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비보호 좌회전 - dog-il biboho jwahoejeon

한국의 우회전은 신호 없이 우회전이 가능합니다. 직진차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도 내에서 눈치것 우회전 하는것이 되기 떄문에 한국에서 온 운전자가 독일에서 가장 많이 착각 하는것이 바로 우회전 입니다. 

독일에서는 우회전도 신호를 받고 가야 합니다. 직진신호 가 우회전 신호 입니다. 즉 직진과 우회전은 동시 신호 인셈이죠 

사거리 교차로 에서는 우회전 차량도 무조건 정지 해서 눈앞에 신호등이 녹색이 될때 까지 기다립니다. 그리고 녹색이 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우회전 하는것도 아닙니다. 독일의 거리에는 십중팔구는 자전거 길이 인도 옆에 있습니다. 빠르게 진입해오는 자전거를 먼저 보내줘야 합니다. 

보통 직진 신호등이 켜지면 진행방향의 횡단보도 파란불도 켜지기 떄문에 우회전 하는 차량의 우선순위가 제일 나중이 됩니다. 즉 보행자 가 파란불에 건너고 자전거도 따라 건너고 나서 길이 비어지게 되면 우회전 차량이 우회전하게 됩니다. 

독일 비보호 좌회전 - dog-il biboho jwahoejeon

이런 경우도 있습니다. 직진신호와 동시에 우회전이 되는교차로 가 아닌경우 우회전 신호가 별도로 화살표로 표시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경우 붉은신호 라 해도 화살표 신호가 들어오는 즉시 우회전 합니다. 

독일 비보호 좌회전 - dog-il biboho jwahoejeon

자 이런경우는 어떨까요? 아까와는 다르죠 ... 위에서는 녹색 방향지시등이 신호등이였다면 지금 보고 있는 사진은 녹색방향지시표가 프라스틱 표시판입니다. 이건 뭘까요? 

교차로 앞에서 3초 정도 서있으면서 왼쪽에서 오는 차량을 살핀뒤 바로 우회전 하라는 표지판 입니다. 

자 이젠 더 어려운 좌회전 입니다. 

독일은 일반적으로 좌회전 신호가 없습니다. 따라서 좌회전 차량도 직진신호를 기다리다가 신호가 떨어지면 좌회전 차량은 교차로의 중앙에서 대기 하는것이 먼저 입니다. 이윽고 반대쪽 직진차량이 다 지나가고 난뒤에 좌회전 합니다. 

한국에서 운전 하시다가 오신분들이 우회전 뿐 아니라 좌회전에서도 애를 먹는게 바로 이부분 입니다. 도로 중앙을 점유 하고 있다가 좌회전 하는 모습을 보고 그러다가 신호가 빨리 떨어져서 반대쪽 교차로 차량이 오기라도 하면 충돌 하지 않을까 불안하고 걱정이 됩니다. 

독일 비보호 좌회전 - dog-il biboho jwahoejeon
사거리 한복판에 좌회전 대기를 위해 길막 (?) 하고 있는 모습 ( 사진 출처 구글지도)

위에 사진은 직진 신호가 떨어진 직후 의 모습입니다. 오른쪽에 차가 막 교차로를 통과 하여 직진 하고 반대방향 차도 동시에 직진을 합니다. 붉은 색원안에 차는 좌회전 할 차이므로 교차로 한복판에 그냥 길막 하고 서있는 상황이지요.. 

다음 장면을 상상해 봅시다. 직진 차량이 다 제갈길 가고 나면 좌회전 대기 중인 붉은색 원안의 차는 좌회전 해서 제갈길 가면 됩니다. 

독일 비보호 좌회전 - dog-il biboho jwahoejeon
이미지 출처 구글 지도 

이제 연습을 해볼까요 ? 위에 사진은 전형적인 독일의 신호등 없는 사거리 입니다. 대도시 한복판의 사거리 임에도 불구하고 왕복 2차선인 경우가 흔합니다. 우선 보이는 표지판이 많지만 가장 가까운 거리에 보이는 표지판 부터 읽어보죠 원형 표지판에 붉은색 X 표가 있네요 .. 화살표 방향으로 절대 주차 안된 다는 표지판입니다. 그뒤에 보이는 마름모 꼴에 흰색바탕에 노란색 다이아몬드 형태의 표지판은 이 길의 우선권 표지판이고요 .. 그뒤 사거리 너머에 보이는 4개의 표지판은 모두 동일하게 보행자 건널목이 있다는 표지판이네요 .. 

이 길에서 좌회전을 해야 한다면 어찌 할까요?  먼저 중요한것은 교차로 우선권 표지판 입니다. 내가 진행하는 방향이 우선권이 있으니 좌회전 할때 내 오른쪽에서 오는 차량보다 내가 더 우선 하겠죠 .. 하지만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역시 나와 동일하게 우선권을 가지고 있으니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을 피해서 좌회전 하면 됩니다. 

