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수능 공부법 - hangugsa-suneung gongbubeob

원래 하루만에 끝내는 1일 공부법이였는데 작년에 일주일 미뤄져서 일주일 공부법이 되버림 

암기를 싫어하는 명예이과로서 한국사는 나에게 최악의 과목이였음. 그리고 사슴공부법을 들어본적 있다면 사람은 급할수록 집중력이 강해진다는 사실을 다들 알고 있을꺼임

그래서 난 작년에 극한의 집중력을 발휘하기 위해 수능 하루전날, 학교를 마치고 점심을 먹고 피시방에서 3시간정도 힐링게임 하다가(무슨게임인지 말해주면 하는사람 있을까봐 무서워서 말을 못하겠네... 착한 오르비언들은 이러지 말것.)

집으로 돌아와 4시쯤부터 본격적인 사슴공부법을 시작했음.

먼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준비물은 컴퓨터. 수특? 필요없다.

1.이비에스에 접속해서 기출응시를 한다.

2.문제를 하나도 풀지 않고 해설탭으로 들어간다.

3.옆에 해설과 문제를 같이 볼 수 있다.

4.문제에 있는 선지를 하나하나 뜯어가며 해설과 읽어본다.(괜히 정리하지 말것! 그냥 읽고 흘려도 괜찮으니 읽어라.)

5.이렇게 3,6,9모의평가 해설만 온전히 읽어본다.

6.방금 읽었던 문제를 하나씩 응시한다.

7.맞춘문제든 틀린문제든 다시 해설을 읽는다.

8.하나씩 다 풀고 해설을 2번씩이나 읽었으니 이제 정리할 차례다. 나오는 문제 유형이 한정되있으니 사건 위주로 엮어서 주요개념만 정리한다.

9.이렇게 정리가 되면 해설을 3번정도 읽게 된것이다.

이렇게 까지 하면 일단1일차는 끝임 나는 여기까지하고 일주일 쉰다음, 다시 하루전날이 되었을때 다시 모의고사를 풀고 해설을 봤음

이렇게 해서 수능1등급 받았는데, 한국사는 진짜 조금 공부해도 금방 점수나오는 과목 인데다가 괜히 옛날부터 준비하면 기억증발해서 손해보는 과목이 될 수도 있음. 게다가 아무리 어렵게 나온다고 해도 주요사건을 헷갈리게 섞는정도로 밖에 출제될 수 밖에 없는구조니깐, 사건을 다 외우기보단 문제 틀을보고 맞춰서 외우는게 더 유리함. 다들 한국사 따위는 일주일만에 그냥 끝내버리고 1등급 맞아버리셈

한국사-수능 공부법 - hangugsa-suneung gongbubeob

[사진출처=MBC 공부는 머니?]

[한국강사신문 오대교 칼럼니스트] “수능 출제 패턴을 이해하면 대입을 완벽하게 대비할 수 있습니다”

Q : 한국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A : “기출문제로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식 사이트에서 《문항 유형으로 알아보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사 학습 안내. 2014》 자료를 참고해 보세요. 보도 자료는 “10가지 문항 유형으로 준비하는 한국사”를 통해 올해 출제 가능한 문항 정보와 출제 기준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예시 문항과 기존 기출문제를 비교해서 설명하는 만큼 이 자료를 기준으로 공부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한국사에 대한 배경지식이 많은 것과 수능 한국사를 잘 보는 것은 다르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한국사에 대한 학습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발표한 《문항 유형으로 알아보는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사 학습 안내》 자료를 참고해야 합니다. 평가원에 의하면 “수능 시험 과목명은 같지만, 그 근거가 되는 교육과정이 다르고 교과서에서 다루는 내용에도 차이가 있다는 점”을 유의 사항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한국사-수능 공부법 - hangugsa-suneung gongbubeob

▷2022 대입, 한국사는 이렇게 출제된다.

