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케인 보공 추옵 - akein bogong chuob

방어구에 붙는 공/마의 경우 통상적으로 공/마 1당 주스탯 3~5 정도로[32] 쳐주는 편이라 그렇게까지 많이 좋지는 않은 편. 특히 스탯 추옵이 높게붙는 고레벨 장비로 갈 수록 더하다. 그래도 방어구 급수를 따질 때 의외로 공/마가 붙어서 급수가 달리지거나 올스탯, 주스탯과 같이 달린다면 좋게 볼 여지는 충분히 있다. 단 스펙업 요소가 제한적이고 올스탯퍼 효율이 거의 안 나오는 데몬어벤져의 경우 HP와 더불어 우선적으로 챙겨야 한다.

6.2. 데미지%[편집]

종류

범위

데미지 증가

(일반) 데미지 - +1% ~ 7%

보스 공격 시 데미지 - +2% ~ 14%(2%단위로 상승)

유형

추천 등급

고추옵 무기

S

중추옵 무기

A


무기에만 부여되는 추가옵션으로 일정 %만큼 상승하는 옵션이 부여될 수 있다. 보스 공격 시 데미지는 90레벨 이상의 무기에만 붙는다.

설정 확률이 다소 낮고 증가폭이 떨어지며 주로 공격력/마력 추옵이 데미지 증가에 더 기여하므로 우선도는 낮다. 다만 높은 공추옵과 같이 붙으면 우선도가 높아진다.

6.3. 스탯 증가[편집]

종류

범위

스탯 증가

스탯 +n - 장비별 레벨마다 다름

유형

추천 등급

전직업 방어구

S

전직업 무기

A

데몬어벤져

D


말 그대로 스탯이 증가한다. 스탯+n은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하나의 스탯만 상승하는 단일 스탯, 나머지 하나는 두 개의 스탯이 동시에 상승하는 이중 스탯이다. 단일 스탯은 4종류, 이중 스탯은 STR + DEX, DEX + INT 처럼 2개가 하나로 묶여서 6종류가 있다. 단일 스탯과 이중 스탯이 어떻게 붙는지 알고 싶다면 먼저 상수를 구해야 하는데, 상수의 공식은 아래와 같다.

  • 단일 스탯 상수 = (장비레벨[주의][34] / 20의 몫) + 1 (이하 A)

  • 이중 스탯 상수 = (장비레벨[주의] / 40의 몫) + 1 (이하 B)

단일 스탯은 A x (1 ~ 7)까지 붙는다. 160제 장비를 예로 들면 9 x (1 ~ 7)을 해서 9 ~ 63까지 붙는다는 이야기
이중 스탯역시 B x (1 ~ 7)까지 붙는다. 160제 장비를 예로 들면 5 x (1 ~ 7)을 해서 5 ~ 35까지 붙는다는 이야기.

추옵으로 붙는 스탯은 이 단일 스탯으로 붙은 스탯과 이중 스탯으로 붙은 스탯이 합산되어서 최종 반영된다. 그런데 위에서 추옵은 중복으로 붙지 않는다고 했기 때문에 좀 이상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예시로 단일 스탯 STR과 이중 스탯 STR + DEX, 이중 스탯 STR + INT는 서로 다른 종류의 추옵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그렇기에 단일 STR 36이 붙고 이중 STR + DEX가 15가 붙고 이 둘의 STR이 합산되어 STR이 51이 붙는 모습이 나올 수 있는 것. 만약 같은 추옵으로 취급되어 중복되어 붙지 않는다면 STR 51과 같은 추옵은 나올 수 없다.

6.4. 올스탯%[편집]

종류

범위

올스탯 증가

올스탯 +% - +1% ~ 7%

유형

추천 등급

전직업 방어구

S

전직업 무기

B

스탯% 아이템이 많은 경우

A

데몬어벤져

D


모든 스탯을 %단위로 올리는 추가옵션. 70레벨 이상의 장비 아이템에 붙는다.

