoohManDu

2014

윈터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Looper

DanDy

Faker

Piglet

PoohManDu

스프링

Acorn

Spirit

PawN

Deft

Heart

서머

Looper

DanDy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Easyhoon

Arrow

Mata

2015

스프링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meb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Chaser

Kuro

PraY

Wolf

서머

Ssumday

Score

Kuro

Arrow

Wolf

2016

스프링

Smeb

Peanut

Kuro

PraY

GorillA

서머

Smeb

Score

Kuro

Bang

Wolf

2017

스프링

Huni

Peanut

Faker

Bang

Wolf

서머

Smeb

Score

Bdd

Deft

Mata

2018

스프링

Khan

Peanut

Bdd

Bang

Mata

서머

Smeb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Tarzan

Chovy

Viper

Lehends

2019

스프링

Khan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Tarzan

Chovy

Viper

Lehends

서머

Sword

Tarzan

ShowMaker

Viper

Lehends

2012-2013 윈터부터 포지션별 KDA 1위를 뽑아 시상했었고, 수상자들에겐 각각 200만원의 상금이 주어졌다.
2014 서머까지는 전 경기를 대상으로 시상하다가, 리그제 전환이 이뤄진 2015 스프링부터 정규 시즌 경기를 위주로 집계되었다.
해당 부문은 2020 스프링부터 LCK All-Pro Team의 신설로 폐지되었다.
사실상 올-프로 1st 팀을 과거에는 통합 지표가 아닌 KDA 스코어로 구분하여 따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역대 LCK 2000킬 달성 선수 일람

[ 펼치기 · 접기 ]

이름/ID

당시 소속 팀

현 소속 팀

포지션

달성일자

이상혁✩

Faker


MID

2020.03.05

김혁규

Deft


BOT

2022.02.24

박재혁

Ruler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BOT

2022.07.22

ID

: 현 LCK 소속

ID

: 현 LPL 소속
✩ : 2500킬 달성 선수


역대 LCK 1000킬 달성 선수 일람

[ 펼치기 · 접기 ]

이름 / ID

당시 소속 팀

현 소속 팀

포지션

달성일자

최종기록

이상혁★

Faker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MID

2016.07.11

-

김종인✩

PraY

은퇴


ADC

2016.07.21

1685킬

배준식✩

Bang

은퇴


ADC

2017.03.02

1679킬

고동빈✩

Score

은퇴


JGL

2017.03.05

1509킬

이서행✩

Kuro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은퇴


MID

2017.06.08

1556킬

송경호

Smeb

은퇴


TOP

2018.03.01

1340킬

강찬용

Ambition

은퇴


JGL

2018.07.26

1009킬

권상윤

Sangyoon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은퇴


BOT

2019.02.13

1191킬

김혁규★

Deft


BOT

2019.03.21

-

박진성✩

Teddy

N/A


BOT

2020.02.26

-

박재혁★

Ruler


BOT

2020.04.01

-

곽보성✩

Bdd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MID

2020.04.08

-

장용준

Ghost

N/A


BOT

2021.02.20

-

한왕호

Peanut


JGL

2021.06.24

-

정지훈

Chovy


MID

2021.07.01

-

송용준

Fly

은퇴


MID

2021.07.29

1041킬

허수

ShowMaker


MID

2021.08.28

-

김기인

Kiin


TOP

2022.03.05

-

김하람

Aiming


BOT

2022.07.06

-

김광희

Rascal

N/A


TOP

2022.07.29

-

ID

: 현 LCK 소속

ID

: 현 LPL 소속
✩ : 1500킬 달성 선수
★ : 2000킬 이상 달성 선수


역대 LCK 펜타킬 달성 선수

[ 펼치기 · 접기 ]

2012 시즌

Hiro 이우석 1호 · Locodoco 최윤섭 2호 · Hermes 김강환 3호 · Imp 구승빈 4호

2013 시즌

Ambition 강찬용 5호 · Riris 백승민 6호 · PraY 김종인 7호

2014 시즌

Imp 구승빈 8호 · Emperor 김진현 9호 · Bang 배준식 10호

2015 시즌

Faker 이상혁 11호 · Rain 박단원 12호 · Smeb 송경호 13호 · Arrow 노동현 14·16호☆ · Nagne 김상문 15호 · Bang 배준식 17호 · Pilot 나우형 18호 · Ssumday 김찬호 19호

2016 시즌

Stitch 이승주 20호 · Pilot 나우형 21호 · Crown 이민호 22호 · Bang 배준식 23호 · Sangyoon 권상윤 24호

2017 시즌

Tempt 강명구 25호 · Kramer 하종훈 26호 · ikssu 전익수 27호 · Crown 이민호 28호

2018 시즌

Lava 김태훈 29호 · Khan 김동하 30호 · Teddy 박진성 31·33호☆ · Pilot 나우형 32호 · Ruler 박재혁 34호

2019 시즌

Viper 박도현 35호 · SSUN 김태양 36호 · ShowMaker 허수 37호

2020 시즌

Mystic 진성준 38·46호☆ · Ruler 박재혁 39·40·50호★ · Aiming 김하람 41호·49호☆ · HyBriD 이우진 42·43·45호★ · SoHwan 김준영 44호 · ShowMaker 허수 47호 · Canyon 김건부 48호

2021 시즌

Gumayusi 이민형 51호 · Ghost 장용준 52·53호☆ · Ruler 박재혁 54호 · Pyosik 홍창현 55호 · Lava 김태훈 56호 · Chovy 정지훈 57호

2022 시즌

deokdam 서대길 58호 · Ghost 장용준 59호 · Aiming 김하람 60호 · Bdd 곽보성 61호 · Gumayusi 이민형 62호 · Ruler 박재혁 63호 · Prince 이채환 64호

※ 국내 대회이나 LCK가 아닌 대회는 제외 (LoL 마스터즈, 예선, 프리시즌, 챌린저스, 승강전, 케스파컵 등)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Rift Rivals Red Rift
역대 우승자

[ 펼치기 · 접기 ]

시즌

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TOP


JGL


MID


BOT


SPT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UB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COACH

2017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957


Condi


Xiye


Mystic


Zero


LaoZhou


HooN


Homme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Letme


Mlxg


Xiaohu


Y4


Ming


Koro1


FireFox


Heart


Dog4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Mouse


Clearlove7


Scout


Zet


Meiko


Audi


Aaron


NoFe


Hermes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Xiyang


World6


Icon


SmLz


Five


Jiekou


MingZhe

2018


Zz1tai


Karsa


Xiaohu


Uzi


Ming


Mlxg


Kezman


Heart


Ray


Haro


Scout


iBoy


Meiko


Clearlove


Aaron


NoFe


Hermes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Mouse


Flawless


Doinb


Smlz


Killua


Holder


Steak


TheShy


Ning


Rookie


JackeyLove


Baolan


Duke


Kim


Mafa

2019


Khan


Clid


Faker


Teddy


Mata


Haru


kkOma


Zefa


Fly


Sword


Tarzan


Chovy


Viper


Lehends


Doran


cvMax


Chaos


Rascal


Cuzz


Naehyun


Deft


TusiN


HERO


Hirai


Acorn


Supreme


Nuguri


Canyon


ShowMaker


Nuclear


BeryL


Flame


Micro


Kim


Travel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Intel Extreme Masters
LoL World Championship

역대 우승자

[ 펼치기 · 접기 ]

시즌

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TOP


JGL


MID


BOT


SPT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UB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COACH

2012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Darien


Diamondprox


Alex Ich


Genja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GoSu Pepper

-


Groove

2013


Flame


Helios


Ambition


Cpt Jack


Lustboy

-


OnAir


Kezman

2014


Leopard


InSec


Ryu


Score


Mafa

-


FIFAHUN


ZanDarC


VicaL

2015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Dyrus


Santorin


Bjergsen


WildTurtle


Lustboy

-


Locodoco

2016


Duke


Blank


Faker


Bang


Wolf

-


cCarter


kkOma


PoohManDu

2017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MMD


Karsa


Maple


Betty


SwordArt


Rins


WarHorse


Steak


Intel Extreme Masters
League of Legends 부문

역대 우승자

[ 펼치기 · 접기 ]

대회명

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TOP


JGL


MID


BOT


SPT


SUB


COACH

IEM Season V
- LoL Invitational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xPeke


WetDreaM


Shushei


LamiaZealot


Mellisan


CyanideFI

-

IEM Season VI
- Cologne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HotshotGG


Saintvicious


Salce


bigfatlp


Elementz

-

-

IEM Season VI
- Guangzhou


YMS


YJTM


Misaya


Weixiao


if

-


Aaron


Joker

IEM Season VI
- New York


Shushei


CyanideFI


xPeke


LamiaZealot


Mellisan

-

IEM Season VI
- Kiev


Darien


Diamondprox


Alex Ich


Genja


GoSu Pepper

-


Groove

IEM Season VI
- Sao Paulo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GuTinho


Luukz


Kuroshi


brTT


Dynus

-

-

IEM Season VI
- World Championship


Darien


Diamondprox


Alex Ich


Genja


GoSu Pepper

-


Groove

IEM Season VII
- Singapore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Kubon


Mokatte


Czaru


Makler


Libik

-

-

IEM Season VII
- Cologne


Reapered


H0R0


MighTILy


UandMe


StarLast

-


cCarter

IEM Season VII
- Katowice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Darien


Diamondprox


Alex Ich


Genja


Edward

-


Groove

IEM Season VII
- Sao Paulo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Lilac


Ring


MidKing


Paragon


Lasha

-


Hirai

IEM Season VII
- World Championship


Flame


Helios


Ambition


Cpt Jack


Lustboy

-


OnAir


Kezman

IEM Season VIII
- Shanghai


CaoMei


Troll


Misaya


Wx


JuanM

-


Sky


Aaron

IEM Season VIII
- Cologne


Darien


Diamond


Alex Ich


Genja


Edward

-


Groove

IEM Season VIII
- Singapore


PDD


illuSioN


Zzitai


Kid


Lovecryboy

-


KenZhu

IEM Season VIII
- Sao Paulo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kev1n


Araneae


Kerp


Creaton


Jree

-


Dreamz

IEM Season VIII
- World Championship


Leopard


InSec


Ryu


Score


Mafa

-


FIFAHUN


ZanDarC


VicaL

IEM Season IX
- Shenzhen


CaoMei


Sin


N1nja


We1Xiao


conan

-


Sky


Hiro

IEM Season IX
- San Jose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Balls


