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삼각형 대각선 길이 - jeongsamgaghyeong daegagseon gil-i

이 글은 공동 작성자 David Jia. 데이빗 지아는 학업 지도 교사이며 캘리포니아 주 로스 엔젤레스 소재 개인 과외업체인 LA Math Tutoring의 창업자이다. 10년 간의 교사 경력을 바탕으로 데이빗은 모든 연령과 학년의 학생들에게 다양한 과목을 지도할 뿐만 아니라 대학진학 상담과 SAT, ACT, ISEE 등의 시험 준비도 제공한다. 데이빗은 SAT에서 수학 800점 만점과 영어 690점으로 마이애미대학에서 디킨슨 장학금을 받았다. 그는 이 대학에서 경영학 학사학위를 받았다. 데이빗은 또한 Larson Texts, Big Ideas Learning, Big Ideas Math와 같은 교과서 발행사의 온라인 강의도 하고 있다.

조회수 37,330회

첫 번째로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에 적용해보죠.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은 이미 직각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직각삼각형을 쉽게 만들 수 있어요. 따라서 별다른 작업 없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바로 적용할 수 있지요.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에서 대각선의 길이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직사각형의 대각선 길이

한 변의 길이가 a이고 다른 한 변의 길이가 b인 직사각형이 있다고 하죠. 직사각형은 마주 보는 변의 길이는 같으니까 다른 변의 길이도 a, b이죠? (직사각형의 성질, 직사각형이 되는 조건)

정삼각형 대각선 길이 - jeongsamgaghyeong daegagseon gil-i

 

직사각형에서 대각선을 그으면 두 개의 직각삼각형으로 나뉘고, 대각선은 직각삼각형의 빗변이 돼요. (빗변의 길이) = (대각선의 길이)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면 바로 구할 수 있죠.

사인곡선(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 역함수 · 도함수 · 역도함수 · 관련 함수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 오일러 공식 · 푸리에 해석(푸리에 변환) · 삼각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프레넬 적분 함수 · 디리클레 함수 · 볼테라 함수 · 에어리 함수 · 야코비 타원 함수

쌍곡선함수

현수선 · 쌍곡선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평면기하학
Plane Geometry

[ 펼치기 · 접기 ]

공통

도형 · 직선 (반직선 · 선분 · 평행) · 각 (맞꼭지각 · 동위각 · 엇각 · 삼각비) · 길이 · 넓이 · 다각형 (정다각형 · 대각선) · 작도 · 합동 · 닮음 · 등적변형 · 삼각함수 (덧셈정리) · 접선 · 벡터

삼각형

종류

정삼각형 · 이등변삼각형 · 부등변삼각형 · 예각삼각형 · 직각삼각형 · 둔각삼각형

성질

오심 (관련 정리 · 구점원) · 피타고라스 정리 · 사인 법칙 · 코사인 법칙 · 헤론의 공식 · 신발끈 공식 · 스튜어트 정리 · 우산 정리 · 오일러 삼각형 정리 · 데자르그 정리 · 메넬라오스 정리 · 나폴레옹의 정리 · 체바 정리 · 사영 정리

기타

세모 모양 · 평범한 삼각형 · 젤곤 삼각형

사각형

정사각형 · 직사각형 · 마름모 · 평행사변형 · 사다리꼴 · 등변 사다리꼴 · 연꼴 · 네모 모양

그 외 다각형

오각형 · 육각형 · 칠각형 · 팔각형 (정팔각형) · 구각형 · 십각형 · 십일각형 · 십이각형

단위원 · 원주율 · 호 · 부채꼴 · 할선 · 활꼴 · 방정식 · 원주각 · 방멱 정리 · 톨레미 정리

원뿔곡선

포물선 · 타원 · 쌍곡선 · 파스칼 정리

기타

유클리드 · 보조선 · 테셀레이션(펜로즈 타일) · 제곱근의 앵무조개 · 픽의 정리 · 논증 기하학 · 해석 기하학 · 3대 작도 불능 문제

1. 개요2. 공식

2.1. 복소수의 경우

3. 증명

3.1. 단위원을 이용한 증명

3.1.1. 모든 각에 대하여 덧셈 정리가 유효한 이유

3.2.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한 증명3.3. 벡터를 이용한 증명3.4. 선형변환을 이용한 증명3.5. 미분을 이용한 증명3.6. 오일러 공식을 이용한 증명

4. 따름정리

4.1. 삼각함수의 합성4.2. 배각의 공식

4.2.1. 3배각의 공식

4.3. 반각의 공식4.4. 곱을 합으로 바꾸는 공식4.5. 합을 곱으로 바꾸는 공식

5. 기타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angle addition and subtraction formulas · 三角函數- 加法定理

두 각의 합이나 차에 대한 삼각함수의 값을 구하는 공식이다. 알렉산드리아의 수학자 프톨레마이오스(Claudius Ptolemaeus)의 저서 알마게스트(Almagest)에 최초로 언급되어 정리되었다.

