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공룡 화석 위치 - ulinala-eseo balgyeondoen gonglyong hwaseog wichi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최초의 공룡 화석은 1972년 경남 하동군 수문동 해안에서 발견된 공륭 알껍데기 화석이다. 그 이후에 전남 및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공룡의 뼈, 알, 발자국 화석이 잇달아 발견되었다.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발견된 익룡 발자국은 세계 최대이며, 세계에서 가장 긴 흔적이다. 전라남도 해남군 우항리 지역에서는 세계에서 드물게 익룡, 공룡, 새 발자국이 동일한 지층에서 발견되기도 하였다. 경상남도 남해군 해안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길이 1.27㎝의 소형 육식 공룡 발자국이 발견되었다. 또한,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발견된 공룡 화석은 공룡의 종류를 알수 있을 정도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세계 공룡 목록에 등재되기도 하였다.


  뼈 화석이 죽은 공룡의 모습을 간직한다면, 발자국 화석은 살아 있던 공룡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발자국 화석을 통하여 어떤 공룡이 있었는지, 공룡이 얼마나 컸는지, 얼마나 빨리 이동했는지, 집단으로 움직였는지 등 많은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공룡 화석이 발견된 곳을 살펴보면 공룡이 살기에 좋은 장소를 추측해 볼 수 있다. 커다란 호수가 있고, 호수 주변에는 먹이가 될 수 있는 동식물이 매우 다양하게 살고 있어서 공룡이 생활하기 좋은 환경이었을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공룡이 쇠퇴하던 백악기 후기에도 한반도에서는 공룡이 번성하고 있었다. 한반도는 쇠퇴해 가던 공룡의 마지막 보금자리 였던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공룡화석에 대해서

우리나라는 백악기에 공룡이 가장 번성하였던 곳의 하나로, 현재 이들 백악기 초기 지층에서는 많은 공룡의 화석이 발견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공룡으로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뇌룡인 탑리 울트라룡(울트라사우루스)과 수룡인 한국 공조룡(데이노니쿠스), 그리고 조룡인 김씨이구아노룡(이구아노돈) 등이다. 그 밖에도 크고 작은 수많은 초식공룡과 육식공룡 등의 일부분이 화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발견되는 공룡화석의 대부분은 공룡알 껍질, 이빨, 배설물, 발자국 등의 흔적 화석으로 완벽한 골격화석은 거의 발견되지 않고 있다. 백악기 공룡의 낙원이라는 한반도에서 완벽한 공룡 화석이 발굴되지 않는 이유는 산사태나 홍수등 공룡이 온전한 모습으로 땅 속에 묻힐 기회가 적었거나 설령 묻혔더라도 지하에는 공룡의 뼈를 녹여내는 산성수가 흐르거나 지하수 속에 산소가 많아서 화석형성이 잘 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몽골, 중국, 캐나다, 미국처럼 사막이나 평야지역이 적고 산악지역이 많아서 공룡 발굴 작업이 쉽지 않는 것도 이유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많은 흔적 화석과 부분 골격 화석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완전한 공룡 골격 화석이 발견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의 공룡 발자국 화석지

공룡 발자국은 지난 1982년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에서 18백여개가 발견된 이래 많은 곳에서 발견됐다. 연구결과 덕명리 발자국의 주인공은 대부분 이구아노돈 등 조각류이고, 수각류와 용각류도 함께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공룡 발자국이 대량으로 발견된 곳은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천연기념물 제411)외에도 경남 고성군 동해면 장좌리, 경남 마산시 합포구 진동면 고현리, 경남 거제군 일운면 와현리와 해금강 일대(외도), 경남 마산시 내서읍 호계리 산50-1, 경남 창녕군 유어면 우포늪, 경남 진주시 진성면 가진리(천연기념물 제395) , 경북 의성군 금성면 제오동(천연기념물 제373), 울산시 울주군 언양읍 수구리 대동마을, 전남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천연기념물 제394), 전남 화순군 북면일대, 전남 보성군 득량면 비봉리 해안등지에서 발견됐다.

의성군 탑리 봉황재 공룡약수 농원

1973년에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의 소위 공룡계곡에서 국내 최초의 공룡 팔꿈치뼈가 발견된 이후 척추돌기, 척추중심뼈, 갈비뼈와 발자국 화석 등이 추가로 발견되었는데 발견자인 김항묵 교수는 이 공룡을 영어로는 울트라사우루스(Ultrasaurus tabriensis), 우리말로탑리 한외룡이라 이름 붙여, 1983년 와이오밍대학에서 개최된 척추고생물학회 제43차 총회에서 발표했는데 무게 120, 길이 40m, 20m 정도의 거대한 공룡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199292일에는 11천만년 전 중생대 전기 백악기에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대형 육식공룡의 이빨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되어 학계의 관심을 모았는데 길이 8cm, 4cm, 무게 150g 의 이빨 화석으로 대형 육식 공룡인 코리아나사우루스(한국룡)의 앞 이빨 중 짧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공룡의 이빨 화석의 발견으로, 중생대 전기 백악기에는 한반도에 세계 최대급 초식공룡인 울트라사우루스와, 최대급 육식 공룡인 코리아나사우루스가 함께 서식하고 있었음이 입증되었다.