Meteos


Hai


Sneaky


Lemonnation

-


Charlie

IEM Season IX
- Cologne


Cabochard


Diamondprox


niQ


P1noy


Edward

-


Groove

IEM Season IX
- Taipei


Steak


Karsa


Maple


NL


SwordArt

-


WarHorse


Fluidwind

IEM Season IX
- World Championship


Dyrus


Santorin


Bjergsen


WildTurtle


Lustboy

-


Locodoco

IEM Season X
- San Jose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OAZ


Amazing


PowerOfEvil


Niels


mithy

-


xPeke

IEM Season X
- Cologne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Crazy


Ares


Athena


LokeN


Key

-


Karam


Cho

IEM Season X
- World Championship


Duke


Blank


Faker


Bang


Wolf

-


cCarter


kkOma


PoohManDu

IEM Season XI
- Oakland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Vizicsacsi


Move


Exileh


Veritas


Hylissang

-


Sheepy

IEM Season XI - Gyeonggi


CuVee


Ambition


Crown


Ruler


CoreJJ

-


Edgar


oDin


TrAce

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


MMD


Karsa


Maple


Betty


SwordArt


Rins


WarHorse


Steak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NiceGameTV
League of Legends Battle

역대 우승 선수

[ 펼치기 · 접기 ]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2012

스프링

거품게임단

LongPanda · inSec · Mima · Pecko · Kish

서머

Homme · DanDy · Mima · imp · SmallBrain

2013

윈터

GSG

Cheonju · Solo · Easy · Clear · ManDu

스프링

Chop · Watch · SSONG · PraY · Cain

서머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Expession · Watch · SSONG · Nagne · PraY · Cain

2014

윈터

Flame · DayDream · Ambition · BaeMe · Emperor · Cpt Jack · Lustboy

스프링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Shy · Swift · CoCo · Space · MadLife

서머

Impact · Bengi · Faker · Piglet · PoohManDu

리그 구조 개편으로 NLB 폐지, 2부 리그 CK 신설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 펼치기 · 접기 ]

HONORS
e스포츠 역사에 영원히 남을 영구헌액자 13인

임요환

홍진호

최연성

이윤열

이영호

강찬용

배성웅

박정석

이제동

홍민기

조세형

이재완

문호준

STARS
올해를 빛낸 최고의 e스포츠 스타들

2018

김종인

김택용

배성웅

이상혁

이제동

장재호

2019

김동하

문호준

이상혁

이영호

정윤종

조세형

2020

문호준

이상혁

최영훈

박도현

배성빈

장하권

2021

김동하

김건부

허수

차승훈

나희주

한시아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League of Legends
역대 한국 서버 1위

[ 펼치기 · 접기 ]

시즌

종료일

이름

소환사명

티어

2012 시즌

2012.11.08.

전호진

IM Lil4c

2739(다이아몬드)

2013 시즌

2013.11.11.

이상혁

SKT T1 Faker

챌린저 886LP

2014 시즌

2014.11.11.

김상문

KT Nagne

챌린저 1252LP

2015 시즌

2015.11.10.

이예찬

SKT T1 Scout

챌린저 1347LP

2016 시즌

2016.11.07.

문우찬

Cuzz

챌린저 1180LP

2017 시즌

2017.11.07.

김혁규

deft123456

챌린저 1212LP

2018 시즌

2018.11.12.

이승용

타 잔

챌린저 1270LP

2019 시즌

2019.11.18.

문우찬

Cuzz

챌린저 1589LP

2020 시즌

2020.11.10.

박도현

HLE Viper

챌린저 1539LP

2021 시즌

2021.11.15.

위즈민

WUXIANJINBU

챌린저 1593LP

2022 시즌

2022.11.14.

린위훙

ruanxiu

챌린저 1669LP

소환사명과 점수는 시즌 종료 당시 기준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e스포츠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대표팀 로스터


TOP


JGL


MID


ADC


SPT


SUB


COACH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Kiin

Peanut

Faker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Ruler

CoreJJ

Score

Edgar

Zefa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T1

C


Faker

이상혁 (李相赫 | Lee Sang-hyeok)

출생

1996년 5월 7일 (26세)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서울특별시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강서구 가양동[1]

국적

대한민국

본관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경주 이씨[2]

신체

176cm[3], 64kg, O형

가족

조모 권오윤[4]
아버지 이경준
남동생 이상훈[5]

학력

등원중학교 (15회 / 졸업)
마포고등학교 (중퇴)[6]

병역

전시근로역 (사회복무요원 장기대기)[7]

종교

무종교[8]

MBTI

INTP #

ID

Hide on bush #[9]
1135567del #[10]
wincg #[EUW]
Neo Hide on bush #[NA]

포지션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미드

경력 상금

$1,367,521.14 USD
(₩1,966,495,399.32)[13]

소속

T1[14]
(2013.02.13 ~ 2025.11.17예정)

데뷔일

2013년 4월 3일
+3540일째

서명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국가대표

대한민국

(2018)

에이전시

(주)페이커컴퍼니[15]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16]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선수 경력

3.1. 대회 경력3.2. 주요 경력

4. 평가5. 솔로 랭크6. 개인 방송7. 별명8. 논란 및 사건 사고

8.1. 2021 롤드컵 4강 관련 발언8.2. 솔로랭크 중 일반인 유저에 대한 발언 관련

8.2.1. 정말 성훈의 잘못인가?

9. 여담


1. 개요[편집]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의 T1 소속 주장이자 미드 라이너 및 파트 오너.

2. 플레이 스타일[편집]

이상혁의 하이라이트

[ 펼치기 · 접기 ]

전체 플레이 스타일 : 이상혁/플레이 스타일

G.O.A.T

판타지스타

챔피언 풀

공격적인 플레이

오더 능력

정글러와의 합

시즌별 플레이 스타일 변천

정말 메시네요, 메시. 이건 저희가 붙이는 게 아니라 선수들이 붙여준 별명입니다!


김동준 LCK 해설 위원[17]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자세한 내용은 이상혁/플레이 스타일 문서

의 번 문단을

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선수 경력[편집]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이상혁의 선수 경력

[ 펼치기 · 접기 ]

통합 선수 경력 : 이상혁/선수 경력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3.1. 대회 경력[편집]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이상혁의 대회 경력

[ 펼치기 · 접기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통합 MVP

준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4강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

4강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2015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2016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MVP

우승

2017 Mid-Season Invitational

4강

2019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2022 Mid-Season Invitational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3위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우승

HOT6 Champions Summer 2013, MVP

우승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MVP

8강

HOT6 Champions Spring 2014

8강

HOT6 Champions Summer 2014

우승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포스트시즌 MVP

우승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3위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4위

2018 LoL Champions Korea Spring

7위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

5위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4위

2021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Intel Extreme Masters

우승

IEM Season Ⅹ - World Championship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2017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2018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2019 리프트 라이벌즈

아시안 게임

16강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2013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은메달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2014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인비테이셔널

우승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준우승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4강

2017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지역대항전

우승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올스타 결전

우승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지역별 라이벌전

우승

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KeSPA Cup

4강

NAVER 2015 LoL KeSPA Cup

4강

2016 LoL KeSPA Cup

4강

2017 LoL KeSPA Cup

8강

2018 LoL KeSPA Cup

4강

2019 LoL KeSPA Cup ULSAN

기타 대회

4강

제 2회 AMD-인벤 챔피언십 프로팀 최강전

4강

WCG 2013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3위

빅파일 NLB Spring 2014

준우승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우승

IT ENJOY NLB Summer 2014

8강

2020 Mid-Season Cup

수상

2013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미드 부문 최우수 선수상 [18]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e스포츠 대상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LoL 최우수 선수상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LoL 미드 부문 인기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e스포츠 대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LoL 최우수 선수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LoL 미드 부문 인기상

2017 더 게임 어워드 올해의 e스포츠 선수

2018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2019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2020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2021 LCK 어워드 카카오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 상

  • 통산 전적[19]: 1106전 747승 359패, 승률 67.5%, 총 킬 4012, 총 데스 2283, 총 어시 5965, K/M 3.6, D/M 2.1, A/M 5.4, KDA 4.4, 킬 관여율 65.4% (22.10.09 기준) 출처

  • 월즈 우승 3회, MSI 우승 2회, LCK 우승 10회, IEM 우승 1회[20],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1회,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5회, NLB 우승 1회

  • Worlds MVP 1회, MSI MVP 1회, LCK 통합 MVP 2회, LCK 플레이오프 MVP 1회, All-Pro First team 1회


SKT T1에서 프로 데뷔를 했고, 다른 팀으로의 이적 없이 대부분의 시간 동안 주전을 꿰차면서[21] 해당 커리어들을 달성했다. 현재 세계 그 누구와 비교하더라도 이 정도의 경력을 가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는 없으며, 최고의 선수라는 위상에 걸맞게 LoL e스포츠 최고의 대회인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과 4대 메이저 리그 중 하나인 LCK 커리어를 각각 떼어놓고 봐도 독보적인 기록들을 보유하고 있다.[22]

우승 관련 기록

  • 메이저 국제대회 최다(5회) 우승 선수.[23]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최다(3회) 우승 선수.[24]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최초 2회 연속 우승 선수.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로얄로더 우승 선수.

  • Mid-Season Invitational 최초 2회 연속 우승 선수.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다(10회) 우승 선수.[25]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 3회 연속 우승 선수.

  • 라이엇 게임즈 주관 3대 메이저 대회 도합 15회 우승 선수.[26]

  • 라이엇 게임즈 주관 모든 국제 대회를 우승한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27]


선수 개인 관련 기록

  • 메이저 국제대회 통산 100승을 달성한 유일한 선수.[28]

  • 메이저 국제대회 모든 MVP를 받은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29]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500킬 기록을 달성한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30]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연소 및 최고령 우승자 기록을 달성한 미드라이너.[31]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로 700전과 500승을 달성한 선수.[32]

  •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역사상 논 캘린더 그랜드 슬램을 최초로 달성한 선수[33]

그 외 팀 관련 기록들은 T1/리그 오브 레전드 문서로.