그럼 우회전은 될까요? 예 우회전도 됩니다. 금지 하는게 없으니까요 .. 물론 자전거 길은 반드시 살피고 가야 됩니다. 

독일 비보호 좌회전 - dog-il biboho jwahoejeon
이미지 출처 구글 지도 

자 여긴 어떨까요? 붉은 색 원안에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큰원안에는 아래서 부터 이길의 우선권표시판 그리고 그위에는 좌회전과 직진이 가능하다는 표지판 이 있네요 그럼 우회전은?  일단 좌회전과 직진만 된다는 표지판으로도 우회전은 안된다는것을 알수 있지만 두번째 붉은 원안에 답이 있습니다. 예 .. 저표시는 일방통행로의 끝을 알려줍니다. 진입하지 말라는 예기죠 즉 이길은 우회전 할수 없습니다. 

독일 비보호 좌회전 - dog-il biboho jwahoejeon

오늘 한국과는 다른 교통신호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독일 비보호 좌회전 - dog-il biboho jwahoejeon


한국에서 운전하다가 오신분들이
독일에 처음 오셔서 운전할 때 제일 많이 헷갈리는 문제인 것 같아요

독일에서 우회전 할 때는,
꼭 신호등 보고 신호를 받고! 우회전을 하셔야 한답니다!

제가 한국에서 운전을 할 때, 좌회전 시에 좌회전 신호 혹은 직좌 신호를 받거나,
비보호 좌회전 지역에서는 맞은 편 차량이 없을 때만 좌회전이 가능했던 것으로 기억해요.
비보호 우회전이란 말은 쓴적이 없죠.
왜냐면 우회전은 직진식호시에도 가능하지만, 적색신호 시에도 다가오는 차가 없으면 가능했으니까요.

독일 비보호 좌회전 - dog-il biboho jwahoejeon


하지만, 독일은 운전자 적색신호 중에는 우회전을 하면 안됩니다!
직진(녹색) 신호 시에만 우회전이 가능해요.
우회전 신호라고 오른쪽 화살표가 따로 있진 않지만 직진 신호시에만!
우회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반드시 명심하세요.

추가로 직진신호와 동시에 우회전을 하면,
보통 돌자마자 보이는 보행자 신호와 부딪히는데,
보행자가 다 지나가고 나면, 보행자 녹색신호라도 건널 수 있어요.

독일 비보호 좌회전 - dog-il biboho jwahoejeon


신호등이 없어도 보행자가 횡단보도 입구에 서 있다면
보행자 녹색신호로 보고 무조건 정지하셔야 해요.
절대적으로 보행자 우선이에요!
한국에서는 '이 차 지나가면 건너자' 였지만, 독일에선 '이 사람 지나가면 가자' 라고 생각하셔야 해요.

독일 비보호 좌회전 - dog-il biboho jwahoejeon

 무엇보다 중요한 건, 자전거에요.

독일에는 자전거 사용자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조심하셔야 한다는 건 기본이구요.
자전거 자전거 전용도로가 있지만, 자동차도로 우측편에 함께 있어요
자전거와 자동차가 동시에 직진 신호를 받기 때문에 제가 우회전하려고 하면
우측의 자전거들이 줄지어 직진을 하고 있어요.
얘네들 다 지나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거죠.
출퇴근 시간중에는 줄지어다니는 자전거 무리로 인해 신호를 받고도
기다리기만하다가 다시 적색신호가 떨어지곤 한답니다..
물론 제 뒤로 서있는 직진하려던 차들도 싹~다 서있죠ㅠㅠ

독일 비보호 좌회전 - dog-il biboho jwahoejeon


여기서 재밌는 건, 자전거 때문에 직진차로에서 우회전 못하고 서있다가
신호등이 빨간불로 변해도 누구하나 경적을 쓰거나 신경질 내지 않는다는 거에요.
독일에선 그게 일상이니까요.
이 자전거 운전자들은 본인들이 빨리가야 저기 줄줄이 소세지처럼 서있는 차들이 갈 수 있는데도,
'아 하늘이쁘다', '오늘 차 많네', '날씨 너무좋다' 이러면서 천천~~~히 가요
아주.. 눈치를 안보는게 멋지긴 한데, 조금 답답할 때도 있네요.

정리하자면!
1. 우회전은 신호를 받아야 할 수 있다!
2.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라도, 사람이 앞에 서 있다면 무조건 정지!
3. 자나깨나 자전거 조심!

독일 비보호 좌회전 - dog-il biboho jwahoejeon

위의 로고를 누르면 다니엘 에셋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