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 약 이름 - yeoglyuseong sigdoyeom yag ileum

역류성 식도염 약 이름 - yeoglyuseong sigdoyeom yag ileum

오늘도 역류성식도염을 치료하려고 하는 분이 한의원을 찾아주셨습니다.

아주 오랜 기간 약을 복용하고, 식도염에 좋다고 하는 양배추즙도 먹어 보고, 이런저런 치료를 해보셨지만 계속 재발한다고 말씀하십니다.

강황이 식도염에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먹었다가 더 아파서 고생했다고 하면서 내원하셨네요.

이런 분들을 치료할 때, 복용해왔던 역류성 식도염 약이 어떤 것이 있었는지 확인하고, 이런 약을 복용했을 때, 경과가 어떠했는지를 꼭 체크를 한 이후에 치료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양배추 성분의 약을 복용했을 때, 더 더부룩했는지, 더 속이 쓰렸는지, 좋았는지에 따라 현재의 식도 염증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제산제나 위산분비 억제제를 복용했을 때, 위장 운동 촉진제를 복용했을 때 몸에서 어떤 반응이 나타났는지도 알면,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식도염이 있는 분들이 주로 복용하는 양약과 한약에 관하여 알아보고, 담적 치료 약이 어떤 장점이 있는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약 이름 - yeoglyuseong sigdoyeom yag ileum

역류성식도염약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약은 위산분비 억제제입니다.

PPI(proton pump inhibitor, 양성자 펌프 억제제)라고 부르는 약인데, 약 이름은 란스톤, 넥시움, 에소메졸, 놀텍, 에스원엠프, 덱실란트, 판토록, 라비에트, 파리에트, 라베원 같은 약이 여기에 속합니다.

약 이름을 검색해봤을 때, 성분명에 ~~ 졸이라고 적혀있으면서, 아침에 공복에 복용하거나, 저녁에 자기 전에 복용하라고 복약지시사항을 들으셨다면, 위산분비 억제제일 확률이 높습니다.

위산의 작용을 억제해서,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지 못하게 막는 작용인데, 그동안 식도의 상처받은 점막이 회복되기를 기다리는 것입니다.

강력한 제산 효과 때문에 최근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만 몇 가지 부작용도 있습니다.

장기 복용 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지만, 속이 아플 때 이 약의 복용을 중단하면 너무 아파서 견디지를 못하니, 장기간 계속 복용하고 있는 분들을 많이 봅니다.

역류성 식도염 약 이름 - yeoglyuseong sigdoyeom yag ileum

위산분비 억제제의 장점은 강력한 위산 억제 효과가 있다는 점입니다.

99% 이상 효과가 있다고 하던데, 실제로 매운 것을 먹고 속이 아프거나, 너무 속쓰림이 심해서 아무것도 먹지를 못하는 분들인 경우에 내과에 진료 의뢰를 하면 이 약을 처방받는 경우가 많고, 약을 복용하면 금방 좋아지더군요.

문제는 장기간 사용했을 때 생길 수 있는 건강상의 문제점이 있습니다.

신장 기능의 이상이나, 너무 강력한 제산 작용 때문에 위장으로 다른 세균 감염의 위험성이 커지는 것과, vit B12의 흡수를 방해해서 빈혈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위축성 위염이나 장상피화생이 있는 분들에게서 주로 나타는 점막 자극 때문에 위 통증이 생기는 경우, 장기간 약을 복용했을 때 약을 중단하기 어려워진다는 점입니다.

약을 때면, 속이 너무 아프거든요.

일상생활이 안 될 정도이고, 결국에는 약을 먹는 횟수를 점점 늘리게 되고, 그래도 속이 아프다고 호소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약 이름 - yeoglyuseong sigdoyeom yag ileum

역류성식도염약으로 자주 사용되는 약으로 수소이온 차단제가 있습니다.

시메티딘, 파모티딘, 록사티딘, 니자티딘, 라푸티딘 성분인데, 약 이름은 스토가, 라토딘, 스톨라푸, 타가메트, 시트리시메티딘, 싸이메트, 에취투비,가스터, 파모터, 가스트릭, 록사겐, 록사렉스, 로사딘, 엑시티딘, 엑사드, 엑사딘 등이 있습니다.

얼마 전에 발암물질 이슈가 있었던 라니티딘 성분의 약들은 다 퇴출되었습니다.

그 밖에도 유방에 물혹이나 종양 증가 위험, 고 프로락틴 혈증에 의한 뇌하수체 종양의 위험 등 몇 가지 부작용이 있지만, 그래도 위험성이 낮기 때문에 꽤 꾸준히 사용되는 약입니다.

주로 식후에 복용하라고 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제산 작용은 위산분비 억제제보다는 약하다고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 약 이름 - yeoglyuseong sigdoyeom yag ileum

갤포스, 알마겔, 개비스콘 같은 제산제도 있습니다.

이런 약들은 당장 속이 아프고 쓰릴 때 복용하면 완화시켜주는 효능은 있지만, 치료하는 약은 아니라고 봅니다.

