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컴프레서(Compressor)의 작동원리는 잘 이해하고 있다면, 보컬 (Vocal)을 어떻게 컴프레션(Compression)해야할 지도 감이 생깁니다. 믹싱트랙을 작업하는 것은 귀에 의존해야하는 것이 절대적이지만, 그 원리를 잘 이해하고 있으면 '내가 무슨 작업을 하고 있는지'를 명확히 하면서 믹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설명은 Logic의 기본 컴프레서를 활용했습니다. 

1. 컴프레서를 보컬에 적용하는 철학

본래의 사운드를 해치지 않으면서 보컬의 튀어나온 부분들을 컴프레서로 정리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무리 투명한(Transparent)성향의 컴프레서라도 보컬 톤 자체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물론 일부로 튜브 성향의 컴프레서를 사용하여 톤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키기도 하지만, 우선은 녹음때 우리가 듣고자 했던 보컬의 그 느낌을 믹싱 상에서 그대로 잘 유지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2. 컴프레서 초기 세팅

우선은 신호가 그대로 통과해서 컴프레서가 걸리지 않도록, Threshold 값은 0, Ratio는 1:1 (또는 off, 혹은 가장 낮은 값으로), Knee 값도 off로 합니다. 컴프레서가 걸리거나 걸리지 않은 효과를 즉각적으로 들을 수 있도록 일단 어택(Attack)과 릴리즈(Release)는 가장 빠르게 설정해둡니다.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3. Threshold 조정

Verse와 Chorus의 다이나믹이 차이가 큰 트랙은 트랙을 나누어서 따로 처리하기도 합니다. 이 부분은 다르게 다루어야할 문제이고, 여기서는 같은 Verse라도 보컬의 컨디션, 목상태, 공간, 마이크를 잡는 거리 차이에 따라 다이나믹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를 다룹니다. 이러한 다이나믹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볼륨이 큰 부분을 줄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Ratio는 2:1 정도로 세팅하고, Thresohld를 조정하면서 볼륨이 큰 부분에만 컴프레서가 걸리도록 설정합니다.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4. Ratio 조정

컴프레서가 걸린 파트가 소리 크기를 들으면서 여전히 큰 부분이 있다면 Ratio를 조금씩 높여가면서 제어할 수 있도록 조정해줍니다. 전반적으로 큰 부분이 잘 제어가 된 상태라면 Ratio를 조정하지 않거나, 조금 낮춰주는 것도 좋습니다.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5. 어택과 릴리즈 조정

어택 타임은 컴프레서가 완전히 걸리기 까지 걸리는 시간을 제어하므로, 빠르게 하면 존재감이 약화되고 느리게 하면 존재감이 강화됩니다. 우리가 다루고 있는 메인 보컬은 존재감이 필요하므로 느린 어택이 좋습니다. 이때 어택 타임이 길면 컴프레서가 완전히 작동하는데에 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Threshold를 살짝 낮추어 컴프레서 이전보다 더 일찍 걸리기 시작하도록 설정하면 좋습니다. 

릴리즈 타임은 컴프레서가 작동을 멈추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제어하므로, 느린 릴리즈를 통해 전체 사운드를 부드럽고 일체감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비트감 있는 곡이나 랩의 경우 릴리즈 타임을 빠르게 설정하여 다이나믹을 강조할 수도 있습니다. 보통의 가요나 팝의 Verse의 경우 보컬의 목소리가 부드럽게 이어지고 큰 다이나믹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느린 릴리즈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6. Knee와 Ratio 정리

Verse에서 보컬의 다이나믹 변화가 크지 않으므로 살짝 컴프레서를 걸었을 때 Knee는 적은 값을 주어도 좋습니다. 부드럽게 컴프레션이 걸리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컴프레서가 걸릴 시점의 소리를 들어가면서 Knee값을 설정해 줍니다. 

어택과 릴리즈 타임이 변화했으므로 컴프레서가 걸릴 때의 볼륨도 달라졌습니다. Ratio를 살짝 변경하여 원하는 볼륨 레벨로 맞춰주는 것이 좋습니다.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이와 같은 보컬의 컴프레서 적용은 가요 팝의 다이나믹 차이가 크지 않는 Verse부분이나, 재즈 등에서 사용하기 좋습니다. 중요한 점은 항상 녹음 때 받았던 좋은 느낌을 상상하면서 그 느낌을 믹싱 상에서 녹여내기 위해 컴프레서를 사용한다는 철학입니다. Verse나 Chorus를 구분해서 서로 다른 트랙으로 만들었다고 하더라도, 같은 컴프레서로 사운드 느낌을 비슷하게 가고, 컴프레서의 매개변수(Parameter)들만 조정하여 원하는 느낌을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MR 트랙에 스테레오 효과 주기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MR 트랙에 Plugin Alliance SPL IRON 마스터링 컴프레서를 걸고

1) 프리셋에서 MR_Mix Buss를 선택한다.