올스탯+%의 경우 통상 1%당 주스탯 10[36]으로 취급해서 계산하고, 고스펙이 될수록 타 스탯퍼 대비 비율이 줄어들으므로 효율이 떨어진다.[37] 일반적으로 방어구나 장신구에 붙을 시 높이 평가하고 있고 무기도 공마 추옵보다 우선순위가 떨어질 뿐 같이 떠주면 스탯 상승량이 낮지 않은만큼 더 바랄 것도 없이 좋다. 그러니 적절히 저울질을 해서 자신의 스펙에서 더 높이 올라가는 것으로 구해서 쓰면 된다.

6.5. MaxHP/MaxMP[편집]

종류

범위

MaxHP/MaxMP

장비 레벨[38]×3×(1~7)

유형

추천 등급

데몬어벤져(HP)

S

기본 HP나 MP가 적은 직업

B

제논(MP)

D


최대 HP와 MP를 증가하는 추가옵션. HP가 주스탯인 데몬어벤져에게는 스탯 +n급으로 우선도가 높다. 나머지 직업은 잘 쓰이지 않으나 기본 HP나 MP가 적거나 누수가 심한 직업군은 고려해볼 만하다. 제논의 경우는 오버로드 모드의 지속시간을 조금이라도 늘릴 수는 있지만 효과는 매우 작다.

6.6. 착용 제한 레벨 감소[편집]

종류

범위

착용 제한 레벨 감소

-5 x (1 ~ 7)

유형

추천 등급

유니온 육성

A ~ B+

나머지

D


아이템의 착용 제한 레벨이 감소한다. 카루타 세트나 네크로 세트 아이템, 여제셋이나 반 레온셋 등등의 템들은 저렙 링크 캐릭용으로 애용받는다. 다만 이 옵션도 붙을 수 있는 추가옵션 수에 들어가므로 이 옵션이 붙으면 다른 옵션 하나를 포기해야 한다. 카오스 루타비스 세트 아이템까지는 주스탯 90급 이상 고추옵이 아니면 비교적 저렴하므로 착감이 붙은 세트아이템이 많이 이용되지만 보통 200레벨 이후에 맞추기 시작하는 앱솔랩스 세트부터는 초고자본 유저들이 부캐 육성한다고 쓰는 경우가 아닌 이상 이 옵션이 쓸모없어진다.

6.7. 나머지[편집]

이외에 일정 수치별로 증가하는 이동속도, 점프력 향상 추가옵션도 있으나, 영 쓸 데가 없다.

그 밖에도 명중치와 회피치 옵션도 있었으나 V 매트릭스 업데이트와 함께 삭제되었다. 다만, 옵션이 삭제되기 전에 뽑은 추옵은 표기는 사라졌지만 실제로는 남아있는데, 검은 환생의 불꽃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7. 추가옵션 보는 법[편집]

110~200 무기(제로 1~10형 포함), 130~200 방어구 추옵표 링크

7.1. 방어구, 장신구[편집]

일반적으로 올스탯 1% = 주스탯 10, 공/마 +1 = 주스탯 4 정도로 잡고, 순수 주스탯 추옵과 올스탯/공마 추옵을 합해서 해당 장비의 추가옵션이 어느 정도 효율인지를 가늠한다. 고스펙일수록 올스탯% 및 공/마 추옵의 효율이 감소하고 깡스탯 추옵의 효율이 올라가지만, 이런 초고스펙 유저들은 소수이므로 일반적으로는 위의 식을 따른다.

가령 특정 방어구에 순수 주스탯 추옵이 15, 올스탯%가 4% 붙었다면 해당 장비는 15 + 4*10 = 55만큼 주스탯 추옵이 붙은 것으로 치며, 55급 추옵이라고 부른다. 만약 방어구에 순수 주스탯 추옵이 55, 올스탯%가 5% 붙었으면 해당 장비는 55 + 5*10 = 105 만큼 주스탯 추옵이 붙은 것으로 치며, 105급 추옵이라고 부른다.

