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103번 버스 시간표 - yong-in 103beon beoseu siganpyo

2022년 07월 16일 갱신
기점 : 용인터미널
종점 : 청강문화산업대입구
첫차 시간 : 08:00
막차 시간 : 20:50
(첫차, 막차는 정류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배차 간격 : 125

시내버스 노선

용인터미널
·
터미사거리
·
포브스병원
·
우성아파트
·
동부동행정복지센터
·
신흥
·
삼박곡
·
신평리
·
송문3리
·
송문리
·
용인장례식장
·
남곡리
·
양지14리
·
등촌.약천사
·
양지면사무소
·
양지농협
·
양지사거리
·
학촌
·
제일2리
·
추계리
·
계밀양
·
식금리
·
양촌리
·
오천리
·
마장우체국
·
마장면사무소
·
마장중학교
·
삼진정보통신
·
덕평1리
·
덕평2리.성진아파트
·
제일제당
·
넥스필앞
·
이평삼거리
·
이평2리
·
연수원
·
해월리
·
지산리조트입구.경희마트
·
청강문화산업대입구
·
청강문화산업대
·
지산리조트입구.경희마트
·
해월리
·
연수원
·
이평2리
·
이평리
·
넥스필앞
·
제일제당
·
덕평2리.성진아파트
·
덕평1리
·
삼진정보통신
·
마장중학교
·
마장면사무소
·
마장우체국
·
오천리
·
양촌리
·
식금리
·
계밀양
·
추계리
·
동일주유소
·
양지우체국
·
양지농협
·
양지면사무소
·
등촌.약천사
·
양지14리
·
남곡리
·
용인장례식장
·
송문리
·
송문3리
·
신평리
·
삼박곡
·
신흥
·
동부동행정복지센터
·
우성아파트
·
포브스병원
·
용인터미널
·
용인터미널
·

  • 용인 103번 버스 노선
  • 시내버스 노선

용인 버스 103 (r20220720판)

문서 조회수 확인중...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편집]


용인시 일반시내버스 103번
기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용인공용버스터미널)
종점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해월리(청강문화산업대학교)
종점행
첫차
08:15
기점행
첫차
09:05
막차
21:30
막차
22:20
배차간격
1일 7회(120~135분)
운수사명
경남여객
인가대수
1대
노선
용인터미널 - 포브스병원 - 신평리 - 송문리 - 양지면사무소 - 학촌 - 제일2리 - 추계리 - 오천리 - 덕평리 - 이평리 - 지산리조트입구 - 청강문화산업대학교

2. 개요[편집]


청강대 용인권 스쿨버스. 왕복 운행거리는 4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1996년 청강대 개교와 함께 개통했다. 이 때는 10-3번이었으며, 수원역까지 갔다. (수원역까지 운행할 당시 사진)

  • 노선이 지나치게 길고[1][2], 동백지구가 발달하면서 2006년 8월 8일에 기점을 초당마을로 변경하면서 '동백 - 수원' 수요만을 신경쓰기로 했다. 대신 같은 날에 103번을 신설해 청강대 쪽 공백을 메꾸기로 했다. 이후 10-3번은 2008년 12월에 66-4번으로 흡수되었다.

  • 2021년 11월 23일부터 시간표가 변경되어 기존보다 1회 감회된 용인~청강대 구간을 1일 7회 운행한다.

4. 특징[편집]


  • 2014년 2월 기준으로 이 노선에 투입된 버스가 대형 고상차량이지만 단 1대 뿐이라, 배차간격이 무려 2시간이다.

  • 배차간격이 2시간으로 운행 시간이 길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운행하는 버스기사의 입장에서는 하루종일 운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첫차 시간은 8시지만 103번 버스의 첫 운행은 6시에 3번노선을 왕복운행하고 8시부터 103번 노선을 운행해야 한다. 실제 운행하는 기사의 입장에서는 아침 6시부터 쉴 틈 없이 운행해야 하고 밥먹을 시간조차 없을 정도이다. 노선에 개선이 필요하지만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눈치이다. 노선을 운행하는 기사들도 자주 바뀌는 이유가 오랜 운행시간과 쉬는 시간이 없어서 다른 노선으로 변경해달라고 해서이다.

  • 배차간격이 상당히 안습하기 때문에 교통카드 환승할인 제한시간을 넘어버리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런 수모를 여러번 겪어본 사람은 이 버스 도착 시간을 외우고 다닌다. 급하게 학교에 갈 일이 있는데 버스가 출발하고 없다면 3번 버스를 타고 오천리에서 12번 버스로 환승하는 방법도 있지만, 문제는 12번 버스 배차시간도 만만치 않다. 오천리에서 내려서 12번 버스로 환승 하려는데 그때가 겨울이라면 그야말로 헬게이트.

  • 제일리 골목 안쪽을 시원하게 무시하고 중부대로를 통해 바로 삼거리로 간다. 때문에 제일리삼거리 부근에 거주하는 주민은 3번보단 이 버스를 선호한다.
  • 용인터미널, 양지, 오천리 부근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정류장을 건너뛴다. 타고 내릴 사람이 없다. 그 쪽 주민들은 배차간격이 짧은 3번이나 10번, 970번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이다. 덕분에 기사가 과속을 좀 한다. 좀이 아니다.
  • 이 노선에는 초저상버스가 운행 중이다.