찾아가는 법

경북 의성군 금성면 탑리와 군위사이의 지방도인 봉황재 계곡을 넘다 보면 공룡약수라는 조그마한 표지판이 있습니다. 제오리와는 자동차로 약 10분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의성 제오리의 공룡발자국 화석

(천연기념물 제373, 199361일 지정)

1989년 도로확장 공사중 발견된 경북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 지방도로 주변 경사면에는 공룡발자국 300여 개가 남아 있다. 천연기념물 제373호로 지정되어 있는 이곳의 공룡발자국 화석은 직경 20~90cm 가량의 거대한 발자국으로, 15천만년 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즉 백악기 초에 공룡들이 이곳을 흐르던 옛 강가의 뻘 밭을 산책하다가 남긴 발자국인 것이다. 지난 942월에는 제오리 국도변에서 1.5km 떨어진 만천2리 뒷산 암벽에서 11천만년 전 새끼공룡 발자국 화석이 국내 최초로 발견되기도 했다.

화석 발견지 바로 옆에 살고 있는 할아버지에 의하면 발견 당시 뚜렷한 발자국들이 지금은 훼손이 심하다고 하시면서 보호시설(지붕 및 배수로) 공사가 늦었고 그나마 발견된 모든 화석이 아닌 일부에 대해서만 공사한 것은 너무 안타깝다고 하셨다.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상족암

(천연기념물 제411, 1999915일 지정)

19821월 경북대 양승영 교수(지질학)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경북대 임성규 교수(고생물학)의 집중적인 연구로 공룡들의 집단서식지로서 세계 학계의 공인을 받았다. 덕명리 상족유원지에서 실바위까지 6 km에 걸친 해안에는 1억년 전 한반도에 살았던 수많은 공룡 발자국이 숱한 새 발자국과 함께 뚜렷하게 남아 있다. 이곳 해안을 거닐다 보면 바닷물이 고인 지름 35cm 안팎의 작은 웅덩이 같은 것들이 많은데 크기와 모양이 비슷한 것들끼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줄지어 있는데 이것들이 바로 중생대 백악기에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들의 발자국이다. 덕명리 상족 해안이 공룡 발자국 화석의 세계적 산지로 평가되는 것은 두께 150m의 지층에서 공룡 발자국 화석이 고루 발견되기 때문에 이로 미루어 보아 이 지역이 몇 천만년 동안 공룡들의 서식지였던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이곳의 공룡 발자국 화석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 논문을 쓴 임 교수에 따르면 덕명리 해안의 발자국 화석 중 한 마리가 세 발자국 이상 걸어간 이른바 보행렬은 모두 247개가 나타나는데 이 중 두발로 걸은 것이 75% , 네발로 걸은 것은 25%이며 또 96%가 초식 공룡이었던 반면 육식 공룡은 4%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초식 공룡의 경우 같은 지층에서 여러 마리의 발자국이 나란히 나타나 이들이 집단생활을 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임교수는 "몇 년 전만 해도 선명하던 화석들이 거친 파도에 씻겨 이젠 많이 희미해졌다"면서 "국제적인 보물인 이 지역을 우리 후손들도 볼 수 있도록 작은 방파제라도 쌓아 파도에 의한 침식을 막아줘야 하며 뚜렷한 것 중 일부는 박물관으로 옮겨 보존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찾아가는 법

남해안고속도로 사천 인터테인지에 내려 사천, 삼천포를 거쳐 고성방면으로 가다 보면 길가에 "상족암" 이라는 표지판이 있는데 이것을 따라 진행하다가 '청소년 수련관' 이 있는 곳에서 해안으로 내려가면 된다. 단 이곳을 찾을 때는 밀물시간을 고려해야 한다. 대부분의 발자국화석이 밀물시간에는 물에 잠겨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물고기 화석2

이 사진은 아주 근접하여 찍은 사진으로 두 부분으로 붙여 연결하였다. 스케일을 참조하세요.(1눈금 1미리) 머리 부분은 물고기의 아래턱 부분이 화석으로 보존되어 있다. 특히 지느러미와 골격의 마디를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장소 : 경북 군위군 나호리. 동명층의 흑색셰일

물고기화석2의 스케치(한국화석회, 김은선)

참조 : 동명층에서 발견되는 백악기 담수어류, 경북대학교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1999

용각류 공룡발자국

경북 의성군 춘산면 신흥리 냇가에서 발견한 발자국으로 대형 초식 공룡, 용각아목의 종류일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이곳은 20여개 발자국이 발견된다. 망치 크기 40cm.

