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촉음 - ilbon-eo chog-eum

일본어 촉음 - ilbon-eo chog-eum

  요음(拗音ようおん)은 일본어에서 ’,’,‘처럼 자음이 붙은 굽은 소리를 나타내기 위한 표기이다. 이는 단 옆에 ··를 작게 씀으로써 표기한다.

    きゃ :
  きゅ :
  きょ :

    お:
  しん :

  촉음(促音,そくおん)은 두 개의 음 사이에 끼어 kk, tt, pp 같은 이중음을 내는 표기이다. 를 작게 써서 표기하며 뒤의 글자에 따라 발음이 약간 달라진다. 원래 하나의 음절이지만 빠르게 읽으면 마치 받침 발음처럼 들린다.

  1. 촉음은 뒤에 행이 오면 발음이 된다.
  さ: (삭끼)

  2. 뒤에 행이 오면 발음이 된다.
  い: (잇소)

  3. 뒤에 행이 오면 발음이 된다.
  ず: (즛또)

  4. 뒤에 행이 오면 발음이 된다.
  り: (립빠)

  일본어 표준 발음에 따르면 행의 경우 앞의 글자에 따라 그대로 발음하지 않고 장음으로 처리해야 한다.

  1. 앞의 글자가 같은 단이면 장음으로 처리한다.
  さ: -
  と: -

  2. 앞의 글자가 단일 경우 뒤에 오는 는 장음 처리한다.
  せんせ: 센세-
  とけ: 토케-

  3. 앞의 글자가 단일 경우 뒤에 오는 는 장음 처리한다.
  こ: --
  おとさん : 오또-

  (発音,はつおん) 또한 뒤의 글자에 따라 발음이 조금씩 달라진다. 촉음과 마찬가지로 원래 하나의 음절이지만 빠르게 읽으면 받침 발음처럼 들린다.

    1. 이 글자의 마지막에 있거나 뒤의 글자가 행일 경우 의 중간 발음 소리가 난다.
  で: (뎅와)
  にほ: 니호(니홍)

 2. 뒤에 오는 글자가 (나 사자다 타라)인 경우 발음이 된다.
  お: (온나)
  きじょ : (킨죠)
  こだん : (콘당)

  3. 뒤에 오는 글자가 행일 경우 발음이 난다.
  ぎこう : - (깅꼬-)
  り: (링고)

  4. 뒤에 오는 글자가 행일 경우 발음이 된다.
  じゅ: (쥼비)
  うめい : - (움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