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계정 없이 설치 - windou10 gyejeong eobs-i seolchi

예전에는 안그랬던거 같은데, 며칠전 윈도우1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잠깐 멈칫한 부분이 있습니다.

윈도우10 계정 없이 설치 - windou10 gyejeong eobs-i seolchi

▲ 위 화면인데, Microsoft 로 로그인을 하라고 나오는데 전 딱히 MS계정을 연동시켜서 사용하고 싶지 않았는데, 건너뛰기가 안되더라구요. '뒤로가기'와 '다음'을 눌러도 계속 이 화면만 나왔습니다. 

예전에는 왼쪽 하단에 '오프라인 계정' 이란게 있어서, MS계정 필요없이 설치진행이 가능했는데 이제 안보이네요. 그럼 MS계정을 당장 만들기라도 해야만 Windows 10을 설치할수 있느냐? 아닙니다.

해결방법은 랜선을 빼고 뒤로가기를 누르면 됩니다.

▲ 그러면, 오프라인 계정으로 쓸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이 단계 넘어간후 랜선을 꼽으면 되구요. 

와~ 아무리 마이크로소프트의 계정을 통한 동기화가 중요하고, 활성화 시키는 차원이라 해도 그렇지. 설치과정 중간에 이런식의 얕은 꼼수를 쓰다니 정말 어처구니가 없네요. 

**************************************

▲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때를 위해 보안 질문을 3단계나 해둔것도, 질문의 내용도 별로네요. 

질문의 내용이

첫 번째 애완 동물의 이름은 무엇이었습니까?

태어난 도시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어린 시절 별명은 무엇입니까?

부모님이 만난 도시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가장 나이 많은 사촌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처음 입학한 학교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이었던가 그렇죠? 아마... 

이것도 그냥 건너뛰기를 할수 있었으면 좋았겠다 싶었습니다. 아니면 질문을 임의로 정할수 있었어도 괜찮았겠구요.

※ 암호를 여기 설치 단계에서 만들지 말고, 윈도우 10 설치 완료후에 '설정>계정>로그인옵션>비밀번호' 에서 만드는걸 추천합니다. 여기서 암호를 만들때는 위의 질문 3단계 과정이 없더라구요

**************************************

▲ 윈도우10 설치를 시작할때부터 랜선을 빼고 진행했을때에는 위의 화면이 나왔습니다.

**************************************

▼ 2021-02-09 내용추가

윈도우10 계정 없이 설치 - windou10 gyejeong eobs-i seolchi

며칠전에 컴퓨터를 포맷하고 Windows 10 20H2 2009 (빌드 19042.631) 으로 윈도우10 pro 를 새로 깔았는데, '오프라인 계정'으로 만드는게 있네요. 

윈도우 설치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최근 지인의 부탁으로 컴퓨터 한 대를 조립하면서, 윈도우는 설치 USB가 동봉된 FPP 버전으로 구입해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노트북에 선탑재된 윈도우, 혹은 ESD 버전을 구입 후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USB 메모리에 설치해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시중에 판매되는 FPP 버전도 얼마간 할인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으니 꽤 괜찮은 선택이었던 것 같습니다.

2020/10/14 - 윈도우10 홈 정품 패키지 개봉기. 윈도우10 처음사용자용 패키지(FPP) 내용물은?

FPP 버전의 설치 과정 역시 별다른 차이가 없어서, 바이오스에서 USB 부팅 드라이브를 설정한 뒤 USB 메모리로 부팅해 단계별로 뜨는 설치 과정을 쭉 진행하면 됩니다.

키보드 설정과 윈도우 제품 키 입력, 새로 설치와 업그레이드 등 설치 유형 등을 선택한 뒤

윈도우10 계정 없이 설치 - windou10 gyejeong eobs-i seolchi

파일 복사가 진행되고 재부팅되면, 국가 선택 등의 추가 설정이 진행됩니다.

전자 메일, 휴대폰, 또는 Skype

그렇게 윈도우10 설치를 쭉 진행해 나가던 도중, [계정을 추가해 보겠습니다]라는 단계에서 막혔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사용 중인 메일 주소를 입력,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만들어 진행하는 단계입니다.

다만 이 컴퓨터는 제가 사용할 것이 아니다보니 일단 윈도우 설치 단계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아닌 PC 로컬 계정으로 설정하려는데, 무조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정보만을 요구합니다.

분명 예전에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입력 화면에서 [이 단계 건너뛰기] 항목이 있어 로컬 계정으로 설치 진행이 가능했는데, 이제는 화면 어디에도 로컬 계정으로 사용하는 수단은 보이지 않았고 무조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입력하거나 [계정 만들기] 옵션으로 새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만들도록 되어 있네요.

몇 가지 검색을 한 끝에 찾은 로컬 계정 설치 방법은, 컴퓨터에 연결된 랜선을 빼서 인터넷 연결을 끊어주는 것입니다.

저는 데스크톱 PC를 조립하고 랜선을 연결한 상태였는데, 무선랜카드가 장착된 노트북에 설치하는 경우라면 설치 단계의 와이파이 연결 화면에서 와이파이를 연결하지 않아야 합니다.

컴퓨터에 연결 된 랜선을 뺀 뒤 화면 왼쪽 상단의 이전단계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다시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입력을 강제하던 화면 대신, [이 PC를 누가 사용하나요?]라는 메시지가 뜨고 이 단계에서는 예전처럼 사용자 이름(별명)만 입력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이름을 입력한 뒤, 비밀 번호를 입력하고

3개의 보안 질문과 답을 입력해야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는 것 보다 3개의 보안질문과 답을 잊어버리기가 더 쉬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요ㅎㅎ

계정 설정 이후에는 개인 정보 설정 선택 등 간단한 선택 화면만 넘어가면

윈도우 설치가 마무리되고 익숙한 바탕화면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저 역시 윈도우10을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연결해 사용 중이고 윈도우 재설치 과정에서도 이메일 주소를 익숙하게 입력해 왔던터라,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입력하지 않는 예전 설치 방식에 대해 딱히 의문을 가진적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컴퓨터를 납품(?)하는 경우와 같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입력하기 어려운 상황이 분명 있는데, 로컬 계정 설치 옵션이 보이지 않아 잠시 헤매야 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사용을 유도하려는 입장도 이해는 가지만, 굳이 로컬 계정 옵션을 숨기지 말고 같은 화면에서 선택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