보도 자료는 “10가지 문항 유형으로 준비하는 한국사”를 통해 올해 출제 가능한 문항 정보와 출제 기준을 공개했습니다. 예시 문항과 기존 기출문제를 비교해서 설명하는 만큼 이 자료를 기준으로 공부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한국사에 대한 배경지식이 많은 것과 수능 한국사를 잘 보는 것은 다르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학습 안내에서 소개한 대로 ‘유형4. 역사적 상황 인식하기 부분’에서는 각 시대의 특성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을 평가 항목으로 하고 있습니다. 시대마다 대표하는 유물을 사진 자료로 주고 유물이 무엇인지 알고, 쓰임새와 당시의 사회 모습을 연관 짖습니다.

두 문항을 비교해보면 기존 문항은 (가)청동기 시대와 (나)신석기 시대의 생활에 대한 세부적인 지식을 평가하는 반면 예시 문항은 신석기 시대의 생활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예시 문항을 통해 올해 출제될 시험 방향과 난이도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대입 특성에 맞는 학습 전략을 세울 때는 무엇보다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는 전국모의평가 시험에 대한 분석이 중요합니다. 이는 수능 시험 문제를 완벽하게 예상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되기 때문입니다. 과거 3년 기출자료를 확인하면 이런 연계성을 더욱 분명하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수능 시험까지 남은 기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반드시 성적향상의 결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책 『기적의 30일, 수능만점공부법』은 2020년 6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전국연합모의평가 분석 자료를 비롯해 가장 최신 자료까지 모두 수록 했으며, 수능 예측 노하우를 실제 기출문제와 함께 설명하고자 노력했습니다. 기존 책에서 100여 페이지 분량을 추가 집필했으며, 연간 150여회 강연 현장에서 질문 받고 답을 한 내용을 모아 ‘스타강사의 공부법 Best Q&A10’을 수록했습니다.

남은 기간 수능 시험을 전략적으로 준비하고자 하는 수험생과 자녀의 수능 준비에 고민이 많은 학부모님들에게 이 책 『기적의 30일, 수능만점공부법』을 자신 있게 권합니다.

칼럼니스트 프로필

한국사-수능 공부법 - hangugsa-suneung gongbubeob

오대교 칼럼니스트는 현재 오대교수능연구소 대표이자 ㈜모든에듀케이션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교육학 석사)하였다. MBC ‘공부가머니?’에 강남엄마 섭외 1순위 수능족집게 스타강사, YTN ‘뉴스가 있는 저녁’에 입시컨설턴트로 출연한 자타공인 20년 차 대한민국 No.1 수능교육전문가이다.

연간 150여 회의 전국투어 강연회 ‘강남엄마의 교육전략’을 진행하고 있다. 수많은 학생을 명문대에 진학시키면서 축적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유아, 초등, 중등,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시기별 학습 준비 사항과 ‘입시전략’을 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2016년 대한민국 인물 대상, 2017년 대한민국 소비자 선호 브랜드 대상을 수상하였고, 2021년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상을 수상하면서 2018년부터 4년 연속 대한민국 교육산업 대상을 수상하였다. 교육부 후원 제18회 대한민국 교육박람회 ‘학부모세미나’ 대표 강연자로도 활동하였다.

난 이번에 수능치른 익인데

수능 한국사 진짜 공부 필요성을 못느껴따

나 역사 지식이 중학교때부터 그냥 매국노 수준이어서

나때부터 한국사 필수라니까 고3초부터 공부해야지ㅠㅠ 하고 있었는데 정작 ㅈ다른과목 하느라 못했거든..?(참고로 이과)

근데 교육청이랑 평가원 모의고사 보면 1~3나오고

가끔 사설 어려운거 보면 7등급까지 나와봄ㅋㅋㅋㅋ

그래서 한국사를 수능 전에 공부 해야하긴 하겠다.. 하고 결심하였지만

결국 수능특강 한국사는 펴보지도 않았고 내신도 50점도 못맞았음 한국사 ㅋㅋㅋㅋ

근데 수능때 2등급 나옴.. 그냥 상식으로 찍어서

ㄹㅇ수능 한국사 공부 안해도 될거같음 아물론 케바케겠지만

걍 한국사에 그렇게 목매지 않아도 되고 한국사 필수이긴 해도 절대 부담없다는 결론..!

   5     49   •••

�ȳ��ϼ���! ��ǥ�޼����л� ������Դϴ�. �ٵ� 6�� ���ǰ��簡 �� ���� �ʾƼ� �������ٵ���! ������ ���� ���� ������ ����(����, �ѱ���)�� ���� ������ �����غ����� �մϴ�.

