콥케 포트와인 종류 - kobke poteuwain jonglyu

콥케 포트와인 종류 - kobke poteuwain jonglyu

콥케 파인 토니 포트 Kopke Fine Tawny Porto

분류 : 토니 포트 와인 Tawny Port Wine

도수 : 19.5%

용량 : 750ml

달달함이 강해서인지 높은 도수에 비해 알코올이 강하게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카시스, 라즈베리, 복분자, 잘 익은 포도류의 프루티함이 짙게 납니다. 물론 단 맛이 시럽처럼 강하게 느껴지는 정도는 아닙니다만, 이정도면 꽤 달다고 할 수 있겠군요. 그리고 살짝 느껴지는 새콤함 덕분에 지루하지도 않습니다. 그냥 마시기에도 괜찮고, 도수가 부담스러우시다면 얼음을 하나 넣어서 마시는 것도 좋습니다.

콥케 포트와인 종류 - kobke poteuwain jonglyu

1638년에 시작하여 약 4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포트 와인 생산자 콥케Kopke의 기본적인 포트 와인입니다. 포트 와인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쉽게 볼 수 없는 화이트나 로제와 같은  포트 와인은 제외하고 우리가 보통 접하게 되는 포트 와인은 두 가지입니다. 바로 루비Ruby와 토니Tawny죠.

이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잠시 포트 와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설명해야 할 것 같네요.

포트 와인은 발효 중 브랜디를 첨가한 와인으로, 주정 강화 와인fortified wine의 한 종류입니다. 셰리 와인이나 베르뭇도 주정 강화 와인이지요. 셰리 와인이 발효 후 브랜디를 첨가하는 것과 달리, 포트 와인은 발효 중 브랜디를 첨가하여 효모가 당을 발효시키는 것을 중단시킵니다. 효모가 당 성분을 발효시켜 알코올을 만드는데, 높은 알콜 도수 때문에 효모가 죽어 이 과정이 멈추게 되는 것이지요. 그래서 당 성분이 남아있어 단 맛이 강하고, 첨가한 브랜디 덕분에 보통의 와인보다 도수가 높아지게 됩니다.

(셰리 와인은 발효 후에 브랜디를 넣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달지 않은 편입니다만, 스위트한 셰리 와인도 있습니다. 페드로 히메네즈가 스위트한 편이지요. 셰리 와인에 대해서는 먼 훗날 리뷰하도록 하겠습니다. 허허.)

먼저, 루비 포트는 매우 거대한 오크통에 넣어서 2~3년 정도 짧게 숙성을 시킵니다. 오크통이 크면 클수록 안에 들어있는 와인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져서 오크통의 영향(색, 맛, 향 등의 변화)을 적게 받게 되지요. 그러다보니 루비 포트는 이름 그대로 루비 색을 띠게 됩니다. 보통의 레드 와인 색이랑 비슷하다고 보셔도 됩니다.

다음으로, 토니 포트는 우리가 보통 아는 사이즈의 오크통에서 숙성을 시켜 만듭니다. 그러면 루비 포트의 경우에서와는 반대로, 와인과 오크통의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져서 색이 연해지고 오크통의 풍미가 더해지는 등 오크통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대부분 루비 포트보다 숙성을 오래 하기도 하구요. 당장 코스트코에서 볼 수 있는 토니 포트 와인도 10년 숙성이구요. 물론 저숙성의 경우에는 크게 차이는 안난다고 합니다만, 숙성기간이 30년이 넘어가는 포트 와인의 경우에는 차이가 크게 난다고 합니다.

콥케 포트와인 종류 - kobke poteuwain jonglyu

콥케 포트와인 종류 - kobke poteuwain jonglyu

일반적인 와인과 달리, 주정 강화 와인은 개봉 후에도 꽤 오랫동안 보관이 가능합니다. 뚜껑 닫고 냉장 보관 잘 해주면 1달 정도는 충분히 드실 수 있을거에요. 디저트로 한 잔씩 하기에도 적당하지요:D

교환 및 반품 주소
 - [07653]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46길 28 (화곡동) 강서동도센트리움 101-9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콥케 포트와인 종류 - kobke poteuwain jonglyu
콥케 포트와인 종류 - kobke poteuwain jonglyu
콥케 포트와인 종류 - kobke poteuwain jonglyu
콥케 포트와인 종류 - kobke poteuwain jonglyu
콥케 포트와인 종류 - kobke poteuwain jonglyu
콥케 포트와인 종류 - kobke poteuwain jonglyu

콥케 파인 토니 포트
(KOPKE FINE TOWNY PORTO)

원산지 : 포르투갈

알콜도수 : 19.5%

포트와인은 도수가 세서 확실히 쓰다. 그리고 달다.

달다고 홀짝홀짝 마시다보면 금방 취해버릴듯...

포트와인

포르투갈에서 와인에 와인을 증류한 주정을 첨가해 도수를 강화하여 출시되는 와인을 말한다.
이와 유사한 주정강화 와인으로는 스페인의 셰리가 있고, 주정강화의 개념을 사용하는 또 다른 양조주로는 한국의 전통주인 과하주가 있다.

영국인의 와인 사랑은 중세에도 대단했으나, 영국 땅은 포도를 재배하고 와인을 생산하기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백년전쟁에서 프랑스에 패한 영국이 보르도 지역을 빼앗기고 교육이 중단되어 보르도 와인을 저렴하게 수입하기 곤란해졌고, 윌리엄 3세에 의해 1693년부터 시행된 조세법으로 프랑스 와인에 대한 세금이 대폭 증가하게 되었다.