2. 공식[편집]

두 각 α\alphaα, β\betaβ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sin⁡(α±β)=sin⁡αcos⁡β±cos⁡αsin⁡βcos⁡(α±β)=cos⁡αcos⁡β∓sin⁡αsin⁡βtan⁡(α±β)=tan⁡α±tan⁡β1∓tan⁡αtan⁡β\displaystyle \begin{aligned} \sin{(\alpha \pm \beta)}&=\sin{\alpha}\cos{\beta} \pm \cos{\alpha}\sin{\beta} \\ \cos{(\alpha \pm \beta)}&=\cos{\alpha}\cos{\beta} \mp \sin{\alpha}\sin{\beta} \\ \tan{(\alpha \pm \beta)}&=\frac{\tan{\alpha} \pm \tan{\beta}}{1 \mp \tan{\alpha}\tan{\beta}} \end{aligned}sin(α±β)cos(α±β)tan(α±β)=sinαcosβ±cosαsinβ=cosαcosβsinαsinβ=1tanαtanβtanα±tanβ

복부호 동순이며, α\alphaα, β\betaβ의 부호에 관계 없이 성립한다.

2.1. 복소수의 경우[편집]

간단히 sin⁡β→isinh⁡β\sin\beta \to i \sinh \betasinβisinhβ, cos⁡β→cosh⁡β\cos\beta \to \cosh \betacosβcoshβ로 갈음하면 된다. sinh⁡\sinhsinh, cosh⁡\coshcosh, tanh⁡\tanhtanh는 쌍곡선 함수이다.

sin⁡(α±iβ)=sin⁡αcosh⁡β±icos⁡αsinh⁡βcos⁡(α±iβ)=cos⁡αcosh⁡β∓isin⁡αsinh⁡βtan⁡(α±iβ)=tan⁡α±itanh⁡β1∓itan⁡αtanh⁡β\displaystyle \begin{aligned} \sin{(\alpha\pm i \beta)}&=\sin\alpha\cosh\beta\pm i \cos\alpha\sinh\beta \\ \cos{(\alpha\pm i \beta)}&=\cos\alpha\cosh\beta\mp i \sin\alpha\sinh\beta \\\tan{(\alpha\pm i \beta)}&=\frac{\tan\alpha\pm i \tanh\beta}{1\mp i \tan\alpha\tanh\beta} \end{aligned}sin(α±iβ)cos(α±iβ)tan(α±iβ)=sinαcoshβ±icosαsinhβ=cosαcoshβisinαsinhβ=1itanαtanhβtanα±itanhβ

3. 증명[편집]

이 문서에서는 대표적인 6가지를 서술했으나 이 외에도 여러 방법이 있다.

3.1. 단위원을 이용한 증명[편집]

정삼각형 대각선 길이 - jeongsamgaghyeong daegagseon gil-i


위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중심이 원점인 단위원을 그리고, xxx축과 이루는 양의 방향의 각이 각각 α\alphaα, β\betaβ(α≥β≥0\alpha \geq \beta \geq 0αβ0)인 두 반지름 OA‾\overline{\rm{OA}}OA, OB‾\overline{\rm{OB}}OB를 고려하자. 세 점 O\rm OO, A\rm AA, B\rm BB는 삼각형 OAB\rm OABOAB를 형성하며, A(cos⁡α, sin⁡α){\rm A}(\cos{\alpha},\,\sin{\alpha})A(cosα,sinα), B(cos⁡β, sin⁡β){\rm B}(\cos{\beta},\,\sin{\beta})B(cosβ,sinβ)이다.

∠AOB=α−β\angle \rm AOB=\alpha-\betaAOB=αβ(α−β≥0\alpha-\beta \geq 0αβ0)에 대하여 코사인 법칙을 적용하면,

AB‾2=OA‾2+OB‾2−2OA‾⋅OB‾cos⁡(∠AOB)=12+12−2⋅1⋅1cos⁡(α−β)=2−2cos⁡(α−β)\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AB}} }^{2}&={\overline{\rm{OA}} }^{2}+{\overline{\rm{OB}} }^{2}-2{\overline{\rm{OA}} } \cdot {\overline{\rm{OB}} } \cos{(\angle \rm AOB)}\\ &=1^2+1^2-2\cdot 1 \cdot 1 \cos{(\alpha-\beta)} \\&= 2-2\cos{(\alpha-\beta)} \end{aligned}AB2=OA2+OB22OAOBcos(AOB)=12+12211cos(αβ)=22cos(αβ)

한편, 좌표 사이의 거리 공식에 의하여

AB‾2=[(cos⁡α−cos⁡β)2+(sin⁡α−sin⁡β)2]2=(sin⁡2α+cos⁡2α)+(sin⁡2β+cos⁡2β)−2(cos⁡αcos⁡β+sin⁡αsin⁡β)=1+1−2(cos⁡αcos⁡β+sin⁡αsin⁡β)=2−2(cos⁡αcos⁡β+sin⁡αsin⁡β)\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AB}} }^{2}&=\left[\sqrt{(\cos{\alpha}-\cos{\beta})^{2}+(\sin{\alpha}-\sin{\beta})^{2}} \right]^{2} \\&=(\sin^{2}{\alpha}+\cos^{2}{\alpha})+(\sin^{2}{\beta}+\cos^{2}{\beta})-2( \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1+1-2(\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 \\&=2-2( \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 \end{aligned}AB2=[(cosαcosβ)2+(sinαsinβ)2]2=(sin2α+cos2α)+(sin2β+cos2β)2(cosαcosβ+sinαsinβ)=1+12(cosαcosβ+sinαsinβ)=22(cosαcosβ+sinαsinβ)