3.2. 주요 경력[편집]

우승 기록

HOT6 Champions Summer 2013 우승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우승

MVP Ozone

SK telecom T1
SK telecom T1 K

Samsung Galaxy Blue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우승

Taipei Assassins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White

2014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인비테이셔널 우승

인비테이셔널 출범

SK telecom T1 K

Edward Gaming[34]

IT ENJOY NLB Summer 2014 우승

CJ Entus Frost

SK telecom T1 K

Anarchy[35]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kt Rolster Arrows

SK telecom T1[36]

ROX Tigers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우승

Samsung Galaxy White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37]

Team ICE

Team Fire[38]

Team ICE

IEM Season Ⅹ - World Championship 우승

Team SoloMid

SK telecom T1

Flash Wolves

2016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2017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Edward Gaming

SK telecom T1

Royal Never Give Up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ROX Tigers

SK telecom T1

Longzhu Gaming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LPL

Team East
LCK
LCK

대회 취소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kt Rolster

SK telecom T1
SK telecom T1
T1[39]

DAMWON Gaming

2019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LPL[40]

LCK[41]

폐지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DWG KIA

T1

Gen.G

준우승 기록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준우승

Xenics United[42]

SK telecom T1

폐지[43]

2015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Oh My God[44]

SK telecom T1

Counter Logic Gaming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준우승

Team Ice

Team Fire

LMS

2017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2018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대회 출범

LCK[45][46]

LPL[47]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kt Rolster

SK telecom T1

Afreeca Freecs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Samsung Galaxy

SK telecom T1

Fnatic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은메달

종목 채택

대한민국

미정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Gen.G

T1

Gen.G

2022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DWG KIA

T1

미정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Gen.G

T1

미정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DWG KIA

T1

미정

수상 기록

HOT6 Champions Summer 2013 MVP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MVP

배어진
(MVP Ozone)

이상혁
(SK telecom T1)
이상혁
(SK telecom T1 K)

배어진
(Samsung Galaxy Blue)

2013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미드 부문 최우수 선수상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미드 부문 인기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미드 부문 인기상

정민성
(CJ Entus Frost)

이상혁
(SK telecom T1)

폐지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포스트시즌 MVP[48]

이지훈
(SK telecom T1)

이상혁
(SK telecom T1)

이호성
(SK telecom T1)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최우수 선수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최우수 선수상

시상 출범

이상혁
(SK telecom T1)

폐지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e-스포츠 대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e-스포츠 대상

SK telecom T1 K[49]

이상혁
(SK telecom T1)

폐지[50]

2016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MVP

결승 MVP 출범[51]

이상혁
(SK telecom T1)

이재완
(SK telecom T1)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MVP

장경환
(SK telecom T1)

이상혁
(SK telecom T1)

박재혁
(Samsung Galaxy)[52]

The Game Awards 2017 최고의 e스포츠 선수

Marcelo David
(SK Gaming)

이상혁
(SK telecom T1)

Dominique McLean
(Echo Fox)

e-스포츠 명예의 전당

2018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2019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2020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히어로즈

LCK All-Pro Team 선정

2020 LCK SPRING 3RD TEAM

2022 LCK SPRING 1ST TEAM

2022 LCK SUMMER 2ND TEAM

LCK 어워드 선정

2021 LCK 어워드 카카오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 상

4. 평가[편집]

LoL e스포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이자 역대 최고의 미드 라이너. 농구에 마이클 조던이 있고, 야구에 베이브 루스가 있고, 축구에 펠레가 있다면 LoL e스포츠에는 페이커가 있다.

  • 2013년 16세의 나이에 데뷔해 2022년까지 현역으로 뛰고 있는 2세대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 2015 서머, 2015 월즈, 2016 스프링, 2016 MSI까지[53] 라이엇 게임즈 주관 공식 대회[54]를 기준으로 논-켈린더 및 커리어 그랜드슬램이라는 대업을 이룩하였으며, 이는 지금까지 단일 선수 혹은 페이커와 같이 동료로 있었던 소수 인원 밖에 기록하지 못했다.[55]

  • 전 세계 e스포츠 역사상 가장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선수이자 리그 오브 레전드와 LCK의 상징[56]

  • T1의 유일한 원 클럽 맨이자 프랜차이즈 간판 스타[57]

  • 월즈 3회 우승, MSI 2회 우승, LCK 10회 우승이라는 커리어.


전 세계 선수들과 리그 오브 레전드와 관련된 해설진 및 캐스터진 그리고 자국 리그인 LCK 관계자들에게도 평판이 매우 높다.[58]

  • 게임 해설가 김동준의 언급처럼 단 한 번도 자신의 실력에 대해서 자기 입으로 뽐낸 적은 없지만 이후 다른 사람이 내린 평가를 통해 역사상 최고 미드 라이너이자 역대 최고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로 불리게 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 수 있다.[59]

  • 과거 LCK 1세대 프로게이머 선수였던 클템은 한 인터뷰에서 아예 페이커를 역대 최고 미드 라이너에서 배제하는 전문가가 만약 있다면 그 사람은 전문가 타이틀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언급했고[60] 지금까지 큰 무대에서 줄곧 증명해온 페이커에 대해 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 강승현 해설, 전 세계 리그 오브 레전드와 관련된 각 지역별 스타 플레이어를 비롯한 수많은 현역 선수들, 역사를 쓴 전설들 및 패널들을 포함한 각종 롤 관계자들, 특히 한국 e스포츠 분야에서 높은 관록을 지닌 전용준과 성승헌 캐스터 및 스타크래프트계의 전설적인 인물인 강민 역시 LCK에서 해설가로 활동했던 시절에는 앞선 이들과 비슷하게 역시 해설 도중 탄성을 자아내거나 좋은 평가가 포함된 언급을 아직도 하고 있다.

  • 과거 한국 롤판의 슈퍼스타 계보를 논할 때 LCK 초창기 시절 롤판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매드라이프[61]의 뒤를 이어 그 이상의 퍼포먼스를 자아내며 세계적인 일약 슈퍼스타가 되었으며, 이후부터 오랜 시간 동안 3대 슈퍼스타에게 그 지위를 물려주지 않고 있다.


특히 페이커는 아직까지도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가고 있으며, 커리어상으로 서로 비교가 가능한 인물로는 T1의 초창기부터 페이커와 같은 팀으로 2016 시즌까지 활동했던 주전 파트너 정글러 벵기와 2019 시즌까지 페이커와 함께했던 김정균뿐이다. 물론 2018 시즌을 주요 분기점으로 LCK가 주춤하면서 더샤이, 루키, 도인비, 우지, 캡스, 퍽즈 등과 같은 LPL과 LEC를 비롯한 메이저 지역에서 뛰어난 포스를 뿜어내며 막강한 인기를 구가함과 동시에 엄청난 커리어를 쌓는 선수들이 다수 생겨났고, 국내 리그나 혹은 해외 리그로부터 계속해서 거론되는 국적을 막론한 여러 신인 선수들이 대거 등장하고 있고, 이외에도 이전 세대 프로게이머들 역시 많이 있어왔음에도 그 이상의 족적을 쌓아나가고 있는 선수라는 점이다.

2020년 2월 18일에는 3년 재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파트 오너 계약을 통해 T1의 지분을 일부 받게 되면서 프로게이머 은퇴 시 회사 임원 자격으로 경영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선수 은퇴 이후부터는 T1의 지도자가 되기로 합의했다. ESPN 기사 네이버 뉴스 이를 통해 이제 페이커는 팀 창단에 결정적인 초석 역할을 맡았던 임요환의 뒤를 이어 T1의 평생 레전드로 남게 되었으며, 프로 생활 시작부터 지속적으로 T1의 일원으로 남아있는 상태이며 큰 이변이 없는 이상 앞으로도 쭉 남아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말 그대로 T1 그 자체라고 봐도 크게 이상하지 않을 정도이다.[62][63]

또한 앞서 언급된 임요환을 비롯하여 스타크래프트 게이머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브루드 워 e스포츠 명예 전당 헌액자들, 워크래프트 3의 장재호, 카트라이더의 문호준, 철권계의 '무릎' 배재민,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출신의 리치 등의 선수들과 더불어 한국 e스포츠계의 전설 중 한명이다.

라이엇 게임즈에서도 전성기가 지난 2020년까지 페이커를 최고 수준으로 치는데, 2020 월즈 주제곡인 Take Over 공식 MV에서도 다른 우승자 출신 선수들이 모두 주인공이 꺾고 올라가야 할 대상으로 그려진 반면 페이커는 주인공에게 처음 토큰을 던져주고 주인공이 페이커 해외 팬 별명인 "The Demon King (大魔王)"이란 간판이 달린 장소로 들어서게 한다. 이어 페이커는 게임에서 계속 패배하는 주인공에게 계속 기회를 제공하며 지켜보는 세계관 최강자급 역으로 등장했다. 영상에선 3분 45초 동안 6번이나 등장하고, 아웃트로 또한 페이커가 모바일 기기로 그를 지켜보는 장면으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원래는 직전 시즌 우승팀 및 선수에게 스포트라이트가 더 많이 쏠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64] 전 시즌 우승자인 티안의 리 신보다도 훨씬 자주 등장함으로서 사실상 "페이커 헌정 영상 아니냐"는 말이 나와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였다.[65] 그리고 2021년 Burn It All Down 뮤비에서도, 전 시즌 월즈에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Eternal King of The LCK"[66]라는 칭호와 함께 초반부에 등장했다.

2022년에는 칭티안 페이커 솔로랭크 트롤링 사건에서의 발언으로 순식간에 많은 프로게이머 동료들의 동조와 트롤링을 저지른 선수 및 게임단 측의 빠른 피드백이 나오면서 선한 영향력에 대한 재평가를 받았고, 그 영향력 또한 엄청나다는 사실을 재각인시켰다.

5. 솔로 랭크[편집]

계정

시즌

최고

최종

SKT T1 Faker[67]

2012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다이아몬드[68]

다이아몬드[2위]

2013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챌린저

챌린저[1위]

2014

챌린저

챌린저[2위]

2015

챌린저

다이아몬드 1[월즈]

Hide on bush

2013

챌린저

다이아몬드

2014

챌린저

챌린저

2015

챌린저

다이아몬드 2[월즈]

2016

챌린저

다이아몬드 2[월즈]

2017

챌린저

다이아몬드 1[월즈]

2018

챌린저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마스터[휴가]

2019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챌린저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그랜드 마스터[월즈]

2020

챌린저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마스터[휴가]

2021

챌린저

마스터[월즈]

2022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챌린저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다이아 [월즈]


월별 순위 (2012.07~2022.09)

년월

소환사명

순위

티어

승률

2012.07.

고전파

26

2327

169

104

61.90%

2012.08.

