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절약계획서 해설서 2022 - eneojijeol-yaggyehoegseo haeseolseo 2022

  • 에너지 절약계획서
  • 건물인증제도
  • 건물에너지절약정보
  • 단열정보
  • 공공기관에너지절약
  • 전체보기 닫기

  • 에너지 절약계획서
    • 에너지절약서 개요
    •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전문
    •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해설서
    •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
      통계시스템
    • 에너지절약계획서
      검토 수수료 납부 시스템
    • 에너지절약계획서
      온라인검토시스템
    • 세움터
  • 건물인증제도
    • 인증제도의 개요
    • 해외유사 인증제도
    • 인증등급 평가방법
    • 설계 가이드라인
    •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신청
  • 건물에너지절약정보
    • 3리터 하우스
    • 제로에너지 하우스
  • 단열정보
    • 주택단열개수추진방법
  • 공공기관에너지절약
    • 사업개요
    • 추진현황
    • 추진고시전문

에너지 절약계획서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해설서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 해설서(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52호) 배포 안내

[글쓴이] 건물에너지실 / 정인선(02-6362-2012) [작성일] 2022.07.2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52호 해설서를

공단홈페이지 및 에너지절약통합포탈(https://build.energy.or.kr/)에 게시하오니 관련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에너지절약계획서 해설서 2022 - eneojijeol-yaggyehoegseo haeseolseo 2022

반응형

건축물 설계를 할 때 연면적 500㎡가 넘어가는 건축물은 에너지절약 계획서를 제출하게 되어있는데요

현행 기준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해설서 업로드합니다.

2018.9.1 시행 ~ 현재까지 설계기준입니다.

아 그리고 에너지절약 계획서를 제출하는 건축물은 녹색건축물 설계기준도 만족을 해야 합니다.

결국 녹색건축물 설계기준에 만족을 시키는 설계를 하게되면 녹색기준이 더 높기 때문에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은 자연스럽게 만족하게 됩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첨부파일 받아 가세요.

자료출처 : 에너지절약통합포털 - 알림마당 - 자료실 - 5번게시물

http://build.energy.or.kr/RM/GU/boardDetail_03.do?page=1&sn=287&CSRFToken=OWY4NmQwODE4ODRjN2Q2NTlhMmZlYWEwYzU1YWQwMTVhM2JmNGYxYjJiMGI4MjJjZDE1ZDZMGYwMGEwOA%3D%3D&category=titl&keyword= 

한국에너지공단 건축물 에너지절약포털

내용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해설서(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81호, 2018.09.01) 수정본을 게시하오니 에너지절약계획서 관련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ㅇ 2020.12.10.(목) : ‘에너지절약계획

build.energy.or.kr

201210_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해설서(제2017-881호).pdf

11.23MB

반응형

'건축,건설 실무 > 실무참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로 및 도로시설물 준공검사 완료 보고서  (0) 2021.12.31
공사추진 실적 및 설계변경 종합  (0) 2021.12.29
서울특별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서울특별시고시 제2019 - 42호]  (0) 2021.12.27
건축자재 품질관리서 및 건축자재 품질관리서 대장  (0) 2021.12.22
K.S자재 및 국토교통부장관 인정자재 사용총괄표  (0) 2021.12.15

국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큰 과제가 지금은 건축 부분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죠. 지난 2월 27일 국토교통부에서는 건물부문 탄소중립을 촉진하기 위해 제로에너지 건축물(ZEB) 인증 대상의 인허가 행정절차를 간소화하는 등의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 일부 개정안을 고시하였습니다. 오늘은 마이다스캐드와 함께 2022년 건축법 개정안(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 중 어떠한 점이 이전과 달라졌는지 알아보겠습니다.


01.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 취득 후 행정절차 간소화

에너지절약계획서 해설서 2022 - eneojijeol-yaggyehoegseo haeseolseo 2022

제로에너지 건축물(이하 ZEB) 인증은 높은 에너지 성능 건축물을 보급하기 위한 제도로, 기존 건축 허가 시에는 ZEB 인증 건축물도 ‘에너지 절약계획 설계 검토서’를 제출해야 했습니다.

이제부터는 ZEB 인증 건축물은 그 에너지 성능을 인정하여 행정절차가 줄어들어 ZEB 예비 인증서를 허가권자에게 제출할 경우 EPI 및 에너지 소요량 평가서와 더불어 검토서까지 제출해야 했던 중복 행정절차를 하나로 간소화 하였습니다.

02. EPI 평가항목 등 일부 정비

에너지절약계획서 해설서 2022 - eneojijeol-yaggyehoegseo haeseolseo 2022

건축물의 용도•특성별로 그 실효성이 상이하고 제품(기기) 자체의 대기전력 차단 기능이 강화되는 추세를 감안해, 모든 건축물에 의무 적용되는 전기 부문 에너지 절감 기술(비주거용 일괄소등 스위치 및 대기전력 자동 차단장치)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추가적으로 최근 3년간 채택률이 저조한 EPI 항목을 삭제하고, 일부 유사 항목들은 통•폐합하며, 건축물 에너지 효율 향상 유도를 위해 권장할 필요가 있는 항목을 신설하는 등 에너지 절감 실효성 증대를 유도하기 위해 EPI 항목을 일부 정비하였습니다.

03. 건축물 열손실방지 조치 합리적 개선

에너지절약계획서 해설서 2022 - eneojijeol-yaggyehoegseo haeseolseo 2022

구조 특성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외벽 등 구조 안전성을 상시 감시할 필요가 있어 설계 기준을 만족할 수 없는 '원자로 관계 시설’에 대해 열 손실 방지(단열 등) 조치를 개선하고, 바닥 단열 시 식물 성장의 방해가 돼 건축용도 상 목적을 상실하는 ‘온실•작물재배사’와 화재 관련 성능 유지를 위해 단열 기준을 만족할 수 없는 일부 건축자재(‘소방관진입창’ 및 ‘방화문’)에 대해 단열 기준을 합리적으로 개선하였습니다.

개정안 중 제2장 에너지 절약 설계에 관한 기준 제1절 건축부문 설계 기준 제6조(건축부문의 의무사항)를 보면 "외기에 직접 또는 간접 면하는 거실의 각 부위에는 제2조에 따라 건축물의 열 손실 방지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부위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라고 나와있습니다. 다음 부위 중 해당되는 사항은 7번 「건축법」 제49조 제3항에 따른 소방관진입창 (단,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18조의 2 제1호를 만족하는 최소 설치 개소로 한정한다.) 입니다.

지금까지 2022년 건축법 개정안(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의 달라진 점을 알아보았습니다. 제로에너지 건축물(ZEB) 인증 취득 후 행정절차 간소화/EPI 평가항목 등 일부 정비/건축물 열 손실 방지 조치 합리적 개선 등 세 가지의 개선된 점을 정리해 보았는데요.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은 시행한지 4년이 다 되어가고 있지만 아직 잘 모르고 계시는 분들이 있어 꼭 내용을 정독하시고 이해하시면 도움이 될 내용입니다.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마이다스캐드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게시글이 유익했다면

에너지절약계획서 해설서 2022 - eneojijeol-yaggyehoegseo haeseolseo 2022

에너지절약계획서 해설서 2022 - eneojijeol-yaggyehoegseo haeseolseo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