여기서 삼각함수 항등식 sin⁡2θ+cos⁡2θ=1\sin^{2}{\theta}+\cos^{2}{\theta}=1sin2θ+cos2θ=1을 사용하였다. 위와 아래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다음을 얻는다.

cos⁡(α−β)=cos⁡αcos⁡β+sin⁡αsin⁡β\displaystyle \begin{aligned} \cos{(\alpha-\beta)}=\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end{aligned}cos(αβ)=cosαcosβ+sinαsinβ


정삼각형 대각선 길이 - jeongsamgaghyeong daegagseon gil-i


위 그림의 경우에는, 동일한 과정을 거쳐 다음을 얻는다.

cos⁡(α+β)=cos⁡αcos⁡(−β)+sin⁡αsin⁡(−β)=cos⁡αcos⁡β−sin⁡αsin⁡β\displaystyle \begin{aligned} \cos{(\alpha+\beta)}&=\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 &=\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end{aligned}cos(α+β)=cosαcos(β)+sinαsin(β)=cosαcosβsinαsinβ


한편,

cos⁡{π2−(α±β)}=sin⁡(α±β)\displaystyle \cos{\left\{\frac{\pi}{2}-(\alpha \pm \beta) \right\} }=\sin{(\alpha \pm \beta)}cos{2π(α±β)}=sin(α±β)

임을 이용하면,

sin⁡(α±β)=cos⁡(π2−α∓β)=cos⁡{(π2−α)∓β}=cos⁡(π2−α)cos⁡β±sin⁡(π2−α)sin⁡β=sin⁡αcos⁡β±cos⁡αsin⁡β\displaystyle \begin{aligned} \sin{(\alpha \pm \beta)}&=\cos{\left( \frac{\pi}{2}-\alpha \mp \beta \right)} \\&=\cos{\left\{ \left(\frac{\pi}{2}-\alpha\right) \mp \beta \right\}} \\&=\cos{ \left(\frac{\pi}{2}-\alpha\right)}\cos{\beta} \pm \sin{ \left(\frac{\pi}{2}-\alpha\right)}\sin{\beta} \\&=\sin{\alpha}\cos{\beta} \pm \cos{\alpha}\sin{\beta} \end{aligned}sin(α±β)=cos(2παβ)=cos{(2πα)β}=cos(2πα)cosβ±sin(2πα)sinβ=sinαcosβ±cosαsinβ


탄젠트에 대한 덧셈 정리는 쉽게

tan⁡(α±β)=sin⁡(α±β)cos⁡(α±β)=sin⁡αcos⁡β±cos⁡αsin⁡βcos⁡αcos⁡β∓sin⁡αsin⁡β=sin⁡αcos⁡β±cos⁡αsin⁡βcos⁡αcos⁡βcos⁡αcos⁡β∓sin⁡αsin⁡βcos⁡αcos⁡β=sin⁡αcos⁡α±sin⁡βcos⁡β1∓sin⁡αcos⁡αsin⁡βcos⁡β=tan⁡α±tan⁡β1∓tan⁡αtan⁡β\displaystyle \begin{aligned} \tan{(\alpha \pm \beta)}&=\frac{\sin{(\alpha \pm \beta)}}{\cos{(\alpha \pm \beta)}}\\&=\frac{\sin{\alpha}\cos{\beta} \pm \cos{\alpha}\sin{\beta}}{\cos{\alpha}\cos{\beta} \mp \sin{\alpha}\sin{\beta} }\\&= \frac{\dfrac{\sin{\alpha}\cos{\beta} \pm \cos{\alpha}\sin{\beta}}{\cos{\alpha}\cos{\beta} }}{\dfrac{\cos{\alpha}\cos{\beta} \mp \sin{\alpha}\sin{\beta}}{\cos{\alpha}\cos{\beta}} } \\&=\frac{\dfrac{\sin{\alpha}}{\cos{\alpha}} \pm \dfrac{\sin{\beta}}{\cos{\beta}}}{1 \mp \dfrac{\sin{\alpha}}{\cos{\alpha}}\dfrac{\sin{\beta}}{\cos{\beta}} } \\&=\frac{\tan{\alpha} \pm \tan{\beta}}{1 \mp \tan{\alpha} \tan{\beta}} \end{aligned}tan(α±β)=cos(α±β)sin(α±β)=cosαcosβsinαsinβsinαcosβ±cosαsinβ=cosαcosβcosαcosβsinαsinβcosαcosβsinαcosβ±cosαsinβ=1cosαsinαcosβsinβcosαsinα±cosβsinβ=1tanαtanβtanα±tanβ


위의 과정에서는 α≥β≥0\alpha \geq \beta \geq 0αβ0α+β≥0\alpha + \beta \geq 0α+β0 혹은 α−β≥0\alpha - \beta \geq 0αβ0을 만족시킬 때만 증명했지만 실제로는 모든 α\alphaα, β\betaβ에 대하여 성립한다.(아래 문단 참조)