방어구나 장신구의 경우엔 일반적으로 이런 방식으로 계산해서 추옵이 100 이상 붙은 100급 추옵 혹은 그 이상의 추옵이 붙은 장비를 평생템으로 선호하며, 100급 추옵템을 살 형편이 안 된다면 못해도 6~70급 정도 되는 템은 써야 평타 정도는 된다고 여겨진다. 보통 초반에는 6~70급대 템에 70% 주문서작과 에픽 잠재를 달아서 보스를 잡으며 돈을 벌다가 노작 100급 추옵템을 사서 30% 완작 및 토드를 해서 쓰는 편이다. 주기적으로 선데이 메이플 스타포스 강화 이벤트가 열리고, 주흔도 퍼주기 때문에 30퍼 완작+17성+에픽 9%+에디공 10 정도까진 직작으로도 할만하다.

방어구 및 장신구 한두 부위를 고추옵으로 바꾸는 건 크게 체감이 안 갈 수 있지만 여러 부위를 모두 고추옵 방어구로 바꾸면 스탯 상승량이 꽤나 크기 때문에 평생템으로 쓸 것이라면 최대한 높은 추옵의 아이템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현재는 추옵 확률 조정 패치로 100급 이상 추옵을 뽑기도 쉬워졌고, 100급 이상 추옵 아이템들의 가격도 많이 내려갔으니 어지간해서는 100급 이상 추옵의 템들을 사는 것을 추천한다. 다만 앞서 언급했듯이 올스탯% 옵션은 다른 장비에도 올스탯%가 많이 붙었다면 효율이 낮아지니 만약 메이플을 오래 하면서 랭커급 스펙을 노린다면 올스탯%와 깡추옵의 비율이 적당히 맞는 추가옵션을 구하는 것이 좋다.

이하는 더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아케인 보공 추옵 - akein bogong chuob


STR+INT 3추, 올스텟 4추의 상의. 해당 장비는 마법사 아이템이니 인트 값만 계산하면 60급 템이다. 나쁘진 않은 템이지만 본캐 평생템으로 쓰긴 아까우니 적당히 강화해주고 초반에만 잠깐 쓰다 더 좋은 템으로 넘어가면 된다.

아케인 보공 추옵 - akein bogong chuob

LUK 3추, INT+LUK 3추, 올스텟 3추의 귀고리. 해당 장비는 마법사 기준으로는 인트 20 + 올스탯 5% = 70급템이고, 도적 기준으로는 럭 55 + 올스탯 5% = 105급 템이다. 만약 본캐가 도적 직업군이라면 이 정도 아이템은 되어야 제대로 강화하고, 오랫동안 쓸만하다.


아케인 보공 추옵 - akein bogong chuob


극추옵 아이템의 대표적인 예시. STR 2추, STR+LUK 2추, DEX 2추, 올스탯 2추가 붙어서 무려 144급 템이다. 기본적인 깡추옵도 80이 넘기 때문에 고스펙에서도 효율이 좋고, 이 정도 아이템은 노작만으로도 수십억 이상의 가격이 책정된다.

7.2. 무기[편집]

무기의 경우엔 스탯은 크게 신경쓰지 않고 공/마 추옵에 따라 어느 정도 추옵을 가진 아이템인지를 본다. 가장 높은 공/마 추옵은 1추, 두번째로 높은 건 2추 같은 식으로 등급이 나뉜다.[39] 여기에 무기에는 추가로 보공 및 데미지% 추가옵션이 붙는다. 공/마를 제외한 추옵의 우선순위는 보공 > 데미지% > 올스탯% > 주스탯 > 잡스탯이다.

예를 들어서 아케인셰이드 투핸드소드(두손검)의 경우엔 기본 공이 295고, 공추옵이 "54 / 78 / 108 / 142 / 182" 이렇게 붙는다. 이 경우에는 이런 식으로 보면 된다.

