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대학원 자퇴 - kaiseuteu daehag-won jatoe

국내 최고 이공계 대학인 KAIST(한국과학기술원)를 자퇴하는 학생들이 최근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사과정 자퇴자 중 절반 이상이 의과대학 진학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 김희정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은 KAIST에 대한 국정감사를 위해 '자퇴학생 현황'을 요구한 결과 지난 2000년에는 80명, 2001년 76명, 2002년 78명이었으나 지난해 114명으로 크게 증가했고 올해 8월까지만도 78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자퇴 사유는 타 대학에 진학하겠다는 이유가 30명(39%)으로 가장 많고, 개인사정 21명(27%), 취업 15명(19%), 소속 기관 업무수행 12명(15%) 등의 순이었다.

특히 이들 가운데 학사과정 자퇴자는 전체 24명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13명이 의대 진학을 이유로 들었으며 5명은 외국 유학, 1명은 국내 타대학 진학, 나머지 5명은 학업부진에 따른 의욕 상실 등 개인사정으로 자퇴한 것으로 조사됐다.

석사과정 자퇴자 24명의 자퇴 사유는 집안사정 등 개인사정 12명(50%), 국내외 다른 대학 진학 8명(33%), 취업 4명(17%) 등이었으며, 박사과정 자퇴자 30명은 소속기관 업무수행 12명(40%), 창업을 포함한 취업 11명(37%), 개인 사정 4명(13%), 국내 다른 대학 진학 3명(10%) 등을 사유로 들었다.

KAIST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자퇴자가 갑자기 늘어난 것은 직장에 다니면서 박사과정을 이수하던 학생들이 경제적 이유나 직장생활 및 학업을 병행하기가 어려워 자퇴한 경우가 많고 학사과정 학생들의 의대 진학률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현실적으로 돈을 먼저 대학원에 간 친구들보다 3~4년이라도 더 빠르게 벌어본다는 것은 세상 살아가는데 있어 훨씬더 유리한 위치를 점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구에 뜻이 있는 사람이 보시면 기분이 안좋을 수 있겠지만, 저는 연구에 뜻이 없는 사람들은 석박사를 진학하면 안된다는 이야기를 드리고 있는 것이니까요.

 


다만, 상담자분에게 제가 우려되는 것은, 이전에 어떤 일을 하시는데 끈기를 가지고 꾸준히 하신적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연구에 뜻이 안맞아서 석사과정을 그만둘 수는 있겠지만, 공기업/대기업/공무원 준비도 몇 달해보시다가 또 안맞을수도 있지 않을까요?

 

이 문제는 진지하게 고민하시고 결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디를 가시던, 무슨 분야를 하시던간에, 하기싫은 것은 있기 마련입니다.

 

그것을 뚫어내셔야 결국 원하는 것을 이루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한번 제대로 결정 하셨으면 우직하게 제대로 밀고나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년 죽었다 생각하시고 독서실에서 박혀서 공부하면 취업 다 됩니다. 결국 의지와 노력의 차이일 뿐입니다.

 

 

마찬가지로, 석사 2년도 어떻게보면 죽었다 생각하고 교수님이 힘들게 일을 시키는 것을 열심히 마치신다면, 얻는 것이 많을 것입니다. 2년동안 열심히 굴렀는데, 배우는거 하나 없을리 없지요. 매우 많이 배우실 것입니다^^

이런 케이스가 없진 않겠지만 그건 신경을 하고 싶지만 자리가 없어서 식물 랩에 들어간 경우는 아닐 겁니다. 잘 안맞는다는 것이 확실하다면 박사학위 받기까지 긴 시간 견디기가 힘들거고 카이스트 박사학위가 나쁘진 않겠지만 시작부터 잘 안맞는다는 걸 알고 있는 상황에서 벼텨가면서 받아야 할만큼 메리트가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다만 힘들게 입학을 한거니 다른 랩들 중에서도 최대한 상대적으로 마음이 가고 맞는 랩에 들어가는건 어떤가 싶네요. 랩이 한두개가 아닐테니까요.