3.1.1. 모든 각에 대하여 덧셈 정리가 유효한 이유[편집]

위 문단에서 α≥β≥0\alpha \geq \beta \geq 0αβ0, α+β≥0\alpha + \beta \geq 0α+β0 혹은 α−β≥0\alpha - \beta \geq 0αβ0을 만족시킬 때, 덧셈 정리를 유도했다. 그렇다면 모든 α\alphaα, β\betaβ에 대해서도 덧셈 정리가 성립할까? 예를 들어서 설명하면 '코사인의 덧셈 정리 cos⁡(α+β)=cos⁡αcos⁡β−sin⁡αsin⁡β\cos{(\alpha+\beta})=\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cos(α+β)=cosαcosβsinαsinβα≥0\alpha \geq 0α0, β<0\beta < 0β<0을 만족시킬 때, 이 덧셈 정리는 유효한가?'가 이 문단에서 묻고자 하는 바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모든 각에 대하여 유효한데, 이것을 이 문단에서 초등적으로 증명해보고자 한다.

α\alphaα, β\betaβ의 부호에 관계 없이 덧셈 정리가 유효함을 증명하는 것은 코사인에 대해서만 할 것인데, 이는 코사인을 통해 사인, 탄젠트의 덧셈 정리가 유도됐기 때문에 코사인이 증명되면 사인과 탄젠트는 자동으로 성립하기 때문이다.

우선 cos⁡(α+β)\cos{(\alpha+\beta)}cos(α+β)에 대해 증명하자. 코사인의 성질로 위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식을 변형한 뒤 식을 되돌리는 방식으로 증명한다.

[1] α≥0, β<0\boldsymbol{\alpha \geq0,\,\beta < 0}α0,β<0

cos⁡(α+β)=cos⁡(α−∣β∣)\displaystyle \begin{aligned} \cos{(\alpha+\beta)}&=\cos{(\alpha-|\beta|)} \end{aligned}cos(α+β)=cos(αβ)

한편, α−∣β∣\alpha-|\beta|αβ는 양도 음도 될 수 있으므로 α≥∣β∣\alpha \geq |\beta|αβ, α<∣β∣\alpha < |\beta|α<β인 영역으로 나눈다. 전자의 경우 α−∣β∣>0\alpha -|\beta| > 0αβ>0을 만족시키므로 유도했던 덧셈 정리를 쓸 수 있다.

cos⁡(α+β)=cos⁡(α−∣β∣)=cos⁡αcos⁡∣β∣+sin⁡αsin⁡∣β∣=cos⁡αcos⁡(−∣β∣)+sin⁡α{−sin⁡(−∣β∣)}=cos⁡αcos⁡β−sin⁡αsin⁡β\displaystyle \begin{aligned} \cos{(\alpha+\beta)}&=\cos{(\alpha-|\beta|)} \\ &=\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 &=\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end{aligned}cos(α+β)=cos(αβ)=cosαcosβ+sinαsinβ=cosαcos(β)+sinα{sin(β)}=cosαcosβsinαsinβ

따라서 덧셈 정리를 적용할 수 있다. 후자에 대해선

cos⁡(α+β)=cos⁡(α−∣β∣)=cos⁡(∣β∣−α)\displaystyle \begin{aligned} \cos{(\alpha+\beta)}&=\cos{(\alpha-|\beta|)} \\ &=\cos{(|\beta|-\alpha)} \end{aligned}cos(α+β)=cos(αβ)=cos(βα)

∣β∣−α>0|\beta|-\alpha>0βα>0을 만족시키므로 유도했던 덧셈 정리를 쓰면 다음과 같이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

cos⁡(α+β)=cos⁡∣β∣cos⁡α+sin⁡∣β∣sin⁡α=cos⁡(−∣β∣)cos⁡α+{−sin⁡(−∣β∣)}sin⁡α=cos⁡βcos⁡α−sin⁡βsin⁡α=cos⁡αcos⁡β−sin⁡αsin⁡β\displaystyle \begin{aligned} \cos{(\alpha+\beta)} &=\cos{|\beta|}\cos{\alpha}+\sin{|\beta|}\sin{\alpha} \\ &=\cos{(-|\beta|)}\cos{\alpha}+\{-\sin{(-|\beta|)}\}\sin{\alpha} \\&=\cos{\beta}\cos{\alpha}-\sin{\beta}\sin{\alpha} \\&=\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end{aligned}cos(α+β)=cosβcosα+sinβsinα=cos(β)cosα+{sin(β)}sinα=cosβcosαsinβsinα=cosαcosβsinαsinβ


[2] α<0, β≥0\boldsymbol{\alpha < 0,\,\beta \geq 0}α<0,β0

cos⁡(α+β)=cos⁡(−∣α∣+β)=cos⁡(β−∣α∣)\displaystyle \begin{aligned} \cos{(\alpha+\beta)}&=\cos{(-|\alpha|+\beta)}=\cos{(\beta-|\alpha|)} \end{aligned}cos(α+β)=cos(α+β)=cos(βα)

그런데 이 꼴은 [1]에서 보았던 꼴이므로 [1]의 결과에서 α→β\alpha \to \betaαβ, β→α\beta \to \alphaβα로 대치하면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덧셈 정리는 성립한다.

