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이빨 색 - goyang-i ippal saeg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치아 자체의 변화는 없는데 색만 노랗게 변하는것은 일종의 염색, 착색으로 보기 때문에 이 자체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치아 주변의 치은에 염증이 있어 이런 염증성 반응물 및 출혈된 적혈구내 혈소판등이 침착을 하는경우는

치아 색이 변해서가 아니라 치은 및 치주까지 이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높게 둬야 하기 때문에 치과방사선 검사를 포함한 치과진료를 받아 볼 필요가 있습니다.

https://diamed.tistory.com/246

링크는 외견상 크게 이상이 없어 보이지만 치과 방사선 검사를 해보면 치아 자체가 매우 험하게 상한 케이스들의 모음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양이의 경우 치아 관리가 미흡하여 치수강 내에 감염이 유발되게 되면 사람처럼 시린니를 가진 상태가 되고

이렇게 되면 음식물을 먹을때 생기는 통증으로 인하여 음식을 먹는 양이 줄어 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다보면 지방간증 등으로 발전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어서

사람을 포함한 다른 동물에 비해 고양이 치수강의 감염이나 융해 등의 이상이 없는지에 대한 신경을 많이 써야 합니다.

안타깝게도 대부분 집에서 관리할 수 있는것은 매우 제한적이고 스케일링은 치료를 위한 세척 단계일 뿐이라서 집에서 하는건 고통만 줄 뿐 크게 의미 없으니 주치의와 협의해보시기 바랍니다.

​언제 부러졌는지 모르는 치아는 오래동안 큰 통증을 유발합니다.

9세령의 고양이가 치과치료를 위해 본원에 내원하셨습니다.

중년령의 나이를 고려하여 충분한 마취전검사를 한 후 수술에 들어갔습니다.

9살이 될 때까지 한번도 치과치료를 받아본적이 없었기에, 생각보다 많은 양의 치석이 침착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치석은 모두 깨끗하게 제거되었습니다. 치석제거 후 폴리싱(polishing) 과정은 필수적이겠죠?

문제는 좌측 상악의 송곳니의 상태였습니다.

육안적으로도 어두운색을 띄었으며, 치아의 단면에서 치수가 노출된지 오래된 것처럼 까맣게 보입니다.

구강엑스레이를 진행하였습니다.

다행스럽게도 많은 고양이가 가지고 있는 FORL 병변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아래 방사선사진에서처럼 송곳니에서 역시 큰 문제가 확인되었습니다.

왼쪽사진은 우측상악의 정상 송곳니이고, 오른쪽사진은 좌측상악의 문제가 있는 송곳니입니다.

사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에 치수강으로서, 혈관과 신경이 존재하는 공간입니다.

그런데, 좌우 송곳니에서 그 폭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어떻게 된 것일까요?

위의 모식도를 보면, 치아는 나이가 늘어날수록 치수강이 점차 좁아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치아 뿌리의 끝부분도 점차 막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9살 고양이의 왼쪽 송곳니에는 무슨일이 있었던 것일까요?

아마도 1살 미만일 때 치아를 다쳤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치아 끝부분이 손상을 입으면서 치수가 노출되었고,

그 부위를 통해 세균이 감염되었겠죠?

또한 치아뿌리 끝부분이 열려있기 때문에, 신경치료도 불가능한 치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치아에 대해서는 발치가 진행되었습니다.

발치된 치아의 끝부분은 정상적인 송곳니와 다르게 뿌리 끝부분이 열려있고, 형성이 완벽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치아의 변색은 단순히 착색에 의한 것일 수도 있지만, 간혹 치수염 등의 심각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주기적인 치과검진과 치과치료, 보호자분들의 관심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고양이 이빨 색 - goyang-i ippal saeg

 원장 노현우 수의사, 서울대학교 수의 외과학 석사 (안과, 치과 전공) DVM, MS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임상수의학대학원 외과/안과,치과전공 석사 학위 취득 및 졸업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gum for dogs considering their anatomical features of dentition