공룡 발자국 보존지

장소 :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하양층군 사곡층

경북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 입구의 경사진 지층(이암). 이 지층면에 300여개의 발자국이 있다. 사진안은 화석회 회원들이 관찰한 발자국에 대하여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이곳에서 동쪽을 보면 금성산이 바로 앞에 보이며 칼데라 구조가 연구(부산대 윤성효 교수)된 곳이다.

공룡 발자국의 근접사진

장소 :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해안/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3 개의 앞 발톱이 깊숙이 새겨진 것으로 보아 뒤꿈치 보다는 앞꿈치에 공룡의 체중이 실렸던 것으로 해석됨. 망치크기 : 45cm

연속된 공룡발자국

셰일층의 층리면에 새겨진 발자국으로 삼지창 모양. 3개의 앞발톱 흔적이 깊이 새겨져 있고 크기는 길이 30cm, 20cm 정도이다.

장소 :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해안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공룡뼈의 몰드

공룡 뼈 화석을 떼고 난 후 지층에 새겨져 있는 흔적을 찍은 사진이며 스케일은 센티와 인치로 표시되어 있다. 지층은 암회색 이암층이다. 이 지역에서는 파편상태의 화석들이 채집된 바 있고 이매패류인 조개화석이 산출된다.

장소 : 경남 합천군 율곡면 노양리/ 신동층군 진주층

공룡뼈의 일부분

공룡 뼈의 일부분으로써 뼈를 이미 채집해버린 장소에서 나중에 방문하여 수집한 것이다. 뼈는 탄화된 상태이며 매우 약하여 잘 깨어지며 옆면에는 뼈의 조직이 잘 보존되어 있다. 스케일의 크기는 검고 흰 부분 하나가 1센티이다.

장소 : 경남 합천군 율곡면 노양리/ 신동층군 진주층

화석채집

노두중의 가운데 부분(회색지층)에 있는 조개화석을 채취하는 학생들. 화석은 여러 지층 단면 중에서 일정 한 시기에 형성된 층리면에서 산출하기 때문에 한 개 단위 지층을 횡으로 조사하여 채집한다.

장소 : 경북 경주군 건천리 농공단지(하양층군 건천리층)

물갈퀴가 있는 새 발자국

장소 : 전남 해남군 우항리

익룡의 발자국

장소 : 전남 해남군 우항리

우리나라는 백악기에 공룡이 가장 번성하였던 곳의 하나로, 현재 이들 백악기 초기 지층에서는 많은 공룡의 화석이 발견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공룡으로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뇌룡인 탑리 울트라룡(울트라사우루스)과 수룡인 한국 공조룡(데이노니쿠스), 그리고 조룡인 김씨이구아노룡(이구아노돈) 등이다. 그 밖에도 크고 작은 수많은 초식공룡과 육식공룡 등의 일부분이 화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발견되는 공룡화석의 대부분은 공룡알 껍질, 이빨, 배설물, 발자국 등의 흔적 화석으로 완벽한 골격화석은 거의 발견되지 않고 있다. 백악기 공룡의 낙원이라는 한반도에서 완벽한 공룡 화석이 발굴되지 않는 이유는 산사태나 홍수등 공룡이 온전한 모습으로 땅 속에 묻힐 기회가 적었거나 설령 묻혔더라도 지하에는 공룡의 뼈를 녹여내는 산성수가 흐르거나 지하수 속에 산소가 많아서 화석형성이 잘 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몽골, 중국, 캐나다, 미국처럼 사막이나 평야지역이 적고 산악지역이 많아서 공룡 발굴 작업이 쉽지 않는 것도 이유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많은 흔적 화석과 부분 골격 화석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완전한 공룡 골격 화석이 발견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의 공룡 발자국 화석지

공룡 발자국은 지난 1982년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에서 18백여개가 발견된 이래 많은 곳에서 발견됐다. 연구결과 덕명리 발자국의 주인공은 대부분 이구아노돈 등 조각류이고, 수각류와 용각류도 함께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공룡 발자국이 대량으로 발견된 곳은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천연기념물 제411)외에도 경남 고성군 동해면 장좌리, 경남 마산시 합포구 진동면 고현리, 경남 거제군 일운면 와현리와 해금강 일대(외도), 경남 마산시 내서읍 호계리 산50-1, 경남 창녕군 유어면 우포늪, 경남 진주시 진성면 가진리(천연기념물 제395) , 경북 의성군 금성면 제오동(천연기념물 제373), 울산시 울주군 언양읍 수구리 대동마을, 전남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천연기념물 제394), 전남 화순군 북면일대, 전남 보성군 득량면 비봉리 해안등지에서 발견됐다.