고전파

6

2433

233

157

59.74%

2012.09.

고전파

8

2502

245

165

59.76%

2012.10.

고전파

4

2595

257

169

60.33%

2012.11.

고전파

2

2704

277

178

60.88%

2012.12.

고전파

1

2536

57

27

67.86%

2013.01.

고전파

1

2583

61

27

69.32%

2013.02.

-

-

-

-

-

-

2013.03.

SKT T1 Faker

38

챌린저 107LP

156

-

-

2013.04.

SKT T1 Faker

21

챌린저 401LP

181

-

-

2013.05.

SKT T1 Faker

13

챌린저 555LP

210

-

-

2013.06.

SKT T1 Faker

15

챌린저 497LP

281

-

-

2013.07.

SKT T1 Faker

4

챌린저 876LP

-

-

-

2013.08.

SKT T1 Faker

2

챌린저 919LP

362

-

-

2013.09.

SKT T1 Faker

315

다이아몬드 I 75LP

364

272

57.23%

2013.10.

SKT T1 Faker

28

챌린저 281LP

397

296

57.29%

2013.11.

SKT T1 Faker

1

챌린저 886LP

431

315

57.77%

2013.12.

SKT T1 Faker

4

챌린저 901LP

472

358

56.87%

2014.01.

SKT T1 Faker

199

챌린저 0LP

31

16

65.96%

2014.02.

SKT T1 Faker

4

챌린저 889LP

109

62

63.74%

2014.03.

SKT T1 Faker

1

챌린저 1121LP

149

80

65.07%

2014.04.

SKT T1 Faker

1

챌린저 1119LP

158

87

64.49%

2014.05.

Hide on bush

68

챌린저 528LP

219

159

57.94%

2014.06.

Hide on bush

21

챌린저 694LP

332

263

55.80%

2014.07.

Hide on bush

3

챌린저 974LP

412

326

55.83%

2014.08.

SKT T1 Faker

22

챌린저 711LP

327

231

58.60%

2014.09.

SKT T1 Faker

2

챌린저 1176LP

369

260

58.66%

2014.10.

SKT T1 Faker

2

챌린저 1211LP

370

263

58.45%

2014.11.

SKT T1 Faker

2

챌린저 1182LP

380

269

58.55%

2014.12.

Hide on bush

3

챌린저 1135LP

693

592

53.93%

2015.01.

SKT T1 Faker

2

챌린저 8LP

43

22

66.15%

2015.02.

SKT T1 Faker

1

챌린저 1251LP

151

104

59.22%

2015.03.

SKT T1 Faker

8

챌린저 1049LP

271

226

54.53%

2015.04.

SKT T1 Faker

1

챌린저 1309LP

325

257

55.84%

2015.05.

SKT T1 Faker

1

챌린저 1259LP

325

257

55.84%

2015.06.

Hide on bush

4

챌린저 1228LP

233

137

62.97%

2015.07.

Hide on bush

3

챌린저 1187LP

233

140

62.47%

2015.08.

SKT T1 Faker

2

챌린저 1251LP

519

426

54.92%

2015.09.

SKT T1 Faker

3

챌린저 1244LP

521

427

54.96%

2015.10.

SKT T1 Faker

1454

다이아몬드 I 25LP

521

427

54.96%

2015.11.

SKT T1 Faker

1604

다이아몬드 I 100LP

532

436

54.96%

2015.12.

SKT T1 Faker

1

챌린저 1290LP

634

520

54.94%

2016.01.

Hide on bush

403

다이아몬드 I 90LP

33

17

66.00%

2016.02.

Hide on bush

126

챌린저 505LP

96

79

54.86%

2016.03.

Hide on bush

18

챌린저 899LP

210

164

56.15%

2016.04.

Hide on bush

14

챌린저 1012LP

281

222

55.86%

2016.05.

Hide on bush

297

마스터 447LP

324

256

55.86%

2016.06.

Hide on bush

749

마스터 76LP

383

332

53.57%

2016.07.

Hide on bush

80

챌린저 767LP

447

368

54.85%

2016.08.

Hide on bush

64

챌린저 786LP

478

397

54.63%

2016.09.

Hide on bush

78

챌린저 637LP

538

453

54.29%

2016.10.

Hide on bush

1684

다이아몬드 I 25LP

538

453

54.29%

2016.11.

Hide on bush

2421

다이아몬드 II 92LP

540

457

54.16%

2016.12.

Hide on bush

64

챌린저 505LP

-

-

-

2017.01.

Hide on bush

53

챌린저 643LP

-

-

-

2017.02.

Hide on bush

28

챌린저 777LP

-

-

-

2017.03.

Hide on bush

100

챌린저 574LP

-

-

-

2017.04.

Hide on bush

116

챌린저 530LP

-

-

-

2017.05.

Hide on bush

472

마스터 127LP

-

-

-

2017.06.

Hide on bush

151

챌린저 422LP

-

-

-

2017.07.

Hide on bush

49

챌린저 695LP

-

-

-

2017.08.

Hide on bush

45

챌린저 744LP

-

-

-

2017.09.

Hide on bush

6

챌린저 1163LP

878

785

52.80%

2017.10.

Hide on bush

394

마스터 115LP

892

795

52.87%

2017.11.

Hide on bush

1128

다이아몬드 I 50LP

895

799

52.83%

2017.12.

Hide on bush

116

챌린저 578LP

1010

932

52.01%

2018.01.

Hide on bush

259

마스터 144LP

51

39

56.67%

2018.02.

Hide on bush

86

챌린저 576LP

94

75

55.62%

2018.03.

Hide on bush

52

챌린저 785LP

248

211

54.03%

2018.04.

Hide on bush

82

챌린저 680LP

322

284

53.14%

2018.05.

Hide on bush

7

챌린저 1006LP

467

416

52.89%

2018.06.

Hide on bush

3

챌린저 1216LP

549

477

53.51%

2018.07.

Hide on bush

5

챌린저 1134LP

714

631

53.09%

2018.08.

Hide on bush

9

챌린저 1015LP

721

638

53.05%

2018.09.

Hide on bush

17

챌린저 864LP

775

698

52.61%

2018.10.

Hide on bush

277

마스터 275LP

-

-

-

2018.11.

Hide on bush

202

마스터 473LP

-

-

-

2018.12.

Hide on bush

60

챌린저 649LP

-

-

-

2019.01.

Hide on bush

-

다이아몬드 I 54LP

-

-

-

2019.02.

Hide on bush

386

그랜드마스터 354LP

-

-

-

2019.03.

Hide on bush

597

그랜드마스터 157LP

-

-

-

2019.04.

Hide on bush

85

챌린저 681LP

184

188

49.46%

2019.05.

Hide on bush

499

그랜드마스터 459LP

-

-

-

2019.06.

Hide on bush

198

챌린저 707LP

240

246

49.38%

2019.07.

Hide on bush

124

챌린저 837LP

-

-

-

2019.08.

Hide on bush

63

챌린저 966LP

429

431

49.88%

2019.09.

Hide on bush

4

챌린저 1340LP

-

-

-

2019.10.

Hide on bush

-

다이아몬드 I 50LP

-

-

-

2019.11.

Hide on bush

513

그랜드마스터 570LP

-

-

-

2019.12.

Hide on bush

65

챌린저 1110LP

623

611

50.49%

2020.01.

Hide on bush

1177

다이아몬드 I 91LP

24

26

48.00%

2020.02.

Hide on bush

1387

마스터 10LP

75

80

48.39%

2020.03.

Hide on bush

391

그랜드마스터 466LP

-

-

-

2020.04.

Hide on bush

350

그랜드마스터 582LP

209

190

52.38%

2020.05.

Hide on bush

132

챌린저 901LP

275

242

53.19%

2020.06.

Hide on bush

103

챌린저 895LP

301

265

53.18%

2020.07.

Hide on bush

84

챌린저 918LP

380

338

52.92%

2020.08.

Hide on bush

407

그랜드마스터 571LP

-

-

-

2020.09.

Hide on bush

777

그랜드마스터 370LP

-

-

-

2020.10.

Hide on bush

897

그랜드마스터 391LP

-

-

-

2020.11.

Hide on bush

1567

마스터 169LP

579

575

50.17%

2020.12.

Hide on bush

559

그랜드마스터 631LP

-

-

-

2021.01.

Hide on bush

320

마스터 162LP

-

-

-

2021.02.

Hide on bush

386

그랜드마스터 378LP

211

189

52.75%

2021.03.

Hide on bush

426

그랜드마스터 457LP

-

-

-

2021.04.

Hide on bush

719

그랜드마스터 342LP

-

-

-

2021.05.

Hide on bush

335

그랜드마스터 681LP

400

360

52.63%

2021.06.

Hide on bush

200

챌린저 868LP

-

-

-

2021.07.

Hide on bush

599

그랜드마스터 573LP

-

-

-

2021.08.

Hide on bush

466

그랜드마스터 634LP

-

-

-

2021.09.

Hide on bush

286

챌린저 750LP

-

-

-

2021.10.

Hide on bush

-

다이아몬드 I 50LP

-

-

-

2021.11.

Hide on bush

1309

마스터 351LP

-

-

-

2021.12.

Hide on bush

226

챌린저 924LP

-

-

-

2022.01.

Hide on bush

184

그랜드마스터 403LP

-

-

-

2022.02.

Hide on bush

146

챌린저 622LP

-

-

-

2022.03.

Hide on bush

235

챌린저 627LP

184

164

52.87%

2022.04.

Hide on bush

160

챌린저 721LP

-

-

-

2022.05.

Hide on bush

142

챌린저 941LP

-

-

-

2022.06.

Hide on bush

123

챌린저 1002LP

-

-

-

2022.07.

Hide on bush

70

챌린저 1097LP

-

-

-

2022.08.

Hide on bush

188

챌린저 900LP

-

-

-

2022.09.

Hide on bush

128

챌린저 970LP

524

465

52.98%

2022.10.

Hide on bush

8175

다이아몬드 I 75LP

524

465

52.98%

데뷔 전부터 솔랭 패왕으로 유명했고 한동안 최상위권을 달렸으나 위 랭크 괄호에 적혀있듯이 월즈 출전 시즌에는 일정을 소화하느라 휴면 강등을 당해서 솔랭 상위권을 기대하긴 힘들다.

