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최초 등록일2014.03.09최종 저작일2008.089페이지/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한컴오피스가격 2,000원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갑상선기능항진증
2. 단순성 갑상선종
3. 갑상선기능저하증
4.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
5.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6. 갑상선종
7. 갑상선염
8. 쿠싱증후군
9. 에디슨병
10. 말단거대증
11. 요붕증
12. 갑상선암
13. 왜소증[소인증]
14. 부신성기증후군
15. 크롬친화성세포종
16. 알도스테론증

Ⅲ. 결론

본문내용

우리 인체 내에서든, 다른 생물체 내에서든, 호르몬이라는 물질은 생물체가 살아가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호르몬이란 동물체 내의 특정한 선에서 형성되어 체액에 의하여 체내의 표적기관까지 운반되어 그 기관의 활동이나 생리적 과정에 특정한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호르몬을 형성하는 선은 내분비선이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는 호르몬이 선조직뿐 아니라 몇몇 기관이나 신경조직에서도 분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성호르몬은 생식선뿐만 아니라 부신피질이나 태반에서도 만들어진다. 호르몬 작용이 있는 물질이 신경조직에서 분비되는 경우는 신경분비라고 한다. 신경분비에 의한 물질을 신경분비물질이라고 하여 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과 구별한다. 내분비선에서 생산되는 호르몬은 특별한 수송관 없이 직접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하여 전신의 표적기관으로 수송된다. 중요한 내분비기관으로는 뇌하수체, 부신, 갑상선, 부갑상선, 이자(췌장) 및 성 호르몬 분비선 등이 있다. 호르몬은 매우 적은 양으로 표적기관에 영향을 미치고 지속시간도 긴 편이다. 표적기관에서의 호르몬 농도가 높아지면 이것을 감지하여 호르몬 방출인자를 억제하고, 호르몬 농도가 낮으면 방출인자를 자극하여 적절한 양을 유지하는 되먹임 작용(feedback mechanism)에 의해 조절된다.
호르몬 분비가 과다하거나 부족한 경우를 각각 호르몬 기능 항진증, 호르몬 기능 저하증이라고 한다. 기능 항진증의 원인은 종양으로 인한 것이 많으며, 기능 저하증은 염증, 종양 혹은 수술 등으로 인하여 내분비선이 파괴되었을 때 발생한다.

뇌하수체 호르몬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들…KBS ‘생로병사의 비밀’

2013.12.03 18:42

이혜인 기자

성인인 ㄱ씨는 어느 날 자신의 턱과 코, 발이 커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이상한 마음에 병원을 찾은 ㄱ씨에게 의사는 호르몬 검사를 권유했다. 검사 결과 ㄱ씨는 말단비대증으로 판정받았다. ㄱ씨 뇌에 이상이 생긴 것이다.

4일 KBS <생로병사의 비밀>에서는 ‘소리없는 저격수, 뇌하수체 호르몬’ 편을 방송한다. 뇌 가운데에 위치하는 뇌하수체는 우리 몸에 중요한 여러 가지 호르몬을 분비한다. 뇌하수체에 이상이 생기면 신체 외형에 변화가 생기는 말단비대증, 쿠싱병 등이 생길 수 있다. 코, 턱, 발 등 몸의 말단 부위가 커지는 말단비대증은 고혈압과 당뇨를 동반해 심장병을 유발할 위험이 있는 질병이다. 쿠싱병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돼 생긴다. 몸무게가 급격하게 늘고 팔다리가 가늘어지면서 혈관이 약해져 살이 터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갑작스러운 시력저하와 두통, 어지럼증이 있다면 뇌하수체 종양을 의심해봐야 한다. 종양이 뇌하수체 안에 자리잡으면 뇌 안에 있는 신경과 혈관을 막는다. 뇌종양 환자의 4분의 1은 뇌하수체 종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하수체 종양은 조기발견해 수술하면 완치율이 높다고 한다. 현대인들의 고질병인 만성피로에 대해서도 다룬다. 방송은 오후 10시.