[3] α<0, β<0\boldsymbol{\alpha < 0,\,\beta < 0}α<0,β<0

cos⁡(α+β)=cos⁡{−(∣α∣−∣β∣)}=cos⁡(∣α∣+∣β∣)\displaystyle \begin{aligned} \cos{(\alpha+\beta)}&=\cos{\{-(|\alpha|-|\beta|)\}}=\cos{(|\alpha|+|\beta|)} \end{aligned}cos(α+β)=cos{(αβ)}=cos(α+β)

이 경우 ∣α∣+∣β∣>0|\alpha| +|\beta| > 0α+β>0을 만족시키므로 유도했던 덧셈 정리를 쓸 수 있다.

cos⁡(α+β)=cos⁡(∣α∣+∣β∣)=cos⁡∣α∣cos⁡∣β∣−sin⁡∣α∣sin⁡∣β∣=cos⁡(−∣α∣)cos⁡(−∣β∣)−{−sin⁡(−∣α∣)}{−sin⁡(−∣β∣)}=cos⁡αcos⁡β−sin⁡αsin⁡β\displaystyle \begin{aligned} \cos{(\alpha+\beta)}&=\cos{(|\alpha|+|\beta|)} \\ &=\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 &=\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 \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end{aligned}cos(α+β)=cos(α+β)=cosαcosβsinαsinβ=cos(α)cos(β){sin(α)}{sin(β)}=cosαcosβsinαsinβ

곧, 이 경우에도 덧셈 정리가 성립한다.

같은 방법으로 cos⁡(α−β)\cos{(\alpha-\beta)}cos(αβ)의 경우에도 부호에 관계없이 덧셈 정리를 적용할 수 있음을 증명할 수 있다.

이 결과는 α+β\alpha+\betaα+β 혹은 α−β\alpha-\betaαβ가 음이라도 덧셈 정리는 유효함 또한 암시한다. 나아가 상술했듯 각이 실수가 아니어도 성립한다.

3.2.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한 증명[편집]

정삼각형 대각선 길이 - jeongsamgaghyeong daegagseon gil-i


위 그림과 같이 삼각형 ABC\rm ABCABC를 고려하자. 한 꼭짓점 A\rm AA에서 BC‾\overline{\rm BC}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rm HH라 하자. 이때, 삼각형 ABC\rm ABCABC은 삼각형 ABH\rm ABHABH, 삼각형 AHC\rm AHCAHC으로 분할된다. 이때, 다음이 성립한다.

△ABC=12AB‾⋅AC‾sin⁡(α+β)\displaystyle \begin{aligned} \triangle {\rm ABC}=\frac{1}{2}\overline{\rm AB} \cdot \overline{\rm AC} \sin{(\alpha+\beta)} \end{aligned}ABC=21ABACsin(α+β)

한편, △ABC=△ABH+△AHC\triangle {\rm ABC}=\triangle {\rm ABH}+\triangle {\rm AHC}ABC=ABH+AHC인데,

△ABH=12AB‾⋅AH‾sin⁡α△AHC=12AC‾⋅AH‾sin⁡α\displaystyle \begin{aligned} \triangle {\rm ABH}&=\frac{1}{2}\overline{\rm AB} \cdot \overline{\rm AH} \sin{\alpha} \\ \triangle{\rm AHC}&=\frac{1}{2}\overline{\rm AC} \cdot \overline{\rm AH} \sin{\alpha} \end{aligned}ABHAHC=21ABAHsinα=21ACAHsinα

삼각비의 정의에 따라

AH‾=AB‾cos⁡α=AC‾cos⁡β\displaystyle \overline{\rm AH}=\overline{\rm AB}\cos{\alpha}=\overline{\rm AC}\cos{\beta}AH=ABcosα=ACcosβ

이므로

△ABH=12AB‾⋅(AC‾cos⁡β)sin⁡α△AHC=12AC‾⋅(AB‾cos⁡α)sin⁡β∴△ABC=12AB‾⋅AC‾(sin⁡αcos⁡β+cos⁡αsin⁡β)\displaystyle \begin{aligned} \triangle {\rm ABH}&=\frac{1}{2}\overline{\rm AB} \cdot (\overline{\rm AC} \cos{\beta}) \sin{\alpha} \\ \triangle{\rm AHC}&=\frac{1}{2}\overline{\rm AC} \cdot (\overline{\rm AB} \cos{\alpha}) \sin{\beta} \\ \therefore \triangle {\rm ABC}&=\frac{1}{2}\overline{\rm AB} \cdot \overline{\rm AC} (\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 \end{aligned}ABHAHCABC=21AB(ACcosβ)sinα=21AC(ABcosα)sinβ=21ABAC(sinαcosβ+cosαsinβ)

두 방식으로 구한 △ABC\triangle {\rm ABC}ABC의 우변을 비교하면,

sin⁡(α+β)=sin⁡αcos⁡β+cos⁡αsin⁡β\displaystyle \sin{(\alpha+\beta)}=\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sin(α+β)=sinαcosβ+cosαsinβ

으로 단위 원을 사용했을 때와 같은 결과를 얻음을 알 수 있다.