시즌 2부터 본격적으로 솔로 랭크에서 유명세를 탔으며, 최종 2위로 마무리했다. 원래 당시 솔로 랭크는 라일락과 건웅이 지배하고 있었다. 이 때 페이커가 급격히 떠오르며 최상위권을 유지했고, 한 때 1위를 찍기도 했다. 시즌 말미에 라일락과 마지막까지 접전을 벌였지만 결국 라일락이 1위를 차지했다.

시즌 3때는 한국 서버 1위를 달성했다. 시즌 내내 앰비션, 썸데이 등과 함께 최상위권을 유지했고 가장 유력한 1위 후보였다. 월즈를 다녀오느라 휴면 강등당했으나, 지금과 달리 이때는 월즈 개막이 한 달 정도 빨랐기 때문에 갔다오고 나서도 빡세게 돌리면 다시 올릴 시간이 되었다. 다만 세기말 마지막 게임에서 도파[81]가 페이커를 밀어준 일이 있었다. 당시 페이커와 도파가 적으로 만났는데, 페이커가 승리하면 썸데이를 제치고 최종 1위를 달성할 수 있었다. 그런데 도파 쪽 팀이 유리한 상황으로 흘러가 썸데이의 1위가 유력해졌는데, 잘 큰 도파가 '미드 라이너가 1위를 해야 한다'는 해괴한 동기로 고의 트롤링을 해서 페이커가 1위가 된 것.[82] 썸데이는 이 결과를 실시간으로 지켜본 뒤 크게 분노하며 '압도개새기'라는 외마디를 남겼다. 썸데이는 곧바로 1위 탈환을 위해 급하게 랭겜을 돌렸으나, 1시간이 넘게 큐가 잡히지 않아 결국 끝내 게임을 못해 페이커의 1위가 최종 확정되었다. 고의적인 밀어주기로 1위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당시 상당한 화젯거리였으며 롤을 즐기는 플레이어들에게는 유명한 사건으로 남았다.

시즌 4 시작 후 치러진 배치 고사를 3승 7패로 시원하게 말아먹었다. 같은 팀원들이 "이럴 때 아니면 언제 페이커를 엿 먹여보겠나"라는 생각으로 게임을 던졌다고 한다. 물론 상대편도 '이럴 때 아니면 언제 페이커를 이겨보겠나' 하고 열심히 게임했다. 그리하여 플래티넘 1에 배치되는 놀라운 광경을 보여주었다.[83] 그리고 45게임 만에 챌린저에 입성했다. 이후엔 1위를 계속 유지하다가 막판 나그네의 엄청난 연승에 아쉽게 밀려 2위로 마쳤다. 데프트가 한때 무려 17주 연속 1위를 달성하기도 하고 페이커도 1위 후보였으나, 세기말에 나그네가 상승세를 타서 1위에 올랐다.

시즌 5는 다이아몬드로 마쳤다. 한때는 챌린저 1,325점까지 찍고, 뱅과 함께 1위~4위를 독점해서 사실상 뱅과 누가누가 솔랭 1등을 하나 싸움이었다. 그런데 월즈 때문에 랭을 돌리지 못한 사이 다이아 2티어 75포인트까지 휴면 강등되어버렸다. 이후 한국으로 복귀해서 다이아 1티어(마스터 승격전)까지 올렸으나, 결국 다이아 1티어로 시즌을 마감했다. 그런데 이때 월즈 종료 시점과 시즌 종료 텀이 너무 짧아서, 돌아오자마자 솔랭만 밤낮으로 돌리지 않는 이상 1위 탈환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했다. 거기다가 연이어서 케스파컵까지 열려서 더더욱 불가능한 미션이었다. 또한 매칭 기준 MMR은 변동이 없어서 매칭도 잘 안 되고 자신은 다이아 승급전인데 나머지가 죄다 챌린저라는 억울한 상황이라 더더욱 그렇다. 사실 1,325점까지 찍었던 시기도 이때 최초 챌린저 1,300점대 돌파를 했었는데, 그해 MSI를 갔다오는 바람에 천 점대로 한 번 하락했다.

이후 프리시즌에 기어코 본캐 1등, 부캐 4등으로 마무리했다. 재밌게도 이날 프리시즌 종료 마지막 날까지 프레이와의 계속된 1위 경쟁이 치열했는데, 시즌이 종료되기 전 마지막 게임에서 1위를 탈환하려는 프레이(2위)와 부캐를 돌리고 있던 페이커가 만났고(4위), 페이커 팀이 패배했다. 그렇게 프레이가 1등을 하나 싶었는데...

시즌 6 들어선 다인 랭크가 도입돼서 다인큐가 판을 치는 상황이라 서버 최상위권에 쉽게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페이커 본인은 다인큐보다는 솔큐를 훨씬 선호하기 때문에 시즌 초 다인큐를 몇번 돌린거 이외에는 전부 솔큐로만 돌리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결국 최대 1,209점까지 찍으며 상위 5위권 안에 들었지만, MSI를 갔다 오는 바람에 휴면 계정이 되어서 다시 한 번 다이아까지 떨어졌다. 다시 챌린저로 올렸으나, 계속된 패배 속에 마스터 69점까지 떨어지는 사태가 발생했다. 팀원 탓, 불운 탓 등 이에 대한 이유로 여러 말들이 나왔으나, 일단 1지망 미드, 2지망 상관없음으로 랭겜을 돌리면 서포터 유저 부족 때문에 본인이 서포터가 걸리는 상황이 대부분이었다. 거기다 본인 성격상 미드 양보 해달라는 채팅은 거의 안 하다 보니 서포터로 게임하는 판이 많았다. 참고로 페이커뿐 아니라 SKT 멤버들 전원이 이 당시에는 마스터를 전전하고 있었다. 이때 진지하게 다이아 미드를 방송에서 보게 되느냐는 소리도 나왔으나, 1지망 미드 - 2지망 정글(탑)으로 바꾼 뒤, 다시 한 번 챌린저로 복귀하는 데 성공했다.

월즈를 앞둔 시점에서 랭크 점수를 보면 폼이 떨어진 것이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로 좋지 않았다. 다만 랭크 점수에는 페이커의 즐겜 성향도 한몫했다. 이 문단에 서술된 캡틴잭과의 일화도 있고 다른 챌린저들 중에도 페이커에 대한 안 좋은 기억을 갖고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들 말에 따르면 페이커는 나랑 같은편으로 걸리면 즐겜해서 지게 만들고 그 다음판에 상대편으로 만나면 빡겜해서 2연패하게 만든다고. 그러나 솔랭은 솔랭일 뿐이란 걸 증명하듯 귀신같이 월즈를 우승하고 그 와중에 북미 솔랭을 씹어먹으며 클래스를 입증했다. 특히 라이즈는 리메이크 후로도 26게임 승률 85%를 찍고 있다. 덕분에 고전파의 신드라와 월즈의 라이즈는 게임마다 칼밴 목록에서 해제되지 않았다.

시즌 7에는 1,215점까지 올라갔었으나 이후 월즈로 인해 다이아 1 25점까지 휴면 강등되고 월즈가 끝나고 한국으로 돌아온 후에는 피즈 1판을 플레이한 후 승리로 끝내 다이아 1 50점으로 시즌이 마감되었다.

그리고 시즌 8 6월 14일 기준으로 랭킹 1위를 달성했다.

시즌 9에서는 다이아에서 첼린저 및 서버 3등 이내까지 달성하였으나 결국 최종적으로 그랜드 마스터로 시즌이 마감되었다.

시즌 10 배치가 아쉽게 끝나며 다이아몬드에 배치되는 충격적인 결과가 발생했다. 스프링 종료까지 그랜드 마스터를 유지하다가 휴가 복귀 후 파죽의 13연승으로 챌린저 입성에 성공했다. 10월 15일 기준 휴가로 인해 휴면 강등되었으나 다시 그랜드 마스터까지 복구했다.

그러나 2020년 11월 5일, 솔로 랭크 마감일이 4일 남은 상황에서 챌린저는 무리고 잘해야 그랜드 마스터, 또는 마스터로 시즌을 마감할 가능성이 높다.

페이커는 노닷지, 노듀오, 노밴의 세 가지 규칙을 솔랭에서 유지해오고 있고[84] 같은 팀으로 잡힌 사람들은 본인이 지정한 라인과 다르게 잡혀도 페이커와 게임을 같이 하기 위해 닷지를 하지 않고, 보통 페이커가 솔랭을 할 시간에는 거진 방송을 킨 경우가 많기에 은근슬쩍 도방을 하거나 아예 듀오로 저격을 하거나 저격 트롤을 하는 사람들도 많이 존재한다. 2021년에 들어서는 방송을 켰을 때 방플 방지를 목적으로 송출에 30초 정도 딜레이가 있다.

시즌 11 시작 전에 라이엇이 마스터 이상 듀오 제한을 걸면서 좀 나아지나 싶었지만, 방송과 동시에 부계정 저격으로 의심되는 사람들과 서로 싸우고 고의 트롤을 하는 중국인들로 인해 피해는 여전히 일부 존재한다. 여담으로 페이커와 같이 게임을 잡힌 고의 트롤 혹은 게임을 던지는 행동이 고스란히 방송에 나와서 페이커가 직접 리폿을 한 계정들이 정지 한 번 먹지 않고 돌아다니고 있는걸 보고 라이엇의 신고 정책에 신뢰가 가지 않는다며 본인이 직접 말하기까지 하였다.[85] 실제로 중국에서 페이커 솔랭 방송의 승패 여부를 베팅하는 토토 사이트가 발견이 되어서 고의 트롤러가 이에 연계된 세력이 아닐까 하고 팬덤 사이에서 의심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이슈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기사에도 언급될 때쯤 거짓말처럼 팀운이 좋아졌다.[86]

게다가 라이엇이 2020년 12월 말부터 솔랭 불법 토토를 계기로 중국에서 한국 서버를 이용할때 핑 문제를 해결하는 비인가 프로그램을 차단하고 불법 도용 계정들을 전부 차단하는 정책을 펼쳤었는데 2021년 5월이 지난 지금 여전히 그마 혹은 챌린저에 중국인들로 추정되는 계정들이 다수 포진되어있는 걸로 보아 추가적인 조치는 하지 않은걸로 추정 중.