상인들은 영국에 와인을 공급하기 위해서 적당한 와인산지를 물색하게 되었고, 런던에서 가까운 포르투갈의 북서연안으로 모여들었다. 대부분은 장거리 해상 운송에 적합하지 않은 화이트 와인을 생산했기 때문에 레드 와인을 찾기 위해 도루강 인근의 와인산지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그러나 초기에는 험한 뱃길을 거치며 무더운 날씨 등으로 인해 운송 도중에 와인이 식초처럼 변질되는 경우가 속출하여 다른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영국 수입상인들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브랜디를 인위적으로 첨가해서 와인의 발효를 중지시켜야 변질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당시 포르투갈 도루강 하구에 있는 아름다운 항구인 '오포르투(Oporto)'에서 와인을 선적했기 때문에 '포트(Porto)'가 이름에 붙게 되었다. 포트 와인은 원래 포르투(Porto)와인이라 부르는 것이 맞지만 17세기 후반 영국에 의해 전 세계에 알려졌기 때문에 영국식 발음인 포트로 불리고 있다.

와인 생산지인 포르투갈 북부 도우루지역은 매우 건조하고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큰 곳이다. 이곳에서 포트와인이 만들어지면 이듬해 1월에 도우루강을 따라 포트시와 마주보고 자리한 빌라 노바 드가이아라는 도시로 옮겨져 숙성이 시작된다. 양조와 숙성이 장소가 다른 이유는 포도재배에 적합한 기후와 와인의 숙성에 적합한 조건이 다르기 때문이다. 포트 와인은 숙성이 오래될수록 복합적인 견과류의 맛이 난다.

포트와인은 크게 그해 수확한 포도를 골라 양조한 뒤 20~30년 정도 오크통에서 숙성시킨 빈티지 포트와 원산지와 생산연도가 다른 품종을 블랜딩시킨 타우니 포트, 식전 와인으로 쓰이는 화이트 포트 등으로 나누어진다.

포트와인은 대개 스위트 와인으로 만들어지며 과일향이 풍부하고 맛이 진하기 때문에 디저트 와인으로 사랑받고 있다.

포트와인은 특히 높은 도수를 선호하는 영국인들의 입맛에 딱 맞아떨어졌다. 영국에서 단연 최고로 인기있는 와인이 되었고 뒤이어 포르투갈을 대표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포르투갈은 포트와인의 산지라는 이유로 영국과 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된다. 영국에서는 포트와인이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가 가짜가 판을 치고 엉뚱한 지역의 포도로 만든 짝퉁포트가 나돌게 된다.

1756년 포르투갈 정부를 국법으로 포트와인용 포도재배지역을 못박았는데 AOC제도와 같이 특정 재배지역 제한을 법으로 정한 최초의 나라가 포르투갈이다.

종류

루비 포트(Ruby Port) : 양조 후 산화를 막기위해 스테인레스 스틸통에서 숙성한다. 루비색의 디저트 와인

화이트 포트 : 청포도로 양조하며 3~5년가량 통숙성한다. 황금색이며, 드라이 와인이라서 식전주로 차갑게 마시는 것이 좋다.

토니 포트(Tawny Port) : 루비포트와 다르게 양조 후 산화를 일으키기 위해 스테인레스가 아닌 오크통에서 숙성한다. 10/20/30/40년의 통숙성기간 후에 병입하여 판매하는 것은 Aged Tawny로 구분된다. 100년 이상된 토니 포트가 포트 와인의 최고급이다. 빈티지 포트는 이에 비하면 훨씬 싸다.

빈티지 포트(Vintage Port) : 특정연도의 포도만 사용하여 양조하는 고급 포트이다. 수확 후 3년 미만에 모두 병입이 끝나며, 최대 50년 이상의 숙성이 가능하다.

레이트 보틀드(Late Bottled) : 우수한 빈티지인 경우에 4~6년가량 통숙성하여 출시한다.

유명 생산자

포트는 한 회사가 여러가지의 포트 라벨(하우스)을 소유하고 있다. 포트와인기구(IVP)에 의해 품질 인증이 엄격하게 실시되기 때문에, 생산자보다는 포트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이 유리하다. (생산자에 따른 차이보다는 포트의 종류에 따른 차이가 더 크다는 의미)

시밍턴 패밀리(Symington Family) : 그라함(Graham), 다우(Dow), 와레(Warre), 스미스 우드하우스(Smith Woodhouse), 굴드 캄벨(Gould Campbell), 콸레스 하리스(Quarles Harris)

플라드게이트 파트너쉽(Fladgate Partnership) : 크로프트(Croft), 델라포스(Delaforce), 폰세카(Fonseca), 테일러(Taylor's)

소그라페(Sogrape) : 오플레이(Offley), 페레이라(Ferreira), 샌드맨(Sandeman)

콘스탄티노 드 알메이다(Constantino de Almeida) : 킨타 두 크라스투(Quinta do Crasto)

그 외 유명 포트 하우스

브로드벤트(Broadbent), 콕번(Cockburn), 크로프트(Croft), 오스본(Osborne), 니에푸르트(Niepoort), 버메스터(Burmester), 콥케(Kopke)

출처 : 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