  • 182 = 1추

  • 142 = 2추

  • 108 = 3추

  • 78 = 4추

  • 54 = 5추


일반적으로 본캐로 쓸 평생템은 적어도 2추 이상은 노리는 편이고, 최상위 보스를 노리는 랭커급 유저를 목표로 한다면 최소한 1추급 아이템 혹은 2추에 +@가 많이 붙은 아이템 이상을 권장하는 편이다.

데미지, 올스탯 관련 추가옵션이 더 붙는다면 이야기가 조금 달라진다. 보통 n추 보공 혹은 n추 보뎀올 같은 식으로 부르는데, 보공이나 뎀퍼가 붙은 템은 그 윗급 공/마 추옵이 붙은 템 이상의 성능을 자랑한다. 가령 공 2추옵에 데미지 5% 이상이나 보공 12%가 딸려있으면 그 템은 1추옵 이상의 성능을 보이는 템으로 평가받는다. 만약 공격력 1추에 데미지 5%+보공 10% 같은 옵션이 붙었다면 그건 그야말로 전섭급 무기인 셈이다.

이하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아케인 보공 추옵 - akein bogong chuob


공추옵이 하나도 안 붙은 망추옵의 예시. 이런 무기는 무조건 거르면 된다. 터진 아이템을 전승시키거나 직접 환불작을 할 생각일 때, 노작템 중 가장 싼 경우에만 구매한다.

아케인 보공 추옵 - akein bogong chuob


2추에 보공과 데미지% 옵션이 달린 선호추옵의 예시. 이런 추옵을 2추 보뎀이라고 부른다. 이 정도 추옵이면 1추 이상의 성능을 보이는 터라 최상위 보스 격수까지도 넉넉히 쓸 수 있는 아이템이다.

아케인 보공 추옵 - akein bogong chuob


무기류 극추옵의 예시로, 공격력 1추, 보공 3추, 데미지 3추, 올스탯 3추가 전부 달린 1추 보뎀올 무기이다. 이런 무기는 한 서버에 하나가 있을까 말까 하는 수준이며 당연히 부르는 게 값일 정도의 위력을 자랑한다.

