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I 평가 결과 - MBI pyeong-ga gyeolgwa

한글판 수정바델지수 체크리스트의 평가자간 신뢰도 연구 An Inter-Rater Reliability Study of K-MBI Checklist

MBI 평가 결과 - MBI pyeong-ga gyeolgwa

  •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CI 등재 바로가기
  • 통권제19권 제4호 (2011.12)바로가기
  • 페이지pp.95-105
  • 저자
  • 언어한국어(KOR)
  • URLhttps://www.earticle.net/Article/A162696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개인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a checklist version of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K-MBI) and compare its reliability with the K-MBI. Methods : The subjects were 30 brain injury patients. We subdivided each subitem of the original K-MBI and created a checklist (so-called K-MBI checklist). We divided it into 2 groups: a newly developed K-MBI checklist, and the original K-MBI, with two randomly assigned occupational therapists for each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ascertain the inter-rater reliability through a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for the total test score and Kappa statistics for the subitems of the test. Results :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total test score was significantly high in both the K-MBI checklist group (ICC=.981) and the original K-MBI group (ICC= .973)(p<.001). For the internal constancy in the subitems of the test, both groups showed excellent reliability in four items. The mean Kappa value was higher in the K-MBI checklist group (.725) than in the original K-MBI group (.699). Conclusions : Both the newly developed K-MBI checklist and original K-MBI showed high consistency in their total scores. In the subitems, the newly developed K-MBI checklist provided higher consistency than the original K-MBI except for dressing subitems. Meanwhile, the K-MBI showed low consistency in personal hygiene and ambulation subitems.
한국어목적 : 한글판 수정바델지수 체크리스트를 고안하고 기존 한글판 수정바델지수와 신뢰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뇌병변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글판 수정바델지수 체크리스트(이하 K-MBI 체크리스트)는 기존의 한글판 수정바델지수(기존 K-MBI)와 수정바델지수(MBI) 원본을 참고하여 각 항목별 평가 내용을 세분화 및 체크리스트화 하였다.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K-MBI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는 그룹과 기존 KMBI를 사용하 는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에 2명의 치료사를 배정하였다. 결과분석은 평가자간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총점수준에서 급간내상관계수를 구하였으며, 세부항목 수준에서 카파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총점수준에서의 신뢰도는 K-MBI 체크리스트(ICC= .981)와 기존 K-MBI(ICC= .973)를 사용한 두 그룹 모두에서 매우 높은 검사자간 신뢰도를 보였다(p<.001). 세부항목별 일치도에서는 K-MBI 체크리스트를 사용한 그룹과 기존 K-MBI의 경우 모두 4개 항목에서 탁월한 일치도를 보였다. Mean K값은 K-MBI 체크리스트(.725)가 K-MBI(.699)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 K-MBI 체크리스트와 기존의 K-MBI 모두 총점수준에서 높은 수준의 평가자간 신뢰도를 보였다. 세부항목수준에서 역시 두 그룹 모두 전 항목에서 상당한 수준 이상의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나, 항목 간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K-MBI 체크리스트의 고안
  2. 연구 대상
  3. 연구 절차
  4. 연구 도구
  5.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K-MBI 체크리스트 사용 그룹과 기존의 K-MBI 사용 그룹의 검사자간 신뢰도
  2. 신뢰도 평가 기준에 따른 그룹 내 항목별 신뢰도
  3. K-MBI 체크리스트 그룹과 K-MBI 그룹의 각 평가자의 총점 비교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근호 [ Lee, Keun-Ho |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 구경협 [ Koo, Kyung-Hyup |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 신선희 [ Shin, Seon-Hee |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 안아라 [ Ahn, A-Ra |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 손미남 [ Son, Mi-Nam |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 조은희 [ Cho, Eun-Hee |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교신저자
  • 김연희 [ Kim, Yun-Hee |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교실 ]

참고문헌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 설립연도1993
    • 분야의약학>작업치료학
    • 소개작업치료의 최신 이론에 대한 소개 및 각 영역별로의 학술발전을 도모하기 위함.

    간행물

    MBI 평가 결과 - MBI pyeong-ga gyeolgwa

    • 간행물명 대한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 간기계간
    • pISSN1226-0134
    • 수록기간1993~2022
    • 등재여부KCI 등재
    • 십진분류KDC 513 DDC 610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9권 제4호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소속기관 조회

    이용자님의 소속기관(단체)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십시오.
    기관회원에 소속되어 있는 이용자는 원문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뇌신경계 질환의 주된 증상인
    마비의 정도 및 범위, 불수의 운동의 유무 등에 따른 팔, 다리의 기능저하로 인한
    보행 및 일상생활동작(활동)수행능력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이로 뇌병변으로 인해 재활치료 과정을 겪게 되면서
    대상자의 재활치료 결과를 정확히 알고
    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각 항목의 점수를 총합한 결과는
    뇌병변 장애등급 판정의 기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