3.3. 벡터를 이용한 증명[편집]

xxx축과 이루는 양의 방향의 각이 각각 α\alphaα, β\betaβ인 두 단위 벡터 V\mathbf{V}V, U\mathbf{U}U를 고려하자. 두 벡터의 내적은

V⋅U=∣V∣∣U∣cos⁡(α−β)=cos⁡(α−β)\displaystyle \mathbf{V} \boldsymbol{\cdot} \mathbf{U}=|\mathbf{V}||\mathbf{U}|\cos{(\alpha-\beta)}=\cos{(\alpha-\beta)}VU=VUcos(αβ)=cos(αβ)

이다. 한편,

V=(cos⁡α, sin⁡α)U=(cos⁡β, sin⁡β)\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V}&=(\cos{\alpha},\,\sin{\alpha}) \\ \mathbf{U}&=(\cos{\beta},\,\sin{\beta}) \end{aligned}VU=(cosα,sinα)=(cosβ,sinβ)

이므로 내적의 값은

V⋅U=cos⁡αcos⁡β+sin⁡αsin⁡β\displaystyle \mathbf{V} \boldsymbol{\cdot} \mathbf{U}=\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VU=cosαcosβ+sinαsinβ

두 결과를 비교하면,

cos⁡(α−β)=cos⁡αcos⁡β+sin⁡αsin⁡β\displaystyle \cos{(\alpha-\beta)}=\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cos(αβ)=cosαcosβ+sinαsinβ

이는 단위 원을 이용했을 때의 증명과 같은 결과이므로 같은 방법으로 사인, 탄젠트에 대한 덧셈 정리를 얻을 수 있다.

3.4. 선형변환을 이용한 증명[편집]

정삼각형 대각선 길이 - jeongsamgaghyeong daegagseon gil-i


위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상 점 P(1, 0){\rm P}(1,\,0)P(1,0)에 대하여 α\alphaα만큼 회전한 뒤 놓이는 점을 P′{\rm P'}P, 다시 β\betaβ만큼 회전한 뒤 놓이는 점을 P′′{\rm P''}P이라 하자.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P′′(cos⁡(α+β), sin⁡(α+β)){\rm P''}(\cos{(\alpha+\beta)},\,\sin{(\alpha+\beta)})P(cos(α+β),sin(α+β))임은 자명하다. P→P′′\mathrm{P\to P''}PP의 변환을 기술하는 행렬은

[cos⁡β   −sin⁡βsin⁡β   cos⁡β][cos⁡α   −sin⁡αsin⁡α   cos⁡α]=[cos⁡αcos⁡β−sin⁡αsin⁡β   −(sin⁡αcos⁡β+cos⁡αsin⁡β)sin⁡αcos⁡β+cos⁡αsin⁡β   cos⁡αcos⁡β−sin⁡αsin⁡β]\displaystyle \begin{aligned} \begin{bmatrix}\cos{\beta} \,\,\,&-\sin{\beta} \\ \sin{\beta} \,\,\,& \cos{\beta}\end{bmatrix} \begin{bmatrix}\cos{\alpha} \,\,\,&-\sin{\alpha} \\ \sin{\alpha} \,\,\,& \cos{\alpha}\end{bmatrix} =\begin{bmatrix}\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 \\ \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 \,\,\,& \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end{bmatrix} \end{aligned}[cosβsinβsinβcosβ][cosαsinαsinαcosα]=[cosαcosβsinαsinβsinαcosβ+cosαsinβ(sinαcosβ+cosαsinβ)cosαcosβsinαsinβ]

이 변환이 행해진 후 점의 좌표는

[cos⁡αcos⁡β−sin⁡αsin⁡β   −(sin⁡αcos⁡β+cos⁡αsin⁡β)sin⁡αcos⁡β+cos⁡αsin⁡β   cos⁡αcos⁡β−sin⁡αsin⁡β][10]=[cos⁡αcos⁡β−sin⁡αsin⁡βsin⁡αcos⁡β+cos⁡αsin⁡β]\displaystyle \begin{aligned} \begin{bmatrix}\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 \\ \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 \,\,\,& \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end{bmatrix}\begin{bmatrix}1 \\0\end{bmatrix}=\begin{bmatrix}\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 \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 \end{bmatrix} \end{aligned}[cosαcosβsinαsinβsinαcosβ+cosαsinβ(sinαcosβ+cosαsinβ)cosαcosβsinαsinβ][10]=[cosαcosβsinαsinβsinαcosβ+cosαsinβ]

한편, P′′(cos⁡(α+β), sin⁡(α+β)){\rm P''}(\cos{(\alpha+\beta)},\,\sin{(\alpha+\beta)})P(cos(α+β),sin(α+β))이므로 위 변환의 결과는

[cos⁡αcos⁡β−sin⁡αsin⁡βsin⁡αcos⁡β+cos⁡αsin⁡β]=[cos⁡(α+β)sin⁡(α+β)]\displaystyle \begin{bmatrix}\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 \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 \end{bmatrix} =\begin{bmatrix}\cos{(\alpha+\beta)} \\ \sin{(\alpha+\beta)} \end{bmatrix}[cosαcosβsinαsinβsinαcosβ+cosαsinβ]=[cos(α+β)sin(α+β)]

각 성분을 비교하면 단위원을 이용했을 때와 결과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3.5. 미분을 이용한 증명[편집]

이 증명은 삼각함수를 무한급수로 정의하는 경우에서 의미가 있다. 삼각함수를 고등학교 수학처럼 정의하는 경우, 미분에서 덧셈정리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당연히 이 증명을 쓸 수 없다.