[1] 현재는 추가옵션이 밝은 녹색으로 표기된다.[2] 단, 혼목, 카혼목, 영생의 돌을 제외한 보스 장신구와 마이스터, 스칼렛, 각종 보스 레이드에서 얻을 수 있는 세트 장비는 추가옵션이 4개로 고정된다.[예외] 보물의 룬, 엘리트 보스 보상으로 획득한 장비아이템은 최대 7단계까지 붙을 수 있다.[4] 무기의 공격력/마력의 -3 ~ +7값[5] GMS와 통합하게 되었다.[6] 2018년 6월 20일(현지시각)에 있을 GMS 아크 업데이트 때 추가되었다.[7] 2021년 5월 26일 도입 예정[8] 이렇게 다시는 교환할 수 없게 된 아이템을 유저들은 문신템이라고 부른다.[9] 110제 장비여도 착용 레벨이 30 올라가 140제가 된 장비도 포함되며 이때는 가위 사용 가능 횟수가 20이다.[10] 무한으로 교환할 수 있는 아이템에 환생의 불꽃을 사용하여 폭탄돌림당하는 경우가 있다. 이 특징 덕에 무교돌이의 대표 아이템인 무스펠 아이템에 추가옵션이 높게 붙으면 비싼 가격에 팔린다.[11] 사용하면 카르마 영원한 환생의 불꽃을 5개를 받을 수 있다. 매주 월요일마다 환생의 불꽃이 충전되면서 환생의 불꽃을 다시 받을 수 있다. 충전 횟수는 총 5번이고 충전 횟수를 모두 소모하면 상자가 없어진다. 아이템 출시 초기엔 환생의 불꽃을 7개 증정했었으나 RISE 패치 이후론 5개로 줄어들었다.[A] 12.1 12.2 12.3 12.4 가위를 사용할 수 없어 장착하면 영구 교환불가인 아이템, 교환 불가 아이템 중에 실버 카르마의 가위를 사용하여 교환할 수 있는 장비아이템이다.[카르마] [일반] [16] 유저들 속칭 2~5추옵. 가장 높은 추가옵션을 1추옵(1등급 추가옵션의 줄임말)으로 부른다. 강력한 환생의 불꽃에서는 1등급 추가옵션이 나오지 않는다.[18] 즉, 강력한 환생의 불꽃에서는 등장하지 않는 가장 높은 추가옵션인 1추옵을 뽑을 수 있다.[19] 영원한 환생의 불꽃 드롭률의 절반.[20] 특히 영원히 꺼지지 않는 검은 불꽃 유일한 수급처는 엘리트 몬스터를 잡거나 경매장에서 억대 메소를 사용하고 구입하여야 수급가능하나 개당 억대이다 보니 비용이 만만치 않다 현재 무자본들이 의지할 수단은 엘리트 몬스터 드랍 뿐이다.[21] 영환불 대리작인데 강환불을 돌리는 사기를 치는 유저들이 생각보다 많다. 따라서 대리작을 맡길 무기에 추가옵션이 어느 수준으로 뜨는지 미리 확인하자.[22] 우르스, 유니온 상점에서 등장한다. 그에 따라 상시로 얻을 수 있다.[24] 환생의 불꽃 레벨 110~150은 5회, 나머지는 10회[25] 통상적으로 가위 횟수가 3회 미만이 되면 가격이 무지막지하게 싸진다.[26] 개당 최소 천만 메소는 각오해야 한다. 각종 이벤트나 유니온 등으로 얻는 교불 환생의 불꽃을 저렴하게 살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먹튀당할 위험도 각오해야 한다.[27] 대표적으로 110제 이하의 일반 장비들, 120제 이클레틱/브히제르, 130제 무스펠/쟈이힌, 140제 펜살리르/우트가르드.[28] 획득한 당시에만 3~7단계 적용이며 환생의 불꽃을 사용한다면 일반 장비처럼 취급되어 최대 5단계 까지만 적용된다.[29] 자쿰의 포이즈닉 무기류, 네크로 세트, 로얄 반 레온 세트, 여제 세트, 카오스 루타비스 세트, 앱솔랩스 세트, 아케인셰이드 세트 등.[주의] 30.1 30.2 30.3 착감으로 내려간 레벨은 제외하고 장비의 원래 렙제를 기준으로 한다[31] 계산 엑셀 시트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ojfJ5CNKa038rWYEWQvWH95dzoP89Hh4BG1fEZ98Sq4/copy[32] 직업/무기 기본 공격력과 본인의 스펙에 따라 달라지는데, 기본 공격력이 낮은 직업들이 공격력 효율이 좋고 고스펙으로 갈수록 효율이 대체적으로 떨어진다. 기본 마력이 높은 마법사들은 마력 1당 INT 3~4 정도가 나오고, 템에 비해 아케인심볼 스탯이 높은 무·저자본 유저들은 공격력 1당 주스탯(STR/DEX/LUK) 5 정도가 나온다. 일반적인 추옵 급수 계산은 공/마 1 당 4로 취급한다.[34] 예외로 에테르넬 세트 방어구는 250이 아닌 220으로 취급하여 계산한다.[36] 150~210레벨대의 일반적인 에픽 9% 둘둘 유저들이 이 정도 효율이 나온다.[37]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핑크빛 성배 등의 포켓 아이템이 있는데, 본인이 착용 중인 성배와 깡추옵(주스탯과 부스탯이 모두 같아야 한다.), 공마 추옵이 같고 올스탯%가 다른 성배 하나와, 깡추옵이 다르고 올스탯%, 공마 추옵이 같은 성배 하나를 비교하여 그 스탯 차이에 따른 스공 상승량이 몇이나 오르는지 비교하여 비례식을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이 있다. 이를 응용하여 공격력 1당 주스탯 효율도 계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