예전엔 박사->포닥가면서 전공을 완전히 틀어버리는 분들이 많았고 (지금 대략 50대가 넘어가시는 되시는 교수님들 이력보면 박사->포닥 연구분야가 완전히 다른분들이 꽤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이런식으로 조언해주시는분들도 많은데, 최근엔 포닥 경쟁률이 너무 세져서 타분야 박사를 포닥으로 뽑는 PI가 많이 적습니다. 여전히 전공을 완전히 바뀐 것 처럼 보이는 분들이 있지만 학술적 분야에서 전공을 완전히 튼 것이지 실제 하는일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machine learning 박사가 bio분야에다가 자신의 연구방법론을 적용했다던가 하는...

박사과정의 시작은 무조건 흥미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 랩으로의 통합 진학은 별로 추천하지 않고요 만약 카이스트 메리트가 있다고 판단되어 자퇴가 맘에 걸린다면 일단 석사만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이왕이면 진학하려는 랩의 연구주제가 기업이 좋아하는 주제면 더 좋을 것 같네요.

어떤 주제의 연구가 목적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식물과 동물 이런것이 아니고서는 어느정도 연결이 됩니다. 신경하시던 분도 비만하시는 분도 계시고 박사를 마우스하시다가 포닥을 초파리 하시는 경우도 있고... 카이스트 랩도 많은데 비슷한 랩으로 가셔서 어느정도 익숙해지시면 연구분야에 대해 교수님과 논의해서 원하는 방향과 접목하여 진행하는 것도 방법일듯합니다. 들어가는데 노력과 시간이 있었는데 굳이 버리고 나올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당신은 카이스트라는 타이틀이 필요한 것입니까? 아니면 특정 분야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채우기 위해 카이스트에 들어간 것입니까?

오로지 취직이 목적이라면 카이스트에 남으시고, 사회에 뭔가 해보실려면 원하는 분야를 다루는 교수님에게로 당장 옮기세요.

카이스트내에서 비슷한 일을 하시는 분을 찾으실수 있지 않으실까요? 어차피 그 랩에 가시더라도 딱 내가 하고싶은 연구를 하지는 못했을수도 있습니다. 대학원 들어오기전에 생각하는 "하고싶은 연구"의 의미가 막상 연구를 시작하시면 완전 다른 의미가 될 수도 있습니다. 저같으면 카이스트는 좋은 실험실이 많으니까 그 안에서 최대한 흥미로운 분야를 찾겠습니다. 그 한 실험실에 못가게 되었다고 하여 자퇴하는 것은 과도한것 같습니다.

카이스트에서 정말 원치 않던 랩에 가서 학위과정내내 괴로워하시는 분들도 본 적이 있습니다.
정말 안맞는데 학위를 위해 버티는 것은 현명하진 않은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공부하다보면 지금 계신 랩에서 하는 일이 재미있어 질 수도 있습니다. 아직 초반이니 좀 더 마음을 열고 흥미를 가지려고 노력해 보시기를 일단은 추천하고 싶고, 정말 안맞을 것 같다고 생각되시면 지도교수님과 상의해서 랩을 옮기는걸 고려해 보시거나, 더 늦기 전에 자퇴하시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 같습니다.

원하는 랩에 갔다 하더라도 자신이 생각했던 연구와 많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때에도 자퇴를 고민하셨을까요? 본인이 특정 주제 아니면 도저히 못하겠다 싶으면 자퇴하는 것이 맞습니다만, 랩 생활이라는 것이 주제 뿐만 아니라 실험실 구성원, 지도교수와의 관계, 실험실 분위기 등등에 의해 좌우됩니다.