서울대학교 부속동물병원 임상로테이션 수료

서울대학교 부속동물병원 인턴/레지던트 수료

서울대학교 부속동물병원 진료수의사

​전 평촌 D동물병원 안과/치과 과장

현 안양 이룸동물병원 원장​

- 11 서울대 재미한인수의사회 초청 미국 동물병원 연수

- 13 추계 임상수의학회 참가 및 발표, 우수발표상 수상

   Neurogenic keratoconjunctivitis sicca in 12 dogs: 2007-2013

- 14 아시아 수의안과학회(AiSVO)(대만) 참가 및 발표

   Successful Retinal Reattachment Surgery In a Shih-tzu dog : a case report

- 소형견의 품종별 구강 구조를 반영한 개껌의 개발 특허권 보유 

한국 수의안과연구회 정회원

한국 수의치과협회 정회원

서울대학교 수의임상동문회 정회원

#고양이치과, #고양이치과치료, #고양이이빨부러져, #고양이송곳니, #치과동물병원, #안양치과동물병원, #과천치과동물병원

고양이의 치아를 살펴볼까요?

고양이는 아래에서 보시는 것처럼

상악에는 앞니 6개, 송곳니 2개, 작은 어금니 6개, 큰 어금니 2개,

하악에는 앞니 6개, 송곳니 2개, 작은 어금니 4개, 큰 어금니 2개로 30개의 치아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치는 이중에 큰 어금니를 제외한 총 26개가 정상적인 고양이의 유치 개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의 정상치아 개수를 확인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feline dentistry 참조) 

    (feline dentistry 참조) 

정상 치아 개수는 왜 중요할 까요?

정상 치아 개수가 아닐 때의 가능성은 크게 2가지로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 치아의 개수가 정말로 부족한 경우입니다.

태어나기를 적은 개수의 치아로 태어난 것이지요. 하지만, 실질적으로 이러한 경우는 굉장히 드뭅니다.

두번째, 치아가 존재하기는 하는데, 잇몸 밖으로 나오지 못한 경우입니다.

치아 자체의 맹출힘이 부족해서 잇몸을 뚫지 못했거나, 다른 치아에 걸리거나, 눌려서 나오지 못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맹출되지 못한 치아는 잇몸 안에서 염증을 유발하고, 주변 치아의 상태까지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과 방사선을 이용한 적절한 진단 후에 치아의 발치를 도와줄 수 있는 잇몸수술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발치를 해주는 것이 나머지 정상치아를 건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치아 하나하나를 살펴 볼까요?

                       (feline dentistry 참조)

고양이의 송곳니이 대한 모식도입니다. 사람의 치아와 크게 다르지 않죠? 송곳니를 제외한 다른 치아에서는

사람의 그것과 비교해서 치아별로 갖고 있는 뿌리의 개수만 조금 다르고, 대략적인 구조는 비슷합니다.

한가지 재미있는 것은 고양이 송곳니에 있는 vertical groove입니다.

                                                                                (feline dentistry 참조)

강아지에는 없는 고양이 송곳니만의 구조로

 간혹 치아 표면의 문제가 있는지 걱정하시면서 병원에 내원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이 구조는 정상입니다 ^^ 나이가 들 수록 치아 표면의 치태와 치석이 증가하고 치아 자체의 변색으로 인해 점차 진하게 보이는 경우가 있지만, 정상적인 구조이기에 걱정은 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vertical groove가 명확하게 보일정도라면 또 많은 경우에 치태와 치석이 많이 낀상태이므로

적절한 치아 관리를 받으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금까지 고양이의 치아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았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시다면 언제라도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고양이 이빨 색 - goyang-i ippal saeg

고양이 이빨 색 - goyang-i ippal saeg

원장 노현우 수의사, 서울대학교 수의 외과학 석사 (안과, 치과 전공) DVM, MS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임상수의학대학원 외과/안과,치과전공 석사 학위 취득 및 졸업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gum for dogs considering their anatomical features of dentition

서울대학교 부속동물병원 임상로테이션 수료

서울대학교 부속동물병원 인턴/레지던트 수료

서울대학교 부속동물병원 진료수의사

​전 평촌 D동물병원 안과/치과 과장

현 안양 이룸동물병원 원장​

- 11 서울대 재미한인수의사회 초청 미국 동물병원 연수

- 13 추계 임상수의학회 참가 및 발표, 우수발표상 수상

   Neurogenic keratoconjunctivitis sicca in 12 dogs: 2007-2013

- 14 아시아 수의안과학회(AiSVO)(대만) 참가 및 발표

   Successful Retinal Reattachment Surgery In a Shih-tzu dog : a case report

- 소형견의 품종별 구강 구조를 반영한 개껌의 개발 특허권 보유 

한국 수의안과연구회 정회원

한국 수의치과협회 정회원

서울대학교 수의임상동문회 정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