   이 프리셋은 M/S 컴프레싱으로 사이드 채널을 부각시켜서 스테레오 효과를 확장시킨다.

2) M 채널 설정 값과 S 채널 설정 값을 다를게 주기 위해 PARAMETER LINK를 OFF 한다.

3) M 채널과 S 채널의 트레숄드를 조절해서 게인 리덕션 양이 2dB를 넘지 않도록 조절한다.

4) 필요하다면 PARALLEL MIX 노브를 이용해서 스테레오 효과를 줄이거나 늘린다.

딜레이 사운드가 두드러지지 않고 잘 묻히게 설정하기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Valhalla Delay를 걸고

1) SPREAD 값을 6 - 12 정도를 준다.

   SPREAD 값은 왼쪽 채널에는 더해지고(122 + 7) 오른쪽 채널에는 빼져서(122 - 7) 좌우 채널 간에

   시간차를 만든다.

2) DIFF의 Amount 값을 적당히 키워준다.

   DIFF의 Amount 값을 키우면 딜레이 사운드가 리버브가 걸린 것처럼 공간감이 생기고 흐릿해진다.

   * 딜레이나 리버브의 톤을 만들 때는 딜레이나 리버브가 걸린 FX 채널만 솔로로 들으면서 작업한다.

3) DIFF의 Size 값을 수정해서 공감의 크기를 정한다. 

4) EQ나 ERA 값도 바꿔가면서 적절한 톤을 만든다.

5) Mode도 Digital이나 HiFi로 바꿔보면서 적합한 톤을 찾는다.

<딜레이 디폴트 값 예시>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Feedback을 43까지 올려보자! DIFF의 리버브 사운드를 싫어하는 사람도 있으니, 사용에 주의 요망!!!

보컬에 스테레오 효과 주기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보컬과 딜레이 그리고 리버브를 하나의 버스 채널로 보낸 다음에

그 버스 채널에 Ozone 9 Imager를 걸어준다.

1) 밴드를 추가해서 모노로 유지할 부분과 스테레오 효과를 줄 부분으로 나눈다.

2) 스테레오 효과를 줄 밴드의 Width 값을 올려주면 그 밴드의 Side 채널 볼륨이 커져서

   스테레오 효과가 커진다.

3) Stereoize Mode II를 켜준다. 필요하다면 슬라이더를 조절해서 값도 바꾼다.

   (Mode I은 시간(딜레이) 기반 스테레오 효과라서 비추)

* 90Hz 이상부터 스테레오 효과를 주는 방법도 있지만 5KHz 이상만 스테레오 효과를 주는 방법도 있다.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 최종 예시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MR과 보컬이 서로 잘 묻게 하기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마스터단(Main Out)에 Plugin Alliance BrainWorx bx_townhouse 버스 컴프레서를 걸고

1) 프리렛에서 Master Glue를 선택한다.

2) 트레숄드 값을 조절해서 게인 리덕션이 2dB를 넘지 않게 조절한다.

3) V-Gain(아날로그 노이즈) 값을 최소로 낮춘다.

4) 필요하다면 Mix 값도 적절히 가감한다.

고음부가 거친(Harsh) 보컬 부드럽게 정리하기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보컬 트랙에 McDSP SA-2 Dialog Processor를 걸고

1) 프리셋에서 Sibilant Solo를 선택한다.

2) 각 밴드(특히 우측의 밴드)의 트레숄드 값을 적당히 조절한다.

3) 너무 밋밋해진 고음부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SA-2 Dialog Processor 다음에 Maag EQ4를 걸고

   Air 밴드를 추가해 준다.

* Band Mode에서 Vari를 선택하면 밴드가 더 넓어지는 것이 아니고 각 밴드별로 다양하게(?) 변한다.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첫번째 밴드 중심 주파수는 3000Hz 대
보컬 부드럽게 믹싱 - bokeol budeuleobge migsing
마지막 밴드의 중심 주파수는 11000Hz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