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크로스 케이블 연결 - windou10 keuloseu keibeul yeongyeol

크로스케이블 : 노트북과 노트북 연결이 가능할까요?

윈도우10 크로스 케이블 연결 - windou10 keuloseu keibeul yeongyeol

 2대의 노트북이 있습니다.

A 노트북의 데이터를 B 노트북으로 데이터 복사를 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첫 번째로는, 가장 무난한 방법은 USB저장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인터넷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인터넷도 없고, 저장매체도 없는 상태라면...

나에게 있는건, 노트북 2대 밖에 없는 상태라면... 어떡해 데이터를 옴길수 있을까요?

바로 PC to PC 를 연결하는 방법. 노트북에는 유선랜카드가 1개씩 기본으로 장착 되어 있습니다.

(특정 울트라북 제외)

바로, 세 번째 방법은, 서로의 LAN포트에, 크로스 랜 케이블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수 있습니다.

요즘, 랜카드는 다이렉트 랜 케이블로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데이터 백업을 받을려고 할 때!
인터넷은 안되고, 외장하드도 없고, 백업 할 수단이 없을때!

바로 이 방법을 이용하세요. 크로스 케이블을 각각의 노트북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옴겨봅시다.

현재 윈도우XP에서 테스트를 해보았으나, 추가설정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추후에 다시 XP는 포스팅하겠습니다.)

노트북 2대의 운영체제는 "윈도우7" 또는 "윈도우8" 이라고 가정 하겠습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강제로 IP를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각각의 노트북의 IP주소를 부여해주셔야 공유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IP/Subnet/Gateway 입력 해주시면 됩니다.

양쪽 SUB 와 게이트만 맞춰주고, 위 형식처럼만 해주시면 됩니다. 숫자는 바뀌어도 상관없습니다.

 네트워크 환경

노트북1 

노트북2 

 IP

192.168.0.2

192.168.0.3 

 SUB

255.255.255.0 

255.255.255.0 

 GATE

192.168.0.1 

192.168.0.1 

IP 입력 후 서로 공유후 데이터 복사 하시면 됩니다.

복사속도를 정확하게 테스트 하지는 못했습니다.

700메가 기준 1~3분 정도 걸린것 같습니다.

데이터가 100기가 이상만 아니라면, 1시간 이내에 간단한 데이터 복사는 될 것 같습니다.

지금 워낙 데이터 이동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조금 낯설환경이지만. 어쩔수 없는 상황에서는

임시방편이기에 급할때는 PC to PC 이 방법을 이용하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그제 비오는날 공유기가 번개 맞아버렸습니다 ㅠㅠ;

망할 공유기를 A/s를 신청해 보니 회사가 휴가기간이라고 다음주에나 된다고 하네요;;

그래서 동생이 하두 졸라 대기에 크로스 케이블을 이용해서 2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해보았습니다.

설명에 앞서 준비물이 있습니다.

*** 준비물 : 랜카드 1개, 크로스 케이블,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 A와 B

위 중에서 따로 준비를 해야할건 랜카드랑 크로스 케이블 밖에 없겠네요.

랜카드나 크로스 케이블은 컴퓨터 부품을 파는 가게라면 어느곳이나 보유하고 있으니

가까운 가게를 찾아가 보세요 카드+케이블 해도 5천원에서 1만원 내외 일겁니다.

크로스 케이블을 이용한 인터넷 공유하기 (PC to PC)

(Windows Xp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서버PC 준비(서버PC는 현재 인터넷에 연결 된 컴퓨터를 말합니다)

일단 서버PC로 사용되게 될 컴퓨터에 랜 카드를 하나 더 꼽습니다.

그럼 서버PC의 랜카드는 2개가 됩니다.

그리고 외부회선이 들어올 랜카드와 크로스 케이블을 이용해서 다른 PC와 연결될 랜카드를 구분합니다.

서버PC 클라이언트PC

A[== 외부회선 == ] 인터넷

B [====== 크로스 케이블 =======] C

위와 같이 A는 인터넷이 들어오는 랜카드, B는 C와 연결되는 랜카드로 확실히 구분을 합니다.

2. 서버PC 설정

① '시작 - 설정 - 제어판 - 네트워크 연결'로 들어가 보자.

'시작 - 설정 - 제어판 - 네트워크 연결'로 가보시면 두개의 로컬 영역 연결이 있는 게 보입니다.

②'로컬 영역 연결' 의 이름을 구분하기 쉽게 이름을 수정 해 주세요. (저는 A,B 로 구분을 했습니다.)

'로컬 영역 연결 A'는 외부회선과 연결하게 될 랜카드 입니다. 우선 '로컬 영역 연결 A' 의 속성에 들어갑니다.

'속성 - 고급 탭' 으로가시면'인터넷 연결 공유' 아래 빨간 테두리 안의 내용을 체크 합니다.

그리고 '확인' 을 누르시면 인터넷이 공유가 됩니다.

윈도우10 크로스 케이블 연결 - windou10 keuloseu keibeul yeongyeol

위와 같이 아이콘에 '손바닥 마크' 가 생기거나 연결됨 옆에 공유됨 이라고 나오면 정상적으로 적용이 된것입니다.

③ '로컬 영역 연결 B' 는 컴퓨터와 컴퓨터간에 연결을 하게될 랜카드입니다. (*** 여기부터 중요.)

'로컬 영역 연결 B'의 속성으로 들어 갑니다.

'속성 - 일반탭 - 인터넷 프로토콜(TCP/IP) - 속성' 을 누르면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정보

란이 나오게 됩니다.

'다음IP 주소 사용' 을 체크 공란이 생기면 위의 내용 대로 입력을 합니다.

IP 주소 : 192.168.0.1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 . .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을 체크 한뒤 공란으로 그대로 두고 '확인' 다음 '확인'

이게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서버PC 설정이 완료됩니다.

*** 서버PC를 재부팅 합니다

3. 클라이언트 PC 설정(서버 PC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는 PC)

① 크로스 케이블을 연결 합니다. (서버PC B랜카드와 클라이언트 PC 랜카드)

② 위의 내용을 다 해결 하였다면 다음은 쉬울 것이다.

서버PC 설정과 같이 '시작 - 설정 - 제어판 - 네트워크 연결 - 로컬 영역 연결 C - 속성 - 인터넷 프로토콜(TCP/IP) - 속성

-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정보' 가보자.

③ '다음IP 주소 사용',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을 체크 공란이 생기면 위의 내용 대로 입력을 합니다.

IP 주소: 192.168.0.2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192.168.0.1

--------------------------------

기본 설정 DNS 서버 :192.168.0.1

다음 설정이 완료되면 '확인' - '확인'을 누르시고 모든 창을 닫습니다.

④ 클라이언트 PC를 재부팅 한다.

⑤ 컴퓨터가 부팅되면 클라이언트 PC로 인터넷에 접속해 보자.

잘 된다면 끝~ ^^;

By, 미췐

P.s 궁금하거나 잘 안되는게 있으신분은 아래에 리플을 달아주세요 최대한 도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