그래서 단기간 증상 완화 목적으로 복용해야지, 장기간 다량으로 복용하면 다른 문제점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약 이름 - yeoglyuseong sigdoyeom yag ileum

위장운동 촉진제도 있습니다.

가스모틴, 벤즈날, 포리부틴,베부틴, 돔페리돈, 모티리톤 같은 약입니다.

보통 역류성식도염이 소화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약을 복용해서 소화를 좀 더 잘 되게 만들어줄 목적으로, 그래서 위산이 역류하는 것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복용합니다.

재밌는 것은 모티리톤이라는 약은 분홍색 약인데, 이건 한약재로 만든 약입니다.

현호색, 견우자라는 한약을 이용해서 만든 약인데, 한의사가 처방하는 것이 아니라 내과에서 처방합니다.

역류성 식도염 약 이름 - yeoglyuseong sigdoyeom yag ileum

항우울제 성분의 약도 역류성식도염약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다른 약에 반응이 없을 때에는 신경성이다, 스트레스성이다고 진단하고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약을 처방하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바리움, 디아제팜 같은 약입니다.

역류성 식도염 약 이름 - yeoglyuseong sigdoyeom yag ileum

한의원에서 처방하는 한약에 대해서도 알아봅시다.

한의원에서 역류성식도염을 치료할 때에는 크게 2가지로 약이 나뉩니다.

점막의 위축, 조직 변성을 치료하는 효능의 한약재와 위장 운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한약재입니다.

점막 재생의 효능이 있는 한약재는 주로 만성 위축성 위염, 바렛식도, 장상피화생 같은 만성 염증성 질환을 동반하는 분들에게 처방하는 편입니다.

양배추, 맥문동, 산약, 유근피, 옥죽, 구기자 이런 한약재들이 여기에 속합니다.

역류성 식도염 약 이름 - yeoglyuseong sigdoyeom yag ileum

위장을 더 잘 움직이게 하는 약재들은 보약 성분의 약재와 담적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약재로 나뉩니다.

보하는 효능의 한약재는 위무력증, 장 무력증처럼 기운이 없어서 위나 장이 잘 안 움직이는 분들에게 처방합니다.

많은 분들이 잘 알고 있는 인삼, 황기 같은 한약재들이 여기에 속합니다.

담적을 치료하는 약재는 몸속에 축적된 담적을 제거하여, 위나 장이 움직이는데 방해하는 것, 담적을 없애는 목적으로 처방합니다.

반하, 지실 같은 한약재가 여기에 속합니다.

역류성 식도염 약 이름 - yeoglyuseong sigdoyeom yag ileum

보통 역류성식도염이 있을 때 눕지 말라, 과식하지 말라는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소화가 안되면서, 위장이 꽉 막히게 되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역류성식도염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위산 역류가 꼭 과식이나, 식후 눕는 습관 때문에 생기는 것일까요?

소화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약해졌기 때문에, 조금만 먹어도 위산 역류가 생기는 분들도 있습니다.

소화력이 약해지는 이유는 2가지인데, 하나는 위무력증처럼 위장이 움직일 기운이 없는 분이고, 이런 분들은 보약이 필요합니다.

다른 하나는 담적 때문인데, 이들은 담적이 위장이 잘 움직이지 못하도록 방해하고 있기 때문에 소화력이 약해진 것이고, 이 때문에 위산 역류가 생기면서 식도염이 생기는 것입니다.

역류성 식도염 약 이름 - yeoglyuseong sigdoyeom yag ileum

이렇게 역류성식도염이 발생한 분들에게 위산을 억제하는 약만 준다면, 약을 복용할 때에는 위산 역류가 없으니 식도염 증상도 호전이 되는데, 중단하면 또 위산 역류가 생기면서 식도염이 재발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래서 이런 분들은 위산만 제어할 것이 아니라, 위무력증을 치료하거나, 담적을 치료해서, 위장이 잘 움직이게 만들어주는 치료가 꼭 필요합니다.

계속해서 역류성식도염이 재발하는 분이라면, 소화력을 개선할 수 있게 치료를 해보세요.

담적 치료, 위무력증 치료가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약 이름 - yeoglyuseong sigdoyeom yag ileum

또 역류성식도염이 오래되어서, 속쓰림이 너무 심하고, 가슴의 작열감과 통증이 너무 심한 분들도 있습니다.

잦은 재발 때문에 식도염이 생긴지도 오래되었고, 만성병처럼 인식하고 있습니다.

보통은 식도염약을 복용하면 속이 아픈 것이 진정이 될 텐데, 이번에는 잘 안된다고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럴 때에는 식도 점막이 많이 위축되거나, 조직 변성이 생긴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위산만 억제할 것이 아니라, 식도 점막을 재생시키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위산을 억제하더라도 식도 점막이 스스로 회복할 능력이 안되니, 약을 복용해서 이런 작용을 보조해 주면, 점막이 회복되면서 점차 염증이 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https://blog.naver.com/signball/221204237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