이미 (sin⁡x)′=cos⁡x(\sin{x})'=\cos{x}(sinx)=cosx, (cos⁡x)′=−sin⁡x(\cos{x})'=-\sin{x}(cosx)=sinx임을 알고 있다. 임의의 실수 aaa에 대하여 aaa를 고정한 후

f(x)=cos⁡(a−x)cos⁡x−sin⁡xsin⁡(a−x)\displaystyle f(x)=\cos{(a-x)}\cos{x}-\sin{x}\sin{(a-x)}f(x)=cos(ax)cosxsinxsin(ax)

로 놓으면

f′(x)=sin⁡(a−x)cos⁡x−cos⁡(a−x)sin⁡x−cos⁡xsin⁡(a−x)+sin⁡xcos⁡(a−x)=0\displaystyle f'(x)=\sin{(a-x)}\cos{x}-\cos{(a-x)}\sin{x}-\cos{x}\sin{(a-x)}+\sin{x}\cos{(a-x)}=0f(x)=sin(ax)cosxcos(ax)sinxcosxsin(ax)+sinxcos(ax)=0

이다. 또한 f(0)=cos⁡af(0)=\cos{a}f(0)=cosa이므로 곧 f(x)f(x)f(x)f′(x)=0f'(x)=0f(x)=0, f(0)=cos⁡af(0)=\cos{a}f(0)=cosa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이므로 부정적분하면 상수함수가 돼야 함을 알 수 있다.

f(x)=cos⁡(a−x)cos⁡x−sin⁡xsin⁡(a−x)=cos⁡a\displaystyle f(x)=\cos{(a-x)}\cos{x}-\sin{x}\sin{(a-x)}=\cos{a}f(x)=cos(ax)cosxsinxsin(ax)=cosa

이다. 이때, 모든 실수 xxx, yyy에 대하여 a=x+ya=x+ya=x+y로 놓으면

cos⁡(x+y)=cos⁡xcos⁡y−sin⁡xsin⁡y\displaystyle \cos{(x+y)}=\cos{x}\cos{y}-\sin{x}\sin{y}cos(x+y)=cosxcosysinxsiny

으로 단위 원을 이용했을 때와 같은 결과를 얻는다.

이 결과는 모든 실수 xxx, yyy에 대해 성립하므로 모든 각에 대하여 덧셈 정리가 유효함 또한 뒷받침하고 있다.

3.6. 오일러 공식을 이용한 증명[편집]

오일러 공식

eiθ=cos⁡θ+isin⁡θ(i=−1)\displaystyle e^{i\theta}=\cos{\theta}+i\sin{\theta}\quad(i=\sqrt{-1})eiθ=cosθ+isinθ(i=1)

을 이용하면

eiαeiβ=ei(α+β)=cos⁡(α+β)+isin⁡(α+β)\displaystyle \begin{aligned} e^{i\alpha}e^{i\beta}&=e^{i(\alpha+\beta)}\\&=\cos{(\alpha+\beta)}+i\sin{(\alpha+\beta)} \end{aligned}eiαeiβ=ei(α+β)=cos(α+β)+isin(α+β)

한편,

eiαeiβ=(cos⁡α+isin⁡α)(cos⁡β+isin⁡β)=(cos⁡αcos⁡β−sin⁡αsin⁡β)+i(sin⁡αcos⁡β+cos⁡αsin⁡β)\displaystyle \begin{aligned} e^{i\alpha}e^{i\beta}&=(\cos{\alpha}+i\sin{\alpha})(\cos{\beta}+i\sin{\beta}) \\&=(\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i(\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 \end{aligned}eiαeiβ=(cosα+isinα)(cosβ+isinβ)=(cosαcosβsinαsinβ)+i(sinαcosβ+cosαsinβ)

두 복소수가 같을 조건에 의하여 실수부와 허수부를 분리하면

ℑ(eiαeiβ)=sin⁡(α+β)=sin⁡αcos⁡β+cos⁡αsin⁡βℜ(eiαeiβ)=cos⁡(α+β)=cos⁡αcos⁡β−sin⁡αsin⁡β\displaystyle \begin{aligned} \Im(e^{i\alpha}e^{i\beta})&=\sin{(\alpha + \beta)}=\sin{\alpha}\cos{\beta} + \cos{\alpha}\sin{\beta} \\ \Re(e^{i\alpha}e^{i\beta})&=\cos{(\alpha +\beta)}=\cos{\alpha}\cos{\beta} - \sin{\alpha}\sin{\beta} \end{aligned}(eiαeiβ)(eiαeiβ)=sin(α+β)=sinαcosβ+cosαsinβ=cos(α+β)=cosαcosβsinαsinβ

이는 단위 원을 통해 유도한 결과와 같다.