0

주요기사

  •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노소영 “삶의 가치 외면한 1.2% 재산분할 참담”

  •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인도산 ‘죽음의 감기약’, 우즈벡까지 번졌다

  •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백종원 사망설’ 이어 또…‘송혜교·차은우 열애인정’ 가짜뉴스 등장

  •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단독피투성이로 차에 뛰어든 남성, 잡고 보니 연인 살해범

  •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음주운전' 판사…15개월 만에 ‘무면허 운전’ 정직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뇌하수체란 코 뒤쪽 바로 위 뇌의 중앙 부위에 있는 직경 1cm 정도 되는 작은 내분비샘입니다. 이곳에서 우리 몸의 여러 가지 내분비샘(갑상샘, 부신, 고환, 난소)을 자극하는 호르몬을 분비해서 이들의 기능을 조절하고, 성장호르몬, 유즙분비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 성선자극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을 분비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뇌하수체에 종양이 생겨서 기능이 항진되어 여러 가지 전신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원인

뇌하수체 기능 항진은 대부분 뇌하수체의 종양에 의해 생깁니다.

증상

뇌하수체는 우리 몸의 여러 기관의 기능을 담당하는 내분비샘입니다. 그래서 그곳에 이상이 생기면 우리 몸의 여러 곳에서 증상이 나타납니다. 출산과 상관없이 유즙이 분비되는 것도 뇌하수체 기능 항진의 증상입니다. 이를 비롯한 뇌하수체 기능 항진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거인증
뇌하수체에서 과도하게 성장호르몬이 분비될 때 생기는 증상입니다. 성장판이 닫히지 않은 사춘기 이전에 생깁니다.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② 말단 비대증
성인이 된 후에 성장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손끝, 발끝 등 신체의 말단 부위가 커지고 두꺼워지는 말단 비대증이 나타납니다.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③ 유루증
뇌하수체에서 유즙분비호르몬이 과다 분비되어 출산 후가 아닌데도 젖이 나오는 증상입니다. 이 외에 무월경, 불임 등이 생기기도 합니다. 남성의 경우에는 성욕 저하나 발기부전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④ 성조숙증
뇌하수체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어린아이가 어른의 모습을 갖게 되는 증상입니다.

⑤ 쿠싱 증후군
뇌하수체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생기는 질환을 쿠싱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증상은 보름달처럼 둥글게 살찐 얼굴과 가는 팔, 다리입니다. 또 핏속에 당 성분이 많아져 당뇨, 고혈압, 골다공증이 잘 생깁니다.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⑥ 기타
땀샘이 과도하게 확장되어 땀을 많이 흘립니다. 손목의 연골 조직이 과성장하여 수근터널 증후군이라는 손목이 아픈 질병이 생기기도 합니다. 뼈가 과도하게 성장하여 퇴행성 관절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유 없이 무기력하고 시야가 좁아지기도 합니다.

진단

뇌하수체의 종양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은 MRI, CT, 혈액 검사가 있습니다. MRI는 뇌와 뇌하수체 주변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검사하여 종양의 정확한 크기와 범위를 알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는 종양에 의해 과다하게 분비된 호르몬의 농도를 측정하여 정확한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치료

유즙분비호르몬 분비선에 종양이 있는 경우는 약물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외 대부분의 경우는 수술을 해야 합니다. 경접형동 접근법이라는 수술은 코의 아랫부분을 절개하여 뇌를 건드리지 않고 뇌하수체에 도달하여 종양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쉽고 안전하여 뇌하수체 종양 수술에 많이 활용되는 방법입니다.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 holeumon bunbi isang-eulo saeng-gineun jilbyeong

또 두개골을 열어 수술하는 경두개 접근법도 있습니다. 수술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거나 재발한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를 합니다.

경과

뇌하수체 기능 항진은 조기 치료하면 완치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 뇌하수체는 여러 가지 대사에 관여하는 중요한 기관이므로, 이상 증상이 있으면 즉시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