그러나 참여자가 조작이 가능한 도박이 지속될 가능성은 0에 가깝기 때문에 여러 의견이 오가기도 했다. 도유 방송에서 중국인이 페이커에게 고의 트롤을 저지르고 난 너희들의 영웅이다라는 식의 의심스러운 대화가 오갔던 사건도 있지만 결정적으로 이런 것들은 모두 심증이었으나... 국내 챌린저와 프로게이머를 대상으로 소위 현상금이 걸리는 대리게임 기사들의 카카오톡이 유출되었고, 이로서 조직적으로 특정인을 저격해 트롤링을 하며 수익을 올리는 업자들이 존재함을 밝혀졌다. 한낱 스트리머, BJ에게 개인적 원한따위의 하찮은 것만으로도 특정인의 아이디를 조직적으로 점수를 깎아내는것이 가능하다는것이 알려지면서 중국인의 페이커 고의트롤링은 거의 100% 사실에 가깝다고 밝혀진 상태. 해당 링크.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종료 이후, 롤드컵 패치 버전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던 벡스로의 연승을 필두로 랭크를 1100점까지 끌어올리며, 실로 오랜만에[87] 프리 시즌을 챌린저로 마무리하게 되었다.

6. 개인 방송[편집]

  자세한 내용은 이상혁/개인 방송 문서

의 번 문단을

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별명[편집]

  자세한 내용은 이상혁/별명 문서

의 번 문단을

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토론 합의사항

[ 펼치기 · 접기 ]

  • 논란 및 사건 사고 문단을 유지하고, 문단명을 변경하지 않는다.

  • 아래 서술 방향을 유지한다.

  • 추가 서술은 논쟁이 심화되지 않는 방향으로, 관련 커뮤니티 링크가 있을 때에만 허용한다.

  • 볼드 문법을 금지한다.

8.1. 2021 롤드컵 4강 관련 발언[편집]

2021 롤드컵 4강에서 탈락한 다음 참여한 인터뷰에서 "결승에는 관심이 없다"는 발언을 하여 리그 오브 레전드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되었다.

Q. 두 분이서 세 번 월즈 우승을 함께했고, 아직도 연락을 주고받으며 좋은 관계라고 짐작이 가는데요.
오늘 승자가 월즈 네 번째 타이틀에 도전할 수 있는 매치였는데, 김정균 감독님이 승리를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두 분의 관계는 어떤지, 그리고 비록 4강전에서는 아쉽게 패배했지만 결승에서 응원을 보내주실 건지 궁금합니다.

A. 최근 몇 년간은 헤어지고 나서 서로 바쁘다 보니까 크게 연락을 하거나 가까이 지내지는 않았지만,
한편으로는 서로 잘 되기를 바라고 있고 이번 월즈에서 우승해서 4회 우승을 하신다면 굉장히 또 축하해 드릴 거고,
사실 결승전은 별로 관심이 없어서 누가 이기든지 상관은 없을 것 같습니다.

뒤의 결승전은 별로 관심이 없어서 누가 이기든지 상관은 없을 것 같다는 발언에 대해 리그 오브 레전드 갤러리, 인벤에서는 '공식 석상에서 결승전에 관심이 없다는 말을 해도 되는 건가'라는 주장과 함께 선수에 대한 존중과 스포츠맨십이 부족하다며 페이커를 비판하는 의견이 나왔다.

하지만 에펨코리아, 더쿠와 같은 다른 커뮤니티에서는 해당 발언이 왜 논란거리가 되는지조차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반응과 함께 다음과 같은 근거로 해당 내용들에 대해 반박하는 글들이 우후죽순으로 쏟아지게 되었다.

  • 해당 발언에 다른 선수와 팀에 대한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비하 내지는 비난, 무시 등이 있지 않았고, 따라서 존중과 스포츠맨십이 부족하다고 보기 힘들다는 점.

  • 만약 정말로 문제가 되는 발언이었다면 현장의 상대팀 선수 및 관계자, 혹은 기자가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거나 해당 논란에 대한 기사가 나왔겠지만 화제가 되고 난 이후 관련 내용에 대한 기사가 단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는 점.

  • 기자가 '4강전에서 아쉽게 패배했지만 결승에서 응원을 보내주실 것인지'라는 질문을 하였기에 페이커 선수는 김정균 감독의 우승을 축하해줄 의사를 표현한 것은 물론, 결승전에 관한 질문이 나왔기 때문에 뜬금없는 맥락에서 굳이 하지 말아야 할 말을 덧붙인 것이 아닌 질문에 대한 답변의 일부였다는 점.

  • 페이커와 비슷하게 큐베, 더샤이와 같은 다른 선수들도 공사와 관계없이 결승전은 물론 경기에 대해 직접적인 무관심을 표출한 적이 있었음에도 페이커만 논란이 되었다는 점.

  • 결승 상대인 담원과 EDG 둘 다 페이커와 접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특정 팀을 콕 집어서 응원하게 된다면 이거야 말로 또다른 논란거리가 될 수도 있었다는 점. 담원과 같은 리그의 우승팀이면서 LCK 서머 결승과 롤드컵 4강에서 자신의 팀을 꺾은 경쟁자라 EDG를 응원했다면 자신을 탈락시켜서 속좁게 구는 거냐는 논란이, EDG는 주전 미드인 스카웃이 과거 같은 팀 소속 막내였기 때문에 담원을 응원했다면 한솥밥 먹던 식구는 무시하냐는 논란으로도 이어질 수 있었던 가불기인 상황.


한편 한 기사에 따르면 LPL 호스트인 웬디는 4강전 비하인드로 페이커가 경기 패배 후 김정균 감독을 기다렸다가 축하의 인사를 건냈다고 전했고, 안수민 기자는 "이상혁이 4강 경기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한 발언을 바탕으로 소수의 팬들이 각종 커뮤니티에서 만든 '상대 팀에 대한 존중 부족'이라는 화젯거리와는 많이 상반되는 이야기다"라며 해당 논란을 기사에서 처음 언급하였다.

8.2. 솔로랭크 중 일반인 유저에 대한 발언 관련[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일부 존치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일부 존치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2022년 4월 27일 솔로 랭크 방송중 # 팀의 한타 승리 이후 바론을 먹는 상황에서 정글러의 체력이 얼마 남지 않았고 상황이 긴박하므로 페이커는 바드가 바론의 딜을 맞아줘야 하는데 맞아주지 않는다고 "탱좀해 바드야", "진짜 밉.." 이라며 바드에게 핑을 찍기 시작했다.

결국 바론을 처치함과 동시에 바드가 베이가에게 잡히고 페이커의 벡스는 살아난 적팀 제라스의 궁에 사망한다. 그 뒤 페이커는 바드에게 핑을 6번 찍으며 "뭐하는 사람이지.", "어뷰징인가.", "리플 한번 봐야겠다.", "아까부터 너무 심한데? 왜저러지?", "나 쟤땜에 너무 스트레스 받는데?" "나 진짜 저런 애들 혐오하거든요." 라는 발언을 연속으로 내뱉었고, 결국 방송을 보던 일부 악질 팬들이 대량으로 몰려가 성훈의 방송 채팅창, 유튜브 댓글을 테러하기 시작했다.

동시에 사이버 렉카들이 챌린저 실력에 맞지 않는 어뷰징 유저로 단정하는 영상들을 잇달아 업로드하며 방송 채팅, 유튜브 댓글창에서 일색적인 비난이 일었다. 규모가 작은 방송인 입장에선 감당하지 못할 일방적인 비난이 쏟아져 결국 성훈은 방송에서 죄송하다는 말을 했다. 방송에서 성훈은 당시 할아버지의 장례식을 치룬 상황이라 정신이 없어서 그랬다며 사과를 하고 일단락 지었다.

이후 다음 판에서 페이커가 성훈에게 패배하였고, 해당 게임에서 성훈의 행적은 어뷰징으로 보기 어려웠던 만큼 이 시점부터 성훈의 무고함은 증명되었고 렉카들은 영상을 내리기 바빴다.

당시 T1은 2022 LCK 스프링 전승 우승이라는 쾌거를 이뤘기 때문에 롤 팬덤판의 특징상 대다수의 T1 팬들이 각종 커뮤니티를 소위 '먹은' 상태였기 때문에 해당 사건을 언급하는 글들은 크게 문제되지 않고 묻혀 논란이 커지지 못했다. 하지만 2022 MSI에서 T1이 RNG에게 패배하며 우승에 실패하자 T1 팬들을 밀어내고 타팀 팬덤이나 T1의 안티팬들이 몇몇 커뮤니티에서 목소리를 내자 해당 사건이 다시 논란이 되기 시작했다.

페이커가 LOL E스포츠 판에서 가지는 영향력이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방송중에 한 비판 발언은 일반인 유저가 감당하기엔 너무 컸다는 주장이 있다.

이 사과 이후로 성훈은 유튜브 업로드를 중단했다가 다시 복귀했다.

8.2.1. 정말 성훈의 잘못인가?[편집]

내셔 남작의 패시브 스킬 중 하나인 '남작의 시선'은 내셔 남작 자신이 마지막으로 공격한 유닛에게서 8초동안 50% 감소한 피해를 입는 패시브 스킬이다. 바론 사냥시 이러한 패시브 때문에 DPS가 낮은 탱커나 서포터 챔피언이 바론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여 탱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당시 상황에서 살아남은 팀원은 4명이었고 탱커가 없었기 때문에 누구든 바론에게 맞는 한대 한대가 치명적이었으며, 바드 역시 탱템이 아니라 만년서리 등 AP 템을 올리는 빌드인데다가 체력이 절반 정도밖에 없었기 때문에 충분히 번갈아가면서 탱을 할만한 상황이었다.

심지어 바드가 바론에게 탱킹을 하러 들어가자 페이커가 빽핑을 찍어 바드에게 혼란을 주는데 바드가 페이커 방송을 보고 있는 것도 아니기에 백핑으로는 제대로 된 의사 전달을 받을 수 없으며, 그렇게 답답했으면 본인이 채팅으로 지시를 했으면 됐었지만 페이커는 백핑으로만 일관했다.

또한 당시 챔피언 조합 역시 바론을 그렇게 잘 잡는 조합도 아니었다. 벡스는 누킹 스타일의 챔피언이라 지속딜이 좋지 못하며 케이틀린도 챔피언 특성상 3~4 코어 이전에는 데미지 기댓값이 낮은 챔피언에 속한다. 거기에 가장 강한 탈론도 체력 관리가 안 된 상황이니 바론이 느린 것은 당연한 것이다.