4. 따름정리[편집]

아래 문단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삼각함수의 합성

    asin⁡θ+bcos⁡θ=a2+b2sin⁡(θ+φ)(sin⁡φ=ba2+b2, cos⁡φ=aa2+b2)=a2+b2cos⁡(θ−ν)(sin⁡ν=aa2+b2, cos⁡ν=ba2+b2)\displaystyle \begin{aligned}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theta+\varphi)} \quad & \left( \sin{\varphi}=\frac{b}{\sqrt{a^2+b^2}}, \, \cos{\varphi}=\frac{a}{\sqrt{a^2+b^2}} \right) \\ &=\sqrt{a^2+b^2}\cos{(\theta-\nu)} \quad & \left( \sin{\nu}=\frac{a}{\sqrt{a^2+b^2}}, \, \cos{\nu}=\frac{b}{\sqrt{a^2+b^2}} \right) \end{aligned}asinθ+bcosθ=a2+b2sin(θ+φ)=a2+b2cos(θν)(sinφ=a2+b2b,cosφ=a2+b2a)(sinν=a2+b2a,cosν=a2+b2b)

  • 배각의 공식

    sin⁡2α=2sin⁡αcos⁡αcos⁡2α=2cos⁡2α−1=1−2sin⁡2α=1−tan⁡2α1+tan⁡2αtan⁡2α=2tan⁡α1−tan⁡2α\displaystyle \begin{aligned} \sin{2\alpha}&=2\sin{\alpha}\cos{\alpha} \\ \cos{2\alpha}&=2\cos^{2}{\alpha}-1 \\ &=1-2\sin^{2}{\alpha} \\ &=\frac{1-\tan^{2}{\alpha}}{1+\tan^{2}{\alpha}} \\ \tan{2\alpha}&=\frac{2\tan{\alpha}}{1-\tan^{2}{\alpha}} \end{aligned}sin2αcos2αtan2α=2sinαcosα=2cos2α1=12sin2α=1+tan2α1tan2α=1tan2α2tanα

  • 반각의 공식

    sin⁡2(α2)=1−cos⁡α2cos⁡2(α2)=1+cos⁡α2tan⁡2(α2)=1−cos⁡α1+cos⁡α\displaystyle \begin{aligned} \sin^{2}{\left(\frac{\alpha}{2}\right)}&=\frac{1-\cos{\alpha}}{2} \\ \cos^{2}{\left(\frac{\alpha}{2}\right)}&=\frac{1+\cos{\alpha}}{2} \\ \tan^{2}{\left(\frac{\alpha}{2}\right)}&=\frac{1-\cos{\alpha}}{1+\cos{\alpha}} \end{aligned}sin2(2α)cos2(2α)tan2(2α)=21cosα=21+cosα=1+cosα1cosα

  • 곱을 합으로 바꾸는 공식

    sin⁡αcos⁡β=12{sin⁡(α+β)+sin⁡(α−β)}cos⁡αsin⁡β=12{sin⁡(α+β)−sin⁡(α−β)}cos⁡αcos⁡β=12{cos⁡(α+β)+cos⁡(α−β)}sin⁡αsin⁡β=−12{cos⁡(α+β)−cos⁡(α−β)}\displaystyle \begin{aligned} \sin{\alpha}\cos{\beta}&=\frac{1}{2}\{ \sin{(\alpha+\beta)}+\sin{(\alpha-\beta)} \}\\ \cos{\alpha}\sin{\beta}&=\frac{1}{2}\{ \sin{(\alpha+\beta)}-\sin{(\alpha-\beta)} \} \\ \cos{\alpha}\cos{\beta}&=\frac{1}{2}\{ \cos{(\alpha+\beta)}+\cos{(\alpha-\beta)} \} \\ \sin{\alpha}\sin{\beta}&=-\frac{1}{2}\{ \cos{(\alpha+\beta)}-\cos{(\alpha-\beta)} \} \end{aligned}sinαcosβcosαsinβcosαcosβsinαsinβ=21{sin(α+β)+sin(αβ)}=21{sin(α+β)sin(αβ)}=21{cos(α+β)+cos(αβ)}=21{cos(α+β)cos(αβ)}

  • 합을 곱으로 바꾸는 공식

    sin⁡A+sin⁡B=2sin⁡(A+B2)cos⁡(A−B2)sin⁡A−sin⁡B=2cos⁡(A+B2)sin⁡(A−B2)cos⁡A+cos⁡B=2cos⁡(A+B2)cos⁡(A−B2)cos⁡A−cos⁡B=−2sin⁡(A+B2)sin⁡(A−B2)\displaystyle \begin{aligned} \sin{A}+\sin{B}&=2\sin{\left(\frac{A+B}{2}\right)}\cos{\left(\frac{A-B}{2}\right)} \\ \sin{A}-\sin{B}&=2\cos{\left(\frac{A+B}{2}\right)}\sin{\left(\frac{A-B}{2}\right)} \\ \cos{A}+\cos{B}&=2\cos{\left(\frac{A+B}{2}\right)}\cos{\left(\frac{A-B}{2}\right)} \\ \cos{A}-\cos{B}&=-2\sin{\left(\frac{A+B}{2}\right)}\sin{\left(\frac{A-B}{2}\right)} \end{alig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