로테이션 세번 끝나고도 랩을 못정한 신입생들은 네번째 로테이션을 돌지 않나요? 네번째 로테이션까지 돌아보고서도 정 맘에 안들면 자퇴하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외국에서 포닥까지할 생각이라면 카이스트 아무 의미없음

카이스트 출신을 우대한다는 것은 붕 뜨지 않고 지도교수에게 잘 배우고 박사과정 4~5년 내내 몰입하여 연구를 한다는 전제가 있을 때 한합니다. 글쓴이처럼 하고 싶은 것을 제대로 배우는 것도 아니고 붕 뜬 상태라면 면접이나 수습 단계에서 잘릴 수 있습니다. 카이스트 출신이라는게 출신제처럼 자동 등급 상향이 되는게 아닙니다.

간혹 뉴스에서 사기업이나 공기업이 출신 학부별로 채용 가산점을 주는 경우가 있는데, 연구자들을 채용할 때는 실적 중심으로 평가하여 좀 다른 경우입니다.

평생 버티는 연구를 하고싶어서 대학원을 가려고 하는지 생각해보세요..
이런 논리로라면 포닥때도 하고싶은 연구 미뤄두고 실적부터 채워야지 또는 PI로 자리잡고나서 내가 하고싶은거 해봐야지.. 하는 식으로 미루게 됩니다.. 그 과정중에 이도저도 아니게 되어 경력대비 전문성이 떨어지구요..
시간이좀 걸렸지만 하고싶은 분야찾아서 외국나온 사람이 지나가다 얘기해 드리고 싶어 남겨요..
물론 각자의 사정이 있으니 여러가지 고려하여 최종 판단 잘 선택하시구요..

It is meaningless to advertise the ranking or reputation of school. It is not kaist that makes your pife successful but what you did and what you can in future. The future is usually projected based on your past and present.

What did you learn so far? Do not waste your time by comparing your superficial desire to others. Spend time and plan to find what you can do in 1-2 years first. Set the clear goal that you want to pursue. Be ready for failure. Failure is an important, majority of part of life in sci.

Without failure there is no success. Decline reject reject reject and another reject is what you will confront.

카이스트 실험실 배정 시스템을 알고 있는데, 님께서 원하는 실험실에 못 간 것은 아마도 님보다 비교 우위에 있는 다른 사람이 해당 분야 교수님들의 선택을 받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원하는 분야에 동기부여가 얼마나 되었는지 모르지만 꼭 그 분야 연구를 해야 하겠다고 생각한다면, 지금이라도 다른 학교에 있는 연구실을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지금처럼 자신을 변화시킬 생각도 없이 대충 시간만 때우면 졸업이 가능할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발상입니다. 생각을 바꾸지 않으면 그 실험실에 가서 분명 문제 학생이 될 것이고 졸업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님이 카이스트가 아니라 외국 대학에 유학을 가서 원하는 실험실에 갈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면 어떻게 할지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학교를 그만 둘까요? 아마 원치 않는 실험실에 가서 다시 맘을 잡고 열심히 할 것 같은데요.

인생은 늘 자신이 원하는 것이 준비되어 있지 않습니다. 때로는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을 때 그게 본인이 죽고 못사는 것이 아닌지 한번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죽을 것 같지 않으면 바꾸어 살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거기에 진심을 다해 열실히 하면 더 잘 될 수도 있습니다.

일단 입학하셨는데 학위를 마치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저도 지방대 출신에 카이스트 대학원 나오고 지금 해외포닥입니다. 해외에서도 카이스트 출신 좋아합니다. 실적 좋고 트레이닝도 잘 받아서. 지금 상황에서 보는것보다 연구의 세계는 훨씬 큽니다. 학위기간에는 트레이닝 받는다고 생각하시고 포닥 때 원하는 부분으로 다시 하실 수 있어요. 지금 원치 않는 분야라고 해도 연구하다보면 몰입되서 더 신날 수도 있고요. 아무도 몰라요. 아쉽네요. 누군가는 들어가고 싶어도 못들어가는 상황일텐데..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