물론 결과가 최악의 결과로 이어졌지만 바드의 선택이 어뷰징 취급을 받을정도로 근거없는 판단은 아니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2020년부터 페이커는 중국 내 불법 온라인 사이트에서 승패를 놓고 하는 도박으로 인하여 상당한 어뷰징 피해를 겪고 있었으며, 이 사건이 발생하기 전에도 어뷰징 유저들을 방송 내에서 자주 만나곤 했다. 이 때문에 시청자들 사이에서 '페문철'로 불릴 정도로 리플을 통한 어뷰징 검증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러한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페이커의 이번 발언이 특정 유저들로부터 강하게 비판을 받는 이유는 페이커의 행동으로 인해 일반인 유저가 팀 팬들에게 테러를 당하는 연쇄작용으로 이어져서다. 설령 자신의 입장에서 정말 바드를 플레이한 유저가 어뷰징으로 보일 수 있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는 의심 정도만 하고 게임 끝난 뒤 리폿을 하든 하는 것이 일종의 메뉴얼 같은 대처 방법이다. 솔로 랭크에서도 트롤링을 하는 유저에게 욕을 하게 되면 전후사정에 관계 없이 욕을 한 유저도 처벌을 받게 된다. 대다수의 유저들이 불필요한 감정싸움을 하지 않고 끝날 때까지 기다리다가 리폿 버튼만 누르는 방식으로 넘기는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다. 과거 LPL 프로 칭티안의 어뷰징 당시 라이엇 단위에서 빠른 일처리를 해주었을 정도로 페이커의 영향력은 높은데, 이것을 감안하지 않은 미숙한 언행이었다.

또한 기본적으로 솔로 랭크에서 만난 유저는 자신이 아는 사람이 아닌 이상 어떤 방식으로도 특정할 수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 솔로 랭크에서 룰루, 소나, 잔나가 모스트인 유저를 보고 여자라 특정하거나 "혜지" 라고 지칭하고 비난 채팅을 하는 것도 꽤나 오래된 관례처럼 굳어져버렸으나 최소한의 상식이 있다면 이게 근본적으로 잘못된 행동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다. 자신이 아는 사람도 아니고 그 날 처음 만난 사람을 상대로 행하는 차별적인 행동이기 때문이다.

작년 담원 기아의 고스트-베릴이 받았던 비판도 비슷한 맥락인데, 자신이 느끼기에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일반인을 상대로 솔로 랭크 유저들이나 할 법한 유틸형 서포터 관련 발언을 프로 선수가 했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실제로 대부분의 유저들은 순당무가 피해자라는 입장이었지만 일부는 도파의 서폿론을 근거로 하여 "유틸형 서포터는 원래보다 티어를 훨씬 낮게 평가하는 게 맞다" 는 의견을 유튜브 커뮤니티 댓글 등에서 밀면서 명백하게 피해를 입은 순당무에게 역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을 정도니, 그 역풍이 상당했던 것이다. 자신이 말했던 유저가 이미 솔로 랭크에서 악명이 자자했고 트롤링을 서슴지 않는 진짜 어뷰저였다면 페이커의 발언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을 것이다. 비판을 받을 만한 사람에게 정당한 비판을 가한 것이 무슨 문제가 되겠는가?

그러나 의심한 유저의 진짜 정체는 수많은 인터넷 방송인들처럼 똑같이 플레이를 하던, 별다른 구설수가 없었던 평범한 아마추어 챌린저 유저였고 이 순간 페이커의 발언 역시 정당성을 잃는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플레이가 맞냐 틀리냐에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명이 보는 앞에서 LOL의 GOAT라는 평가를 받는 선수가 타 유저가 어떤 유형인지 자세히 알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방송 중의 발언으로 무고한 피해자가 생기는 원인을 간접적으로 제공을 하였기 때문에 자신의 영향력을 생각하지 않고 조금 급하게 행동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하다못해 페이커보다 훨씬 커리어가 적은 고스트와 베릴의 발언에도 동조하는 유저가 있었을 정도였는데 하물며 페이커의 영향력은 더할 수 밖에 없으며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물론 이 사건의 가장 큰 가해자는 T1의 악성 팬덤과, 페이커나 T1이라는 이름값에서 나오는 조회수를 얻기 위해 자극적인 영상을 만든 사이버 렉카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건의 원인을 자신이 의도했든, 하지 않았든 페이커 본인이 제공한 것 역시 사실이다.

특히 바드 유저가 어뷰징 유저가 아닌 것이 밝혀진 시점에서 공식적이든, 비공식적이든 자신의 경솔한 발언에 대한 사과를 했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당장 상술된 고스트, 베릴도 사건이 발생한 이후 순당무에게 직접 진심어린 사과를 했는데, 페이커와 T1게임단은 해당 사건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것이 해당 사건의 논란을 더더욱 키우고 있는 이유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페이커가 게임에 임하는 태도를 조금이라도 적극적으로 바꾸어야 하지 않냐는 의견 역시 나왔다. 상술했듯 다급한 상황에서 채팅을 치려다 자제하고 핑이나 불평으로 대신하는 모습이 나왔는데, 이러한 소극적인 행동이 문제를 더 키운 것이라는 지적도 있기 때문이다.

페이커는 과거 '뭐하지', '이걸 말해줘야 됨?' 이라는, 어떻게 보면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분명히 채팅을 사용하곤 했으나, 가갈갱 밴 > 노밴과 더불어 채팅을 치지 않는 것을 프로로써의 의식으로 생각하기 때문인지는 불명이지만 현재는 채팅을 치지 않는 것을 고수하고 있다. 허나, 게임 플레이에 대해 반드시 필요한 말이 있다면 그것을 채팅으로 치지 않아 상황을 더 악화시킬 이유가 있냐는 것이다.

9. 여담[편집]

  자세한 내용은 이상혁/여담 문서

의 번 문단을

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페이커 엄마 연락 - peikeo eomma yeonlag