의성군 탑리 봉황재 공룡약수 농원

1973년에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의 소위 공룡계곡에서 국내 최초의 공룡 팔꿈치뼈가 발견된 이후 척추돌기, 척추중심뼈, 갈비뼈와 발자국 화석 등이 추가로 발견되었는데 발견자인 김항묵 교수는 이 공룡을 영어로는 울트라사우루스(Ultrasaurus tabriensis), 우리말로탑리 한외룡이라 이름 붙여, 1983년 와이오밍대학에서 개최된 척추고생물학회 제43차 총회에서 발표했는데 무게 120, 길이 40m, 20m 정도의 거대한 공룡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199292일에는 11천만년 전 중생대 전기 백악기에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대형 육식공룡의 이빨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되어 학계의 관심을 모았는데 길이 8cm, 4cm, 무게 150g 의 이빨 화석으로 대형 육식 공룡인 코리아나사우루스(한국룡)의 앞 이빨 중 짧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공룡의 이빨 화석의 발견으로, 중생대 전기 백악기에는 한반도에 세계 최대급 초식공룡인 울트라사우루스와, 최대급 육식 공룡인 코리아나사우루스가 함께 서식하고 있었음이 입증되었다.

찾아가는 법

경북 의성군 금성면 탑리와 군위사이의 지방도인 봉황재 계곡을 넘다 보면 공룡약수라는 조그마한 표지판이 있습니다. 제오리와는 자동차로 약 10분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의성 제오리의 공룡발자국 화석

(천연기념물 제373, 199361일 지정)

1989년 도로확장 공사중 발견된 경북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 지방도로 주변 경사면에는 공룡발자국 300여 개가 남아 있다. 천연기념물 제373호로 지정되어 있는 이곳의 공룡발자국 화석은 직경 20~90cm 가량의 거대한 발자국으로, 15천만년 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즉 백악기 초에 공룡들이 이곳을 흐르던 옛 강가의 뻘 밭을 산책하다가 남긴 발자국인 것이다. 지난 942월에는 제오리 국도변에서 1.5km 떨어진 만천2리 뒷산 암벽에서 11천만년 전 새끼공룡 발자국 화석이 국내 최초로 발견되기도 했다.

화석 발견지 바로 옆에 살고 있는 할아버지에 의하면 발견 당시 뚜렷한 발자국들이 지금은 훼손이 심하다고 하시면서 보호시설(지붕 및 배수로) 공사가 늦었고 그나마 발견된 모든 화석이 아닌 일부에 대해서만 공사한 것은 너무 안타깝다고 하셨다.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상족암

(천연기념물 제411, 1999915일 지정)

19821월 경북대 양승영 교수(지질학)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경북대 임성규 교수(고생물학)의 집중적인 연구로 공룡들의 집단서식지로서 세계 학계의 공인을 받았다. 덕명리 상족유원지에서 실바위까지 6 km에 걸친 해안에는 1억년 전 한반도에 살았던 수많은 공룡 발자국이 숱한 새 발자국과 함께 뚜렷하게 남아 있다. 이곳 해안을 거닐다 보면 바닷물이 고인 지름 35cm 안팎의 작은 웅덩이 같은 것들이 많은데 크기와 모양이 비슷한 것들끼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줄지어 있는데 이것들이 바로 중생대 백악기에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들의 발자국이다. 덕명리 상족 해안이 공룡 발자국 화석의 세계적 산지로 평가되는 것은 두께 150m의 지층에서 공룡 발자국 화석이 고루 발견되기 때문에 이로 미루어 보아 이 지역이 몇 천만년 동안 공룡들의 서식지였던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이곳의 공룡 발자국 화석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 논문을 쓴 임 교수에 따르면 덕명리 해안의 발자국 화석 중 한 마리가 세 발자국 이상 걸어간 이른바 보행렬은 모두 247개가 나타나는데 이 중 두발로 걸은 것이 75% , 네발로 걸은 것은 25%이며 또 96%가 초식 공룡이었던 반면 육식 공룡은 4%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초식 공룡의 경우 같은 지층에서 여러 마리의 발자국이 나란히 나타나 이들이 집단생활을 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임교수는 "몇 년 전만 해도 선명하던 화석들이 거친 파도에 씻겨 이젠 많이 희미해졌다"면서 "국제적인 보물인 이 지역을 우리 후손들도 볼 수 있도록 작은 방파제라도 쌓아 파도에 의한 침식을 막아줘야 하며 뚜렷한 것 중 일부는 박물관으로 옮겨 보존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 ; 인터넷 자료인용