���� ������ �ٽ��� *������*�����Դϴ�. ��� ���� �ð� �����ؼ� �� ���� ����� ��ȿ���� ���� ���� ���ι�������, �� ��쿡�� ���ÿ� �� �� ������ �ְ� �Խø� �غ��ϸ� ������ �����ϴ� ���� �ð��� �����߱� ������ ����, �ѱ��� ��� �������ٴ� �������� ����� ��ǥ�� �����߽��ϴ�.

1. ����

  ���� ����� �ڽ��� �ִ� ���̶�, ���ο� ���� �ð��� �������� �ʾ����� ���ǰ��翡�� 97-100���� �����߽��ϴ�. ��� 1��� �±� ���ؼ��� ��� ���ϴ� �͵� �߿������� ���迡���� ��ų�� �߿��ϴٰ� �����մϴ�.

  ���� ��⸦ Ǯ�鼭 ���� ������ �� ���� Ǯ��� ����� ������ �ذ��ϴ� �ð��� �÷Ƚ��ϴ�. ���⼭ ����ؾ� �� ���� ������ ���۵Ǹ� �б⸦ ���߾�� �Ѵٴ� ���Դϴ�. ����, �� ���� �����ϴٰ� ��⸦ ���ļ� ��⸦ Ʋ���� �ȴٸ� ������ �������� ���� �翬�ϰ�, ��Ż�� ���� �� ���� Ǯ�̿��� ������ �� �� �ֽ��ϴ�. Ư�� ��� ���� �� ª�� ��ȭ�� ������, ������ �̾��� ���� ã�� ������, ������ ���̰� ª�� ��ġ�� ����� �д� ���� �����ְ� ���߰� ������ �����ϴ� ���� �����ϴ�. ���ع����� Ǫ�� ���� ������ Ǯ��, ��ŷ�� �� ���� �ð����Դϴ�. ���� 18-20, 25-28, 43-45���� �� 10������ Ǯ���� ����߽��ϴ�. �� ��ȣ���� Ǭ ������ �ֱ� ����� 21-24���� ���̵��� �������鼭 ���� �������� �� Ʋ�� ���ɼ��� �ֱ� �����Դϴ�. 25-28���� ����  1������ �����Ǵ��� �� �� �ֱ� ������ ��� ������ ������ ���ƿ��⵵ ����, ���̵��� ���� ���̶� �����߽��ϴ�.

  �� ��°�� ����� ���� ������ ������ �ִ� ���̱� ������, �������� �ڽ��� ��� Ǯ����� Ȯ���ϴ� ���� �ʿ��մϴ�. ����� �޸�, ����� ������ ��� �κ��� ��Ȯ�ϰ� �������� �ʾƵ� Ǯ�� ���� ���� �����Դϴ�. ���� ��쿡�� ��ĭ������ �IJ��ϰ� �а�, ����-���� ������ �ܼ��� �帧 �߽����� Ǯ���� ����߽��ϴ�. ��ü���� ����� �����, ����ؼ� �� ������� �����ϸ鼭 ���������� Ȱ���� �� �ִ� ���� �߿��մϴ�.

  ���������� ������ι��Դϴ�. ������δ� ��� �ϴ��Ŀ� ���� ���� �ð��� �鿴����, ȿ���� ���� ���� �ְ�, ���� �ð��� �鿴���� ȿ���� �� �� �ִٰ� �����մϴ�. �켱 ����Ǯ��/�������� ���� �Ϲ����� ���ο� ���� ���� �� ��� ���� �� �߿��ϳİ� ����ٸ� ���� 9�� ���ǰ��� �������� ���ڰ� �ξ� �߿��ϴٰ� �����մϴ�.  ���� ����� ������ �������� �Ƿ°�, ���� Ǫ�� ��ų�� ���� �� �ִ� �ð��� �ֽ��ϴ�. ���� ������ο� ������ �ð��� �ʹ� �����ϴٸ� ������θ� �����ϰ� �����ϴ� �͵� ���� ����� �� �� �ֽ��ϴ�. ������θ� �ϱ�� ����ߴٸ� �߿��� ���� ���迡 ������ ���� �����ϴ� ���̶�� �����մϴ�. ���� ���� ���� ������ ���� Ư���� ������ ����, ���ɿϼ��� ����ؿ����� �����ϰԸ� ���캸�ҽ��ϴ�. ���� ������ ���ؼ��� ����/�帧(����, ���� ���� ���)�� ���� �߿��ϴٰ� �����߰�, ��ƴٰ� �����ϴ� ������ ǥ���� ����߽��ϴ�. Ư�� ����ؿ����� ��� �ƴ� �ѱ� �ؼ����� ������ �����ߴµ�, �̴� �����ϴ� �� �ð��� ȹ�������� �ٿ��� ����̾����ϴ�. ���� ����� �����ϴ� ���� �� �ùٸ� ����̱� ������ ��ó�� ���� ���迡 �ð��� ���� ���� �ʰ� �Ͱų�, �Ǵ� ���� ������ ������ ������ ������ �� ���� ������ ����̶�� �����մϴ�.