[1] #[2] # 39세손 相◯ 항렬. 동생 이상훈도 마찬가지로 相◯ 항렬을 쓴다. 이 때문에 그는 이건희 前 삼성 회장, 이재용 現 삼성 회장, 이재명 국회의원보다 항렬이 높다. 다만, 아버지 이경준은 항렬을 쓰지 않았다.[3] #[4] 어린 시절 부모님 이혼으로 인해 할머니와 고모 손에 자랐다. 현재도 할머니와는 같이 사는 중. 페이커의 할머니는 여러 분야의 회사를 다니다가 현재는 수필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생활문학 홍보담당 부회장 직책을 맡고 있다. 페이커와 함께 몇십년간 동고동락하며 얻은 추억을 담아낸 수필집을 출간하기도 했다. 재고가 상당히 적은 게 흠이지만 작품을 읽어본 사람들은 대체로 호평했다. # 이름으로 보아 안동 권씨 35세손 五◯ 항렬로 추정된다.[5] 2021년 다산북스에서 출판한 Who?에서는 이상빈이라는 가명으로 나온다. 과거 '페이커 동생'을 사칭하고 다니던 사람들 때문에 본명 명시로 인한 사칭 피해를 막기 위함인 것으로 추정.[6] 2학년 재학 중 중퇴. 고등학교 선생님이 페이커의 재능을 알아보고 중퇴를 제안했고 선생님이 아버지를 설득했다고 한다. 따라서 최종학력은 중졸이다.[7] 2021년 재계약을 할 당시에도 이미 장기대기로 인한 면제가 아니냐는 이야기가 많았다. 당시 입영연기가능일수 상한선에 다다른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1년이 아닌 1+1년 계약을 했기 때문이다. 이후 2022년 상반기부터 주변 선수들 및 관계자에 의해 장기대기로 인한 면제를 받았다는 거피셜이 나돌기 시작했고, 결정적으로 2022년 스토브리그 때 3년 재계약을 하면서 장기대기로 인한 전시근로역으로 편입되었음을 간접적으로 인증하였다.[8] 본인은 무종교이나 집안은 가톨릭을 믿는 걸로 추정된다. 해당 영상을 보면 본가에 십자가나 성모상 등의 천주교 관련 물건들이 보인다.[9] 前 imitational[10] 前 고전파, 前 SKT T1 Faker. SKT T1 Faker에서 휴면으로 인해 강제로 닉변을 당했다.[EUW] 2021 월즈 유럽 서버 슈퍼계정. 특별한 뜻이 없어 보이는 닉네임이지만 트위터에 FAKER를 역순으로 한 다음 영문자를 +5,+4...+1로 밀어내는 규칙이 있다는 추측성 글이 올라왔다. 즉 REKAF에서 R+5=W, E+4=I, K+3=N, A+2=C, F+1=G 참고 [NA] 2022 월즈 북미 서버 슈퍼계정.[13] Faker 경력 상금.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중 세계 1위이다.[14] SK telecom T1 K 단일팀 이전 (2013.02.13 ~ 2014.12.02) 통합 이전까지 SK telecom T1 #2, SK telecom T1, SK telecom T1 K까지, 총 3번의 팀명 변화가 있었다.[15] 1인 에이전시. 아버지 이경준이 직계존속 에이전트 자격으로 등록되어 있다.[16] 2022년 6월 11일 아프리카TV 복귀 공지. 아프리카TV를 떠난 지 약 9년 만에 복귀이다. T1 LoL팀은 아프리카TV와 전속 스트리밍 계약을 맺게 되어 T1 LoL 선수 전부가 아프리카TV로 플랫폼을 이적하게 되었다.#[17] 여담으로 메시 비유를 처음 쓴 것은 막눈이라고 한다. 현 시대와 각기 분야를 대표하는 아이콘이자 실력과 명성의 저명함은 물론이고, 게임 전체를 지배할 수 있는 크랙이자 다재다능한 실력을 가졌다는 점을 가지고 있으며, 팀의 상징이라는 점 역시 비슷하다. 메시 외에도 마이클 조던에 비유되기도 하고, 월즈 3회 우승자라는 점에서 월드컵 3회 우승을 달성한 펠레와 비유해서 e스포츠의 펠레라고 기사가 나기도 했다. 그리고 앞서 언급된 위대한 선수들을 제외한 다른 유명 스포츠 슈퍼스타에 비견되기도 했다.[18] 2014년도 시상식은 하지 않았고 15년부터 인기상으로 명칭 변경.[19] 총 세트 전적(단일+다전제)[20] IEM Worlds Championship[21] 2015년 스프링 결승 제외.[22] 참고로 IEM, WCG, 롤 마스터즈, 아시안 게임, KeSPA Cup은 라이엇 주관 대회가 아니다.[23] 월즈 3회 우승, MSI 2회 우승, 총 5회 우승 관련 기사, 2위는 4회 우승인 벵기, 뱅, 울프 [24] 2013, 2015, 2016 총 3회 우승, 벵기와 동률[25] 4대 메이저 지역을 기준으로 페이커 다음으로 우승한 선수로는 국내를 기준으로는 6번 우승한 칸과 5회 우승자인 벵기가 있고, 해외로 눈을 돌리면 LEC와 LCS 리그를 기준으로 각각 8회와 7회 우승을 기록한 퍽즈와 더블리프트가 있다.[26] 4대 메이저 리그 + MSI + Worlds(월즈, 롤드컵, 월드 챔피언십)[27]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Mid-Season Invitational, 리프트 라이벌즈,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의 경우에는 MSI의 전신격으로 펼쳐졌던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4/인비테이셔널[28] 링크. 2019년을 기준으로 공동 2위인 뱅, 울프와 20승 이상 차이가 난다.[29] 롤드컵 MVP, MSI MVP 둘다 받은 선수 페이커가 유일하다.[30] 중국 리그에서 우지, 루키가 LPL 2500킬을 달성했다.
마포고 듀오로 묶이는 데프트는 LPL에서 1000킬을, LCK에서 2000킬을 달성하였고, 이를 도합하여 통산 3000킬을 차지하였다.
[31] 최연소 기록은 자신의 포지션인 미드라이너와 동시에 LCK 전체로 따져도 최연소이기도 하다. 또한 현 LCK 최고령 우승자는 탑 라이너인 플레임의 만 28세이지만 미드라이너로만 한정하면 만 25세 331일의 최고령 기록에 속한다.[32] 700전 달성: 2022년 2월 20일 농심전 2세트. 450승 달성일자: 2022년 1월 20일, 500승 2022년 7월 8일[33] 라이엇이 주관하는 메이저 대회를 기준으로 한다. 2015 서머, 2015 월즈, 2016 스프링, 2016 MSI 우승.[34] EDG가 우승한 2015년부터는 Mid-Season Invitational이라는 명칭으로 올스타전과 분리되었다.[35] NLB의 후신인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의 초대 우승팀이다.[36] 첫번째 3회 연속 우승[37] 데뷔 3년 만에 첫 팬들의 투표로 참가했다. 첫 해는 데뷔 시즌이었고, 심지어 시즌 중반에 투표가 시작된거라 어쩔 수 없이 못 나갔다. 두 번째 해는 투표가 아닌 SK텔레콤 T1 K 팀의 리그 우승 자격으로 인비테이셔널 매치에 출전했다.[38] 북미, 대만 지역과 한 팀.[39] 두번째 3회 연속 우승[40] 2018 RNG, EDG, RW, IG[41] 2019 SKT, GRF, KZ, DWG[42] 이 대회의 전신인 롤 클럽마스터즈 준우승팀.[43] 롤챔스가 풀리그 방식으로 개편되면서 폐지.[44] 2014 올스타전 인비테이셔널 매치가 2015년 MSI로 이전되었다.[45] 2017 SKT, kt, SSG, MVP[46] 2018 KZ, AFs, KT, SKT[47] 2019 IG, JDG, FPX, TES[48] 단일 팀 통합 이후 리그제로 바뀌면서, 정규시즌과 포스트시즌 MVP를 따로 선정하는 걸로 바뀌었다.[49] 선수가 아닌 팀이 대상 수상[50] 18년도 부터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식을 하는 방향으로 바뀌게 되었다.[51] 2016년부터는 시리즈별로 MVP를 따로 선정하는 걸로 바뀌었다. 이미지 출처. 참고로 2015년 통합 MVP는 클리어러브였다.[52] 2017 시즌부터 통합 MVP 대신 결승 MVP로 바뀌었다. 다만 MVP 계보 자체는 이어진다.[53] 참고로 2016 월즈, 2017 스프링, 2017 MSI까지 연속으로 우승했다.[54] 4대 메이저 리그, MSI, Worlds[55] 단일 선수(커리어 그랜드슬램) : 폰, 메이코, 동료(논-켈린더 및 커리어 그랜드슬램) : 벵기, 뱅, 울프 [56] 사실 신주영과 이기석, 이후 등장한 임요환과 홍진호, 이영호와 이제동 등 최고 게이머들이 한국 e스포츠 태동의 선구자 혹은 주역이기는 하나, 스타크래프트라는 종목 자체가 한국 국내에 과하게 치우쳤고 세계구급 경쟁이 너무 빨리 소멸되어서 지역 리그로 쫄아들었기 때문에 이런 서술이 가능한 것이다. 반면 리그 오브 레전드는 e스포츠 역사상 최고로 성공한 국제 e스포츠 리그이며 장기간 동안 세계구급 치열한 경쟁이 지속되고 있음은 물론 투자되는 자본도 비교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씨름과 복싱의 차이로 비교하면 적당할 듯. 물론 이러한 경중을 따지기에는 다양한 관점과 애로 사항이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되지만, 분명 지역적 경쟁이냐 세계구급 경쟁이냐 아니냐의 여부는 중요한 평가 기준 중 하나이다.[57] 2022년 기준으로 13년도부터 지금까지 T1에서만 활동하고 있다.[58] 일반인들도 롤은 몰라도 페이커는 안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위상이 높다.[59] LCK 경기 전 도발성 인터뷰 등에서는 초고수라고 자칭하기도 했다.[60] 이 외에도 클템 본인이 개인방송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라인별 역체를 뽑은 적이 있는데, 다른 라인은 여러 선수들을 꺼내며 나름 자기 기준으로 비교한 반면 미드는 다들 아실 거라는 말과 함께 f 한 글자를 적어둔 채로 바로 건너뛰었고, 시청자들 역시도 아무도 이견을 보이지 않았다. 심지어 다른 방송에서는 롤판에서 페이커라는 이름의 아성을 넘을 선수는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61] 과거 시즌 2~3까지 LCK가 태동한 초창기 및 팀을(MiG, Azubu, CJ) 상징하던 전설이자 페이커 등장 이전까지 엄청난 슈퍼 플레이를 선보이며 전 세계적으로도 큰 주목을 받았던 선수로, 서포터라는 포지션의 인식을 바꾼 인물이자 세간에 유명세를 떨쳤던 LCK의 1대 슈퍼스타였다.[62] 과거 T1의 상징이었던 임요환조차 군 복무를 제외하더라도 슬레이어즈 팀 창단으로 잠깐 T1을 나간 적이 있었다.[63] 2022년을 기준으로, 2013년 초창기에 레퍼드를 중심으로 진에어 팰컨스로 넘어간 SKT T1 #1, 마린-호로-이지훈-뱅-울프로 구성된 2014년 SKT T1 S를 제외하면 실제로 모든 T1의 롤판 역사와 족적은 곧 페이커와 함께 만들어졌다.[64] 당장 2018 월즈 주제곡이었던 "Rise"는 사실상 전년도 우승자 앰비션에 대한 헌정곡으로, 앰비션이 우지, 퍽즈를 비롯한 모든 난관을 거쳐, 정상에서 군림하던 페이커를 최종 보스로 만나 꺾고 승리하고 제단에 팀의 로고가 새겨지면서 포효하는 모습을 그렸다.[65] 여담으로 페이커가 지켜보는 트위치 방송 채팅으로 등장했는데, 그 중 현역 시절 유명했었고, 전설로 남게 된 선수들인 매드라이프, 앰비션, 울프가 자신과 관련된 유행어를(매드라이프는 "그저 메멘", 앰비션은 "강찬밥! 강찬밥!", 울프는 "잠재적 골드 4천 차이") 채팅으로 치는 장면이 나왔다. 또한 해외 유명 선수들 중 우지나 클리어러브, 스니키도 채팅창에 잠깐 등장하였다.[66] LCK의 영원한 왕[67] 본캐이자 전 닉네임 고전파. 2019년 02월 12일 우르프 모드 이즈리얼 플레이 이후 사용하지 않고 있다. 2021년 3월 15일자로 휴면계정으로 전환되어 닉네임이 변경되었다. 2022년 3월 28일 무작위 총력전 모드 노틸러스를 플레이한 전적이 있다.[68] 2012 시즌은 다이아몬드가 최고 티어였다. 챌린저 티어는 2013 시즌에 신설된 티어이다.[2위] 69.1 69.2 한국서버 최종 2위[1위] 한국서버 최종 1위. 2013 시즌 월즈는 10월 초에 일정이 끝나서 대회 기간 중 다이아몬드까지 휴면 강등되었음에도 다시 1위를 찍을 수 있었다. [월즈] 72.1 72.2 72.3 72.4 72.5 72.6 72.7 월즈 일정으로 한국 서버 솔로 랭크를 오랫동안 플레이하지 못하여 다이아몬드까지 휴면 강등되었다.[휴가] 76.1 76.2 시즌 종료 후 휴가로 솔랭을 쉬어 다이아몬드까지 휴면 강등되었다가, 휴가 복귀 후 마스터를 찍고 마무리 했다.[81] 닉네임은 Tar ar ais였다.[82] 정확히는 사다리타기로 누구를 밀어줄 것인지 결정하기로 했는데, 결과가 페이커 쪽으로 나오게 된 것. 그 뒷이야기는 그 때 도파가 던져서 승급을 못 할 뻔했던 탑솔러 문서의 링크로.[83] 여담으로 프리 시즌이나 시즌이 새로 시작될 때 치르는 배치고사의 티어는 그 전 시즌의 티어와 MMR을 감안하여 배치가 된다. 그 전 시즌에 챌린저급 MMR을 찍었고 실제 티어도 챌린저였으니 배치고사에서 아무리 패가 많아도 플레티넘 1티어에 배치받는 것은 당연한 셈.[84] 옛날에는 가갈갱을 밴하였지만 그때는 저 3챔피언이 고인 소리를 들을 만큼 아무도 플레이 하지 않은데다 노밴을 할 수가 없기에 어쩔 수 없이 했다.[85] 정확히 말하면 신고를 했음에도 그 후에 제재 처분을 내렸다는 피드백 메시지가 온 적이 없어서 앞으로 신고를 안하겠다고 언급했다.[86] 12월 8일자로 중국 프로들의 한국 계정이 대다수가 막혔다고 한다. 트롤러들의 계정도 막혔을 것으로 추정되나 페이커의 방송에서 대놓고 트롤짓을 하고 도유 방송에서 저격 인증까지 한 잔나 유저는 아직도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