  • 용인공용버스터미널 안에서 승하차한다. 승차홈은 12번홈이며, 매표는 하지 않는다.

  • 거리비례제 적용 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 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4.1. 수요[편집]


  • 정규학기 때 아침에 이 버스를 타면 통학하는 학생들로 인해 미어터지는 버스를 볼 수 있다. 심할 때는 출입문 앞까지 사람들이 들어차 있어서 승객을 더 이상 태울 수 없게되자 기사가 뒤에 오는 3번을 이용하라고 말하고 가버린다.[3] 청강대가 방학에 들어가면 그야말로 공기수송. 두세 명만 타고 다닌다.

  • 수도권 전철 경강선 개통 이후 청강대생 이용객이 감소했다고 한다. 문제는 가뜩이나 적자인 노선인데 경강선 때문에 그 수요마저 일부 빼앗겨 폐선될수도 있다는 카더라가 있었으나, 학교에서 용인으로의 수요도 제법 있어서 묻혔다.

  •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이 열리는 날이면 방학임에도 불구하고 하루종일 예비차를 투입하며, 12번처럼 지산리조트 안쪽을 경유해 지나간다. 이 때 지산락페에 참가하려는 사람들로 인해 이 버스 역시 가축수송을 이룬다. 때문에 앞서 말했듯 평일엔 아침에만 운행하는 예비차를 하루 종일 운행한다. 2016년 락페때는 두대만으로 운행하는게 부족했던 탓인지 예비차를 두대나 투입했는데 그 중 한 대가 직행좌석버스 도색의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였던 전설이 아닌 레전드가 있다.(..) 승객이 많아서 의도된듯 하다. 하지만 지산 록 페스티벌이 망해버리는 바람에 그냥 지나가는 역사가 되어버렸다.

4.2. 기타[편집]


  • 만약 청강대로 갈 때 21시 30분 막차를 놓쳤다면 3번 버스 22:20 막차를 타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오천리에서 12번 버스 막차는 이미 떠나고 없을 것이다.[4]

  • 오천리에서 내리면 수려선의 오천역으로 갈 수 있었다. 수려선이 폐선된 이후에도 역사가 계속 남아 있었으나, 재개발로 인해 철거되었다.

  • 차내 교통카드 단말기의 노후화로 인해 2016년 1월 즈음부터 모바일 티머니가 잘 찍히지 않는 오류가 발생했다. 이 오류는 이 버스 뿐만이 아니라 경기도 내 모든 버스 중 노후화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이와 관련한 내용은 티머니 문서를 참고.

4.3. 시간표[편집]


  • 오전 6시 정각에 용인터미널에서 출발하는 103번 차량은 3번 버스 지원 운행 차량이다.[5] 따라서, 차량 외부는 103번으로 되어 있으나, 이 때만 청강대로 가지 않는다. 이 때는 이천터미널로 가므로 청강대, 덕평리 쪽으로 가는 사람이 있다면 오천리에서 내려 12번 등으로 갈아타야 한다.

용인 버스 103번 운행시간표(평일, 주말·공휴일 동일)
2021년 11월 23일 기준 / 용인터미널에서 발췌
횟수
용인터미널
청강대정문
비고
0
06:00
07:00(이천TR)
3번 지원 운행
(제일리·청강대 미경유)
1
08:15
09:05

2
10:15
11:05
3
12:30
13:20
4
14:45
15:35
5
17:00
17:50
6
19:15
20:15
7
21:30
22:20

5. 연계 철도역[편집]


  • 용인 경전철: 운동장·송담대역[6]

6. 관련 문서[편집]


  • 스쿨버스

용인 103번 버스 시간표 - yong-in 103beon beoseu siganpyo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8 16:51:50에 나무위키 용인 버스 10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오천에서 마주쳤던 수원 - 이천 시외버스와 이 버스가 수원IC에서 만났다는 소리도 있었는데 이는 이 노선의 승객이 부족할 수밖에 없었던 노선 구조(어정 경유를 제외하면 용인터미널 - 수원역 구간이 10번과 동일하다.)상 생긴 에피소드.[2] 거의 서울 버스 704번과 맞먹는 길이였다.[3] 이로 인해 3번을 타고 오천리에서 12번을 이용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4] 만약 이렇게 됐을 때 오천리에서 택시를 타고 갈 수 있겠다고 생각하겠지만, 추천하지 않는다. 택시를 탈 거면 용인터미널에서 백암행 10번 버스를 타고 백암에서 택시를 타고 학교로 들어가는 게 훨씬 더 이득이다.[5] 청강대 대신 이천터미널로 가지만 103번이라는 인식상 3번 구간의 제일리 구간은 경유하지 않는다.[6] 포브스병원 하차 후 도보.

분류

  • 용인시의 시내버스
  • 이천시 경유 관외 노선
  • 2006년 개업한 버스 노선

관련 문서

  • 여수 버스 103
  • 사람 얼굴 모양 신라토기
  • 전주 버스 103-1, 103-2
  • 여수 버스 105
  •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