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2022 단축키 변경 - kaedeu2022 danchugki byeongyeong

오토캐드의 단축키를 누가 구상했는지는 모르지만 너무 이니셜에만 집중한 나머지 편의성은 안드로메다로 간 상태죠. 저 세개 뿐아니라 거의 모든 단축키가 이런식으로 세팅이 되어 있습니다. 심지어 가장 많이 쓰는 레이어 ON/OFF, 잠금해제 명령어들은 단축키조차 없어 마우스로 한땀한땀 하다보면 야근은 필수가 되버립니다.

프리랜서를 위한 캐드 맞춤 조립 PC 살펴보기

그래서 단축키를 왼손이 많이 안움직이는 범위내에서 입력가능하게 전부 새로 지정하고 없는것도 만들었습니다. 밑에는 제가 쓰고있는걸 정리해 놓은거구요. 사실 이것보다 훨씬 많지만 공통적으로 많이 쓰는것만 추려봤습니다. 아래에서 적용방법 설명할께요

반응형

캐드는 상당수의 명령어가 이미 단축키로 설정되어 있지만 어떤 명령어의 경우 단축키의 사용이 불편하다는 생각이 드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회전(rotate)이나 복사(copy) 같은 명령어이다.

자판에서 r 과 o 의 거리가 상당하기 때문에 왼쪽 한 손으로 명령어를 컨트롤하는 캐드 사용상 ro나 co를 치는데 꽤 시간이 소요된다.

그래서 오토캐드 단축키를 자신만의 사용법으로 변경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오토캐드 단축키 변경하기

 

예시 이미지는 영문판이지만 한글판도 메뉴의 위치는 같다.

메뉴 중 왼쪽에서 6번째 탭에 있는 Manage (관리)를 클릭하면 그 아래로 Edit Aliases 라는 명령어가 보인다.

Aliases 가 가칭이라는 뜻이어서 그런지 한글판 캐드에서의 메뉴는 [별칭편집] 으로 되어 있다.

별칭편집을 누르면 다시 세개의 메뉴가 나타나고 제일 위에 있는 별칭편집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메모장이 나타난다.

 

 

메뉴장은

 

단축키,            명령어  형식으로 작성되어 있다.

 

우리가 명령어 창에 A 를 치면 자동으로 arc 호 명령어가 작동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중 자판사용이 불편했던 몇 가지 명령어의 단축키를 변경했다.

 

copy 는 cc

rotate 는 r

dimlinear 는 di

dimaligned 는 da

 

이런 정도이다..  본인이 사용하기 편한 명령어로 바꾸면 된다. 단 기존의 단축키와 중복되지 않는지 잘 살펴볼 필요는 있다.

 

변경을 했다고 해서 바로 바꾼 명령어가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

 

캐드를 종료하고 다시 켜서 재초기화를 해 주어야 한다.

 

다시 켠 캐드 명령창에 위와 같이 Reinit (Reinitialize 의 약어)를 입력한 후 엔터키를 누른다.

 

위와 같은 상자가 나오고 그중 PGP File에 체크를 한 후 확인(OK)를 누른다.

그런 후에 바꾼 단축키를 입력하면 작동이 제대로 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Thanks

저작자표시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OFFICE > AutoC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드 기초 마우스 작동법  (0)2021.01.31오토캐드 기초부터... 명령어 메뉴 Autocad 2021  (0)2021.01.28

728x90

  지난번에는 오토캐드에서 단축키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단축키나 명령어를 모를 때도 단축키를 알아내서 그 단축키를 활용하는 법에 대해서도 설명 드렸습니다. 안보신 분들은 하기 포스팅을 통해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20/04/25 - [오토캐드] 단축키 사용하기 (하수에서 중수로)



 

  그런데 오토캐드에서 설정돼있는 단축키를 내 맘대로 변경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아마도 많은 분들이 이 사실을 잘 모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단축키를 변경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마다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도 다르고 원하는 단축키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이 방법을 알면 캐드 작업이 더욱 편해질꺼라고 생각 됩니다.


  먼저, 메뉴에서 'Manage'=>'Edit Aliases'=>'Edit Aliases'(한글판에서는 '관리'=>'별칭 편집'=>'별칭 편집')를 클릭하면 메모장이 나오는데 밑으로 쭈~욱 내려보면 현재 설정 된 단축키들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  'L,      *LINE'이 보이는데 왼쪽의 L이 단축키이며, 오른쪽의 *다음의 LINE이 명령어라는 의미 입니다. 





  여기서 ,앞에 있는 L을 D로 바꾸게 되면 이제 LINE의 단축키가 D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편집을 하게 되면 오토캐드 PGP 파일의 원본이 손상을 주기때문에 기존에 있던 단축키들은 그대로 두시고 메모장 제일 아래로 내려가서 LINE의 단축키를 원하는대로 적어주면 됩니다. 아래 그림처럼 내가 설정한 단축키들을 따로 정리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입력할 때는 원하는 단축키을 적고 콤마(,)를 적고 TAP키를 눌러서 공간을 띄운다움에 별표(*)+명령어를 적어주면 됩니다. 이제 메모장을 저장해주면 적용이 되는데 이 때, 캐드를 껐다가 다시 켜야지 적용이 됩니다. 


캐드를 끄지않고 바로 적용하고 싶으면 명령어창에 'REINT'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이 때 PGP File에 체크하고 OK를 누르면 바로 적용이 가능합니다. 


이제 단축키 'D'를 눌러서 선을 그려볼까요? 이제 단축키 'D'를 눌러서 선을 그릴 수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아래 그림처럼 'D'라는 단축키에 CIRCLE 명령어를 추가하면 어떻게 될까요? 단축키가 겹치기 때문에 아래쪽에 있는 CIRCLE 명령을 인식하게 됩니다. 이 점 참고 하시기 바래요~


 

따라서 바뀐 단축키를 사용하다가 다시 원래 오토캐드에서 설정된 단축키로 돌아가고 싶다면 맨 아래쪽에 우리가 만든 단축키만 지워주게 되면 원래 설정된 단축키로 돌아갈 수 있게 됩니다. 


Tip 1.

단축키 입력은 대부분 왼손으로 할테니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은 아래 그림처럼 Q,W,E,A,S,D,Z,X,C쪽으로 몰아서 설정하면 작업이 훨씬 수월하겠죠?



Tip 2.

캐드 작업 시 영문, 한글 변경해가면서 사용하시는 분들은 명령어 입력할 때 한글이 입력돼서 명령이 실행안되는 경험을 많이 하셨을 텐데요. 예를 들어 LINE을 그리기 위해서 L을 입력했는데 한글'ㅣ'가 입력돼서 명령이 실행 안되는 경우 입니다. 우리는 이제 단축키 변경하는 법을 알고 있으니 한글'ㅣ'도 아래 그림처럼 단축키로 설정해놓으면 'L'을 쳐도 'ㅣ'을 쳐도 LINE을 그릴 수 있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