2. �ѱ���

  ���� 3�� ���ǰ������ 12�� ���ɱ��� ��� ���ǰ��翡�� �ѱ��� ������ 50���� ����߽��ϴ�. �׷��� ���� �� 2 12���� ���� �ѱ��� ���� ���Ǹ� ���, ���� Ǯ�̸� �� ����, �� 3�� ���ͼ��� ���ǰ��� �ǵ�� �ܿ��� ���θ� �� ���� �����ϴ�. ���� �׷��� �� �� �־��� ������, �ѱ��� ���� ������ ������ �� �ľ��ϸ�, �ذ�Ǵ� �κ��� ���� �ֱ� �����Դϴ�.

  �켱 ���� �ѱ��� ��ü�� �� ���� ���� �����̴ٸ��ް����͵� �ΰ��� Ȱ���� ��� 9�� ���ǰ��� �������� �� �� �� �����Ͻñ⸦ ��õ�帳�ϴ�. 9�� ���ǰ������ ���ɱ����� ���� �߿��ѵ�, �� �� �ѱ��翡 ���� �ð��� ��� ���� �Ʊ��ٰ� �����մϴ�

  �ѱ��� ������ �� ���� ���⹮���� �� ���� Ǯ�� ����, ������ ����� �ݺ��ǰ� ������ ���� �� �ֽ��ϴ�. �켱 ����~���������� ������簡 5:5 ���� ������ �����ǰ�, ����, ����, ������ �� 3;3:4 ������ �����Ǵ� ��찡 ����, ������翡�� ������ ����/���Ͽ� ���õ� ������ �� �ϳ����� �����˴ϴ�. ���� ������ ���� ������ ������ ���� ���̴� ������ �ſ� �������Դϴ�. ���� ������ Ǯ�鼭 �ݺ��Ǵ� ������ ��å�� �����߰�, ���� Ǯ�̸� ��ģ �ڿ��� �� �ܿ����� �ʴ� ���丸 ��Ƽ� A4���� �� ������ �����ؼ�, ���ǰ���� ���� ���ɽð��� �� ���� ���� �����ϴ�. �׷� ���� ������ Ǯ ��, ���� �𸣴� ������ �ִٸ� ���� �˰� �ִ� ������ ���� ������ Ȱ���߽��ϴ�. ���� �� �������� ����� �ô밡 ��������, �������� �𸣴� ��Ȳ�ε� ������ ���õ� ������ �̹� 4���� ���Դٸ�, ���� Ǫ�� ������ �����ô��� Ȯ���� ���ٰ� �Ǵ��ϴ� ���̾����ϴ�. �׸��� ���ǰ��縦 �� �� �򰥷ȴ� ������ �ٽ� �� �� �����߽��ϴ�.

���� ���� �����帰 ����� ��� ���ι��� �׷�����, ��� ������� ���������� ������ �����ؼ� �������� ���ڽ��ϴ�. Į�� �����, ��Ÿ ���� (��ġ�ܱ��к�, ���� �Խ�, ����, �л��� ���)�� ���� �ñ��� ���� �����ø� ���� ���� �����ּ���~! �ٵ� 6�� �������Դϴ�!!

  • ����
